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지
분파
분맥
너울가지
너울
곁가지
어린 가지
d라이브러리
"
가지
"(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침팬치는 진화해도 인간이 될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사람처럼 ‘말’을 할 수 있을까. 말이란 단어들을 써서 문장을 만들고 이를
가지
고 시공을 초월해 의사를 서로 소통하게 하는 것.1970년대에 침팬지에게 몸짓언어나 컴퓨터를 이용해 말하는 법을 가르치려는 노력들이 있었다.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의 언어학자인 놈 촘스키는 “말이란 ... ...
인터넷 집장만 10분이면 뚝딱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홈페이지 만들기트라이포드에서 홈페이지를 만드는 방법은 초보자용과 파워유저용 두
가지
다. 초보자라면 ‘초보 네티즌을 위한 단계적 홈페이지 만들기’를 선택한다. 간단한 홈페이지 작성 메뉴가 나타나면 제대로 들어온 것이다. 기본적으로 홈페이지의 초기화면은 ‘index’라는 이름을 가진 ... ...
움직이는 지구 변하는 우주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많은 정보가 담겨있다. 하지만 둥근 모습으로 움직이는 지구는 이 별빛을 관측할 때 여러
가지
흥미로운 현상을 만든다. 서울 하늘에서는 북극성이 부산에서 보다 2.5도 가량 높게 떠 있다. 용골자리의 가장 밝은 별 카노푸스는 우리나라에서는 노인성이라 하는데, 이 별을 보면 오래 산다는 전설이 ... ...
첨단산업의 쌀 반도체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D램의 커패시터에 넣는 이산화규소와 달리 전원이 꺼져도 계속 정보를 유지하는 특성을
가지
고 있다. 전하를 저장하는 커패시터에 강유전체를 사용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현재 D램의 구조와 똑같다. 따라서 F램은 고집적, 초소형의 D램을 대체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지난 10월 ... ...
Ⅰ. 30억개 문자의 정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바로 DNA에 담겨 있다. DNA는 A(아데닌), C(시토신), G(구아닌), T(티민)이라는 4
가지
염기를
가지
고 있다. 이 가운데 아데닌은 티민과, 구아닌은 시토신과 화학적으로 결합을 이룬다. DNA는 이런 염기끼리의 결합에 의해 두가닥이 서로 붙어 나선형으로 꼬여 있는 형태다.사람의 경우 대략 30억개의 염기가 ... ...
Ⅴ.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 10년간 1천억 투자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인간의 경우 위암이나 간암과 같이 한국인에게 잘 발병하는 난치병의 원인유전자 몇
가지
를 밝히는 것이 주된 연구였다. 인체의 염기서열 전체를 밝히는 인간게놈프로젝트의 규모를 생각하면 극히 부분적인 분야에 한정된 셈이다.막대한 돈과 시간을 투여하며 고생해온 선진국들이 ... ...
300년만에 풀린 최석정의 마법진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17세기 후반 우리나라 수학자가 고안한 마법진들을 며칠 사이에 모두 풀어낸 사람이 있다. 대전의 기초과학 지원연구소 생체고분자팀에 근무하는 과학자인 이지 ... 일정하게 배열하기 위함이다. 이 외에도 팔각진을 완성하는 더욱 간단한 방법이 여러
가지
있으나 독자들의 탐구에 맡긴다 ... ...
② 가정 생활과 복지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건물에서도 지문이나 홍채를 이용하는 생체인식 출입문이 실용화된다.● 2008년학교에
가지
않고도 졸업 자격을 얻을 수 있는 인터넷 학교가 생긴다. 이때의 교육은 쌍방향으로 진행. 수업 중간에 질문을 할 수 있고, 개인의 능력에 따라 속도를 달리 할 수도 있다.● 2009년◎재택 진단 시스템이 ... ...
1. 열대기질 한대기질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를 받는다. 얼어죽지 않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서든지 피부에서 온기가 바깥으로 빠져나
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 가능한 지방질과 같은 고열량의 음식을 먹어 대사에너지의 생산을 극대화해야만 한다. 체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체형도 적절한 적응을 해야 한다. 팔과 다리는 몸통에 비해 ... ...
공룡들의 IQ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색깔을 구별했을까? 공룡의 후예인 조류는 모든 살아있는 생물 중 가장 날카로운 시력을
가지
고 있으며 색깔을 구분할 수 있다. 매는 우리 인간보다 시력세포가 8배나 많고 타조의 눈은 테니스공 만하다. 조류의 눈동자 크기는 상대적으로 굉장히 커서 어떤 경우 뇌 크기보다 더 큰 영역을 ... ...
이전
823
824
825
826
827
828
829
830
8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