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단
방식
방책
양식
조치
방안
계획
d라이브러리
"
방법
"(으)로 총 12,960건 검색되었습니다.
03. 빠른 비트에 몸을 맡겨라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있지만 개인용 컴퓨터에는 이제 막 64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도입될 추세다.이런
방법
들을 통해 앞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성능을 계속 향상시킨다면 무어의 법칙을 능가하는 새로운 성장 법칙이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발전을 이끌 수 있을 것이다. 언젠가는 ‘슈퍼 울트라 하이퍼’ 초고속 ... ...
CSI의 추억 혈의 누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이윤성 교수는 이
방법
에 대해 “다른 단백질을 제외하고 사람의 피만 분별하는
방법
으로는 부적절하다”고 말하면서도 “혈액의 단백질 성분이 산에 노출되면 응고하는 성질을 이용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생활 속에서 얻은 과학 지식이 실제 수사에 적용된 것이다.한국과학기술원(KAIST) ... ...
더해도 똑같은 직사각형의 마술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딱 맞는 것처럼 보일 수밖에 없다.자, 이제 여기에 10번을 집어넣을 차례인데, 그 놀라운
방법
을 쓰기에는 지면이 부족하다. 독자 여러분들이 직접 이 페이지를 잘라서 해 보시라. 나중에 과학동아 한 권을 새로 사는 것 잊지 마시고. 지난달 정답_2 ... ...
물리학이 밝힌 신경세포 경쟁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좀더 단순한 법칙에 따라 결정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물리학 이론을 이용한
방법
은 뇌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자세히 설명하고 학습이나 인지능력을 연구하는데 계속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다체론 (Many-body theory) 상호작용하는 수많은 입자들이 모인 시스템을 다루는 물리학 이론. 입자가 많으면 ... ...
분자도 뭉치면 강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정해진 공간에 많은 반도체 소자를 심어야 한다. 현재 메모리 저장장치를 제작하는
방법
인 리소그래피로는 반도체 소자를 심는 단위공간을 50nm 정도까지 작게 만들 수 있다. 반도체 집적도가 기가(109)비트급인 메모리까지 제작이 가능한 것. 이에 비해 나노벌집 구멍의 지름은 4~9nm에 불과하다. ... ...
스스로 번식하는 로봇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몇 분 만에 자신과 똑같은 로봇을 복제하는 로봇이 개발됐다.미국 코넬대 로드 립슨 교수는 “스스로 복제하는 3차원 블록으로 된 로봇을 ... 모든 기계에 적용하는 연구를 할 계획이다. 또 진화의 원리를 이용해 스스로 번식
방법
을 배우고 돌연변이까지 만들 수 있는 로봇을 계획하고 있다 ... ...
황우석 교수 맞춤형 줄기세포 시대 열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모두 충분한 설명이 있는 동의서에 서명했으며, 미성년자인 경우 부모가 같은
방법
으로 동의했다”고 명시했다.황 교수팀은 이번 연구가 올해부터 국내에서 발효 중인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에도 위배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배아도 하나의 생명체이기 때문에 존중해야 한다는 지적에 ... ...
04. 디지털의 화려한 플래시댄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나가려면 더 빨리 달려야 한다. 이것이 ‘붉은 여왕의 이론’이다.그렇다면 살아남는
방법
은? 스피드를 올려라. 두 이론은 이렇게 충고한다. 디지털 기기도 마찬가지다. 플래시메모리는 황의 법칙을 따라 진화하며 무어의 법칙이 더 이상 가이드라인이 되지 못함을 맨 먼저 증명했다. 이제 황의 ... ...
2 내가 나일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변화를 보기 위해 쥐의 뇌를 여러 절편으로 자른 다음 해마나 편도체 등에 전기생리학적
방법
으로 일정한 자극을 가했다. 그 결과 자극의 세기와 빈도에 따라 시냅스가 강화되거나 약화되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때 시냅스가 강화되는 현상을 LTP(Long-Term Potentiation), 약화되는 현상을 LTD(Long-Term Depression . ...
작전명 돈키호테! 소행성을 막아라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충돌시킬 수도 있다. 소행성을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밀어내는 것이 주 목적이다. 비슷한
방법
으로 우주선을 소행성에 댄 뒤 일본 스모 경기처럼 밀어내는 기술도 있다. 이밖에 우주선에서 커다란 금속구를 쏴 소행성에 충돌시키거나 지구에 접근하는 큰 소행성에 작은 소행성을 충돌시켜 마치 당구 ... ...
이전
825
826
827
828
829
830
831
832
8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