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3) 전자파 장해 막을 수 없나과학동아 l1992년 02호
- 실험결과를 토대로 하여, (그림1)에 인용된 전자파의 안전기준을 규정한 바가 있다. 예를 들어 전자레인지의 사용주파수인 2450㎒는 5mW/㎠이하로, VHF TV 방송주파수대에서는 1mW/㎠이하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수치는, 전자레인지의 문짝 틈새 부근과 1백KW출력의 TV송신 안테나로부터 약 30~40m ... ...
- 컴퓨터 선거전략의 핵심참모로 큰 활약과학동아 l1992년 02호
- KBS MBC 양 방송사는 2월말까지 하드웨어와 프로그램개발을 끝내고 시험방송에 들어갈 예정이다. 또 지난해말 설립된 sbs도 비록 수도권을 가시청지역으로 하지만 양 방송사에서 방송기술인력들을 대거 스카웃해가 어떤 형태로든지 개표방송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프라이버시 ... ...
- 4 피뢰침에서 로봇까지과학동아 l1992년 02호
-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전기를 사용해 작동하는 기계의 종류는 실로 다양하다. 예를 들어 수정 팔목시계와 전기기관차는 얼핏 보면 전혀 유사점이 없는 것 같지만 전류가 자기를 만들어내는 효과를 동력으로 이용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파의 에너지가 정보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것과 ... ...
- 실내공기 약품오염 심각과학동아 l1992년 02호
- 기타 병원성 미생물의 증식을 방지하도록 하고 그 오염발생원을 제거하거나 예방조치를 해야 한다. 또 병원내 휴식실 진료대기실 자료실 수술실 분만실 등 각 실내공간의 특성에 맞게 적절한 환기량을 공급, 깨끗한 실내공기를 늘 유지해야 한다. 또한 병원내의 환경관리 및 안전문제를 병원관리자 ... ...
- 생물은 더 작아질 수도 더 커질 수도 없다과학동아 l1992년 02호
- 11.26㎝ ② 11.26m ③ 11.26㎞ ④ 11.26×${10} ^{8}$㎞➎ 필자는 '과학동아' 90년 12월호에서 참으로 예상밖의 결과를 보여주는 '생일의 문제'를 제시한 바 있다. 즉 여러 사람이 모여있을때 같은 생일을 가진 사람이 있을 가능성이 얼마냐는 문제였다. 답은 23명이 모이면 확률이 1/2이 넘고 50명이 넘으면 97%의 ...
- (4) 신설 전파공학과를 찾아서과학동아 l1992년 02호
- 안된다는 것이 교수진의 당부다.또 91년 서울대의 전기·전자 제어계측의 3과가 통합된 예에서도 볼 수 있듯이 학부과정에서는 특정 전공의 강조보다는 공학일반의 기초를 섭렵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최근의 흐름에 비추어볼때 전파공학과 분리신설이 꼭 바람직한 일만은 아니라는 지적도 적지 ... ...
- 오래씹어도 단맛 잃지 않는 껌 등장과학동아 l1992년 02호
- 생각이었다.그러나 부소장의 본래 의도는 완전히 빗나가고 말았다. 손쉽게 해내리라고 예상했던 일을 성취하는데 장장 5년이나 걸린 것이다. 사실 지속형 껌 개발작업은 생각보다 훨씬 험난하고 까다로웠다.일반적인 껌은 풍미를 지닌 기름을 함유하고 있는데 그 속에 설탕과 껌의 기본물질이 녹아 ... ...
- 컴퓨터가 연출하는 「영화의 마술」과학동아 l1992년 02호
- 있다. 실제로 레이저 디스크(laser disc)와 고선명 TV(HDTV)의 등장은 영상의 새로운 시대를 예고하고 있다.영화의 매력은 첨단의 공상과학영화를 감독한 사람이나 특수효과를 담당했던 사람까지도 자기가 만든 영화를 보면서 웃음과 서스펜스를 느낀다는 것이다. 영화는 우리의 삶을 비쳐주며 때로는 ... ...
- 교통사고 원인분석 이것만은 알아두자과학동아 l1992년 02호
- 점등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이밖에도 조사가 필요한 항목은 수두룩하다. 예컨대 안전벨트 상태, 출입문 및 창문상태(특히 탑승자가 밖으로 튕겨나간 경우), 변속기어레버의 위치, 속도계, 타코미터(tachometer), 핸들상태, 계기판상태, 제동장치상태 등을 살펴야 한다.교통사고의 해석은 ... ...
- 환자 5%가 병원서 새 병 옮는다과학동아 l1992년 02호
- 살펴 본 것처럼 의학의 발전에 따른 불가피한 대가의 지불이라는 면이 매우 크다. 따라서 예방이 사실상 어려우나, 손을 깨끗이 씻고 각종 시술에 임할 때 무균적(無菌的) 조작을 유지하고 카테터 등의 사용을 최소화하면 상당부분 그 발생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이 분야에 ... ...
이전8258268278288298308318328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