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로"(으)로 총 1,507건 검색되었습니다.
- 드라큘라성의 비밀수학동아 l2010년 08호
- 들어가게 해놨네. 빨리 가자.” “아니에요. 여기 자물쇠를 여는 방법이 적혀 있는걸요. 가로, 세로 모든 줄에 하나의 단추만을 눌러야 하고 누른 단추 주위의 여덟 단추는 누르면 안 돼요. 자물쇠에 써진 숫자는 숫자 주위의 여덟 단추 중에 눌러야 할 단추의 수를 나타내요.”허풍은 도형이가 ... ...
- 집합의 구조를 담은 삼차각설계도수학동아 l2010년 08호
- ’은 ‘선에관한각서 1’이랑 왠지 비슷하면서도 많이 다른 것 같은데….그렇지. 1, 2, 3을 가로와 세로로 표시한 것은 ‘선에관한각서 1’과 비슷하지만 여기선 숫자가 3까지밖에 표현되지 않은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어. 단국대학교 김용운 석좌교수님은 여기에 집합의 구조가 담겨 있다고 말했지 ... ...
- PART 1 수학으로 본 우리 유산수학동아 l2010년 08호
- 선분 EF는 직사각형 ABCD를 정사각형 ABFE와 직사각형 EFCD로 나누지. 직사각형 EFCD는 세로와 가로의 비가 1.62:1의 황금비율을 유지하고 있어.이때 직사각형 ABCD의 대각선 BD와 선분 EF가 만나는 점을 G라고 해 봐. 점 G는 직사각형 EFCD를 정사각형 GFCH와 또 다른 직사각형 EGHD로 나누는 위치에 있어. 다시 . ...
- 입체도형 종합선물세트수학동아 l2010년 08호
- 다음 교과서를 보면 ‘직육면체의 전개도를 그려 보세요’라는 질문이 있습니다. 그런데 가로, 세로, 높이의 크기가 3cm로 같은 정육면체를 그리도록 돼 있습니다. 정육면체가 직육면체에 포함된다는 사실을 알려 준 것입니다. 5학년 과정부터는 도형 간의 포함관계를 여러 활동을 통해 학습합니다. ... ...
- 가로 세로 5mm 속에 펼쳐진 꿈과학동아 l2010년 08호
- 될 수도 있고, CPU가 될 수도 있고, 스마트폰의 핵심부품이 될 수도 있다.칩 디자이너에게 가로 세로 5mm 남짓한 반도체 칩은 전 세계 연구원들과 경쟁하는 일종의 전쟁터이자, 동시에 꿈과 기술을 실현할 기회의 터전이다. 집적시스템 설계연구실은 그 꿈을 펼치기 위해 끊임없는 노력과 남다른 ... ...
- 나도형, 헝가리에서 스타 되다?!수학동아 l2010년 07호
- 빨리 풀어 보렴.”“음…, 1부터 12까지 모두 한 번씩만 거치도록 선을 그으면 돼요. 가로나 세로로만 그어야 하고, 즉 대각선으로 그어선 안 돼요. 선이 끊어지지 않고 계속 이어져야 해요. 숫자의 순서는 상관 없어요. 금세 풀 수 있겠는데요.”“그래, 헉헉. 나는 숨 좀 돌려야겠다. 먼저 풀고 있으렴 ... ...
- 토네이도가 온다!수학동아 l2010년 07호
- 접으면 일정한 간격으로 돌아가는 아르키메데스 나선을 만들 수 있다. 세로 길이가 1cm, 가로 길이가 1, 1, 2, 3, 5, 8, 13, 21cm인 긴 띠를 만든 후 한 방향으로 접으면 일정한 비율로 커지는 황금 나선을 만들 수 있다. 이웃하는 두 선분의 길이 비가 나선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황금비, 즉 약 1:1.618에 ... ...
- 수학 퍼즐에 빠진 철학자, 마틴 가드너의 삶과학동아 l2010년 07호
- 느낌마저 준다.그는 또 루이스 캐롤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 대한 최고의 전문가로도 알려져 있다. 가드너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와 그 속편인 ‘거울 나라의 앨리스’에 주석을 달아 ‘앨리스(The Annotated Alice)’라는 책을 내기도 했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 숨어 있는, 뜻을 알 수 ... ...
- 검은 돌을 채워라과학동아 l2010년 07호
- 있는 곳에는 검은 돌을 올려놓을 수 없습니다. 2) 숫자는 숫자가 있는 칸을 기준으로 가로세로 방향에 있는 모든 돌의 개수입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은 ljr@donga.com으로 5월 15일까지 정답과 함께 이름, 주소, 전화번호를 적어 보내주세요. 정답을 맞힌 독자 중 추첨을 통해 당첨된 6분께 ‘멘사 퍼즐’ ... ...
- 끼고 자기만 해도 눈이 좋아진다?과학동아 l2010년 06호
- 가 길어지거나, 각막의 모양이 뾰족하게 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근시가 있는 안구는 가로로 긴 럭비공 모양과 유사하다. 이런 경우 물체의 초점이 망막보다 앞에 맺히기 때문에 대상이 흐리게 보인다. 난시 역시 안구의 모양이 길게 변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단 불균형하게 변한다는 점이 근시와 ... ...
이전7879808182838485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