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뿔
모
모서리
귀퉁이
각도
호른
각성
d라이브러리
"
각
"(으)로 총 6,296건 검색되었습니다.
AI가 수학 문제, 대신 풀어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있나요?작년에는 애니메이션 자습서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사용자가
각
수학 단계를 시
각
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애니메이션을 만들었습니다. 조만간 원격 학습 관리 기능을 추가해 학생과 학부모에게 도움을 주고 싶습니다 ... ...
고생대 최강 어류, 둔클레오스테우스...턱 힘으로 오른 ‘끝판왕’ 자리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이 구조를 둔클레오스테우스 표본 다섯 개에 적용해 역학적 모델을 만들었다. 턱의
각
부분에 작용하는 힘들이 어떻게 합쳐질지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해보니 둔클레오스테우스 턱 힘은 약 6000N(뉴턴·1N은 1kg의 물체를 1m/s2로 가속시킬 때 필요한 힘)에 달했다. 오늘날 바닷속 최상위 포식자인 ... ...
[수학뉴스] 무증상 청소년 코로나19 감염자 수 수학 공식으로 예측한다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발생할 수 있다고 추정했습니다. 이 수치를 존스홉킨스대학교에서 공개하는 미국
각
지역의 확진자 수를 토대로 계산한 청소년 무증상 감염 비율과 비교했더니 비슷한 수치가 나왔습니다.연관성을 확인한 연구팀은 공공데이터를 이용해 무증상 확진 미성년자 수를 계산하는 공식을 만들었습니다. ... ...
[특집] 종이접기로 수학 문제도 푼다!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x3=2 같은 일반적인 3차 방정식의 해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거든요. 그래서
각
의 삼등분은 물론 2의 세제곱근까지 구할 수 있습니다. 캐나다의 수학자 피터 메서가 찾은 방법을 한번 따라가 보겠습니다 ... ...
[매스크래프트] #11. 미국 대통령 집 백악관 미국 선거제도에도 수학이!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사람에게 선거인단을 몰아주는 제도가 바로 ‘승자독식제도’입니다. 이후 12월 14일엔
각
주의 선거인단이 다시 한번 투표를 하고 그 결과대로 대통령이 결정되는데요, 이때 선거인단은 일반적으로 자신이 지지하던 사람을 찍기 때문에 11월 3일에 선거한 결과로 분배된 선거인단의 수를 더해 나온 ... ...
a-school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더 많은 영역에서 유익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이처럼 코딩을 바탕으로
각
분야의 지식을 융합하고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능력을 ‘디지털 문해력’이라고 하죠. 프로세싱 언어와 같은 효과적인 도구를 이용해 디지털 문해력을 길러보세요 ... ...
[게임 디자인 씽킹] 게임에 세상을 투영하는 방법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동양화에서도 그 사례를 찾을 수 있습니다.1702년 제주목사인 이형상이 제주도의
각
고을을 순회한 장면을 기록한 ‘탐라순력도’는 복합 구성을 통해 다양한 장면을 한 화폭에 나타냈어요. 특히 감상자가 그림 속을 거닐고 이동하며 머무르는 느낌이 들게 공간을 형성했죠. 우리가 즐기는 게임 ... ...
세상에 단 하나뿐인 주기율표를 만들어보자!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주기율표 만들기 대회’를 개최합니다.자신만의 기준을 사용해 원소를 분류하고
각
원소의 특징을 자유롭게 표현해보세요. 복잡하고 화려하지 않아도 자신만의 개성을 담은 주기율표라면 모두 환영합니다. 시상은 중등부와 고등부로 나눠서 진행되며 수상자에게는 상장과 함께 부상으로 상금을 ... ...
대세 게임 ‘폴 가이즈’ 재미 비결은 ‘F=ma’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모델을 적용하면,
각
영역이 용수철처럼 탄성력 있는 물체로 이어져 있다고 가정하고
각
영역이 받는 힘을 종합해 물체 전체의 움직임을 표현한다.기 연구원은 “유한요소법을 적용할 영역을 무한히 쪼개면 실제와 똑같은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지만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며 “물체에서 ... ...
도전! 노벨물리학상 ‘펜로즈 특이점 정리’ 이해하기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존재하지 않는다는 가정에 의해 빛은 언제나 진행할 수 있으며, 갇힌 표면에서 비롯된
각
빛의 궤적을 따라 결국 주변 빛이 집중되며 초점이 형성될 것이다(국소적 결론). 여기에 시공간이 고립된 천체를 기술한다는 대역적인 가정(엄밀히는 밀집되지 않은 초기 공간이 있다는 가정)을 더하면, 시공간 ...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