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둘임"(으)로 총 3,399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인간의 마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최근에는 거의 모든 분야에서 ‘4차 산업혁명’이라는 말을 들을 수 있다. 빅데이터와 사물 인터넷, 그리고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이 우리 생활에서 점차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기술 간의 융합과 창의적인 발상이 그 어느 때보다도 필요한 시대다. 예를 들면 필자가 연구하 ... ...
- [수학뉴스] 말 빨리 배우게 하고 싶다면 동화책보단 수 세기!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이제 막 말을 배우는 유아의 어휘력을 키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동화책을 읽어줘야 할 것 같지만, 실제로는 수학 공부와 더 관련이 있다는 연구가 나왔습니다. 에이미 나폴리 미국 퍼듀대학교 인간발달 및 가족학과 연구원과 같은 학과의 데이비드 퍼퓨라 교수는 만 3~5세 아동 114명의 수학 ... ...
- ‘나노영챌린지 2017’ 6개월 대장정 막 내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나노기술의 미래를 이끌 젊은 과학도들의 축제 ‘나노영챌린지’가 6개월간의 대장정 끝에 막을 내렸다. 나노기술연구협의회는 올해 처음 개최한 나노영챌린지의 본상 시상식을 11월 23일 서울 강남구 라마다호텔에서 개최했다. 나노영챌린지는 나노기술을 활용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 ...
- [Origin] 빅뱅 우주론의 수호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제 박사학위 논문 공개를 계기로 전 세계 많은 사람들이 별을 올려다보며 우주에서 우리의 위치를 생각해 보고, 우주를 이해해 보기를 희망합니다.” 호킹 박사는 자신의 논문을 공개하면서 이런 말을 남겼다. 논문 제목이 ‘팽창하는 우주의 성질(Properties of Expanding Universes)’이기 때문에, 내용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인간의 심장은 중앙에서 살짝 왼쪽으로 치우쳐 있습니다. 위와 비장(지라) 역시 왼쪽에 있고, 오른쪽에는 간이 위치합니다. 폐의 경우도 좌우 대칭으로 보이지만 사실 왼쪽 폐는 두 개의 폐엽으로, 오른쪽은 세 개의 폐엽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대장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구부러져 있죠. 그런데 17 ... ...
- [Origin] 착한 일을 하면 福을 받는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여럿이 공익을 위해 힘을 보탤 때처럼, 내가 도와준 상대가 장차 내 도움을 갚으리라고 기대할 수 없을 때조차 인간은 종종 착하게 행동한다. 보답을 바라지 않는 일방적인 선행은 어떻게 진화했을까. 어느 여름날, 한국전력으로부터 이런 편지를 받았다고 하자. “귀하의 도움이 세상을 바꿀 수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신세계를 향해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마고?”“죄가 없다고?”“무슨 소리지?”주위에 있던 사람들이 웅성거렸다.“죄송합니다. 저는 그동안 여러분을 속여 왔습니다. 지금부터 모두 상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마고, 도대체 무슨 소리야?”연구원 한 명이 외쳤다.“야, 제하림! 너 마고에게 무슨 짓을 한 거야?”“어, 저, 전 ... ...
- Part 3. 원더우먼 굴복의 팔찌, 천의 얼굴 플라스마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원더우먼이 손목에 무장한 ‘굴복의 팔찌’는 그리스의 신 제우스가 그의 딸 아테나에게 준 이지스(aegis) 방패로 제작된다. 신의 방패답게 팔찌는 총알은 물론 슈퍼맨의 두 눈에서 발사되는 ‘히트 비전’도 막아낸다. 또 얼굴 앞에서 굴복의 팔찌를 십자형으로 모으면 엄청난 에너지 펄스가 발사 ... ...
- [Origin] 이기적 유전자는 왜 중요한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많은 이들이 리처드 도킨스가 ‘이기적 유전자’를 통해 이룬 학문적 업적을 깎아 내린다. 그러나 ‘복제자’와 ‘운반자’ 개념을 구분해 자연 선택의 단위가 결국은 유전자임을 밝혔다는 점, 그리고 곳곳에서 쏟아지던 신선한 발상들을 유전자 선택론이라는 하나의 틀 안에서 통합했다는 점에서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추석 연휴 동안 노벨과학상 수상자가 발표됐다. 중력파는 검출된 시점부터 물리학상을 받을 걸로 예상돼 왔다. 화학상과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극저온전자현미경, 생체시계 연구도 ‘왜 진작 노벨상을 받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중요한 업적이다. 그런데 사실 강력한 수상 후보가 ... ...
이전7879808182838485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