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백"(으)로 총 6,5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최신강의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MIT 오픈 강의 ocw.mit.edu과학동아 l2004년 07호
- MIT의 고급유체역학뿐 아니라 항공역학, 비행시스템공학, 뇌와 인지과학, 인공지능 등 7백여개의 명강의를 만날 수 있다.오픈 강의에서는 PDF로 구성된 수업자료, 보충학습자료, 과제, 퀴즈와 시험문제, 프로젝트, 동영상 등 다양한 형식의 강의자료를 제공한다. 강의에 따라 전자기학처럼 학습서적, ... ...
- 7백23만자리 소수 발견과학동아 l2004년 07호
- 7백23만5천7백33자리에 이르는 가장 큰 소수(素數)가 발견됐다.소수는 1을 제외한 자연수 가운데 1과 자신의 수로만 나누어지는 수로 2, 3, 5, 7, 11 등이다. 4는 2로도 나눠지므로 소수가 아니다.BBC뉴스 인터넷판은 6월 7일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 고문인 조시 핀들리가 PC를 이용해 가장 큰 소수를 ... ...
- 동물도 눈치로 단어 배운다과학동아 l2004년 07호
- 물건을 집어오는 훈련을 받았는데 뜻밖에 놀라운 단어암기력을 보여 10살인 현재 2백가지가 넘는 물건의 이름을 기억한다고 한다. 연구자들은 리코가 아이들처럼 재빠른 연결짓기로 단어를 습득하는지 알아보기로 했다. 방안에 리코가 익숙한 7가지 대상과 낯선 물체 하나를 함께 둔 뒤 낯선 물체의 ... ...
- 자외선으로 본 안드로메다과학동아 l2004년 07호
- 은하의 진화를 연구하기 위해 거리가 먼 은하를 관측해서 가까운 은하와 비교하는 ‘룩백타임’(Look-Back Time) 효과를 적용한다. 거리가 멀수록 시간적으로 더 먼 과거의 모습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단은 이 효과를 이용한 은하의 자외선진화모델을 이미 개발했는데, 자외선우주망원경으로 ... ...
- 다재다능 이산수학 맛보기과학동아 l2004년 07호
- 에르도쉬 수를 살펴봐도 이산수학의 활용 여부를 쉽게 알 수 있다. 1914-2003년까지 약 1백년 동안 노벨상 수상자 중 물리학 분야에서는 42명, 경제학 분야에서는 13명, 화학분야에서는 14명이 에르도쉬 수를 2-8까지 가지고 있다. 또 노벨 의학상 수상자 중 5명의 에르도쉬 수가 3, 7, 8, 10, 11이다.그렇다면 ... ...
- 02. 무공해 식단 꾸리는 생물 농약과학동아 l2004년 07호
- 1백80여종에 이르는 성분들이 생물농약으로 등록된 상태며 제품 가지수만 해도 7백종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된다. 지금은 세계 농약시장규모(2백51억달러)의 3%에 불과하나 2010년 경이면 4백50억달러의 전체 농약시장의 10%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국내의 경우 현재 생물농약 사용비중은 전체 ... ...
- 08. 미래형 족집게 진단장비 생체자기센서과학동아 l2004년 07호
- 때문에 가급적 넓은 부위를 짧은 시간 내에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수십-수백개의 자기센서를 촘촘히 배열한 다채널 센서가 세계 각국에서 연구되고 있다.우리나라에서도 지난 1998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생체자기계측센터 이용호 박사 연구팀이 40채널 자기센서를 개발한 바 있다. 미국, ... ...
- 토종 검색엔진 달고 훨훨 나는 NHN과학동아 l2004년 07호
- 서비스다. 지금 여기에는 무려 2천만개에 달하는 지식데이터베이스가 쌓여있어 백과사전을 훨씬 능가한다. 지난해 10월부터는 블로그, 12월부터는 카페까지 검색이 가능해졌다. 인상깊은 여행지나 음식맛이 좋은 곳을 다녀와서 자신의 블로그나 카페에 올려놓으면 다른 사람들이 이것까지도 검색해 ... ...
- 효소가 좌우하는 노년의 운명과학동아 l2004년 07호
- 돌기를 구성하고 있는 미소섬유관이 엉켜 생긴 것이다. 신경세포 안에 있는 타우라는 단백질은 미소섬유관이 엉키지 않게 배열해주는 역할을 한다.그런데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경우에는 타우에 비정상적으로 인산이 많이 결합해 타우가 이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미소섬유관이 ... ...
- 카시니가 보내온 토성 위성 포이베의 모습과학동아 l2004년 07호
- 있다. 이전의 포이베의 모습은 1981년 NASA의 보이저2호가 토성 근처를 스쳐지나가면서 2백20만km 떨어진 거리에서 찍은 것이다.7월 1일 카시니호가 성공적으로 토성의 궤도에 머무르게 되면 최초의 토성 궤도선이 된다. 그리고 앞으로 4년간 토성에서 활동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카시니호가 싣고 간 ... ...
이전7879808182838485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