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타리
담
장벽
장애물
담장
칸막이
제방
d라이브러리
"
벽
"(으)로 총 1,946건 검색되었습니다.
“꼼꼼한 기출분석, EBS 교재 복습”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풀고 오답노트 만들어 반복해서 복습하는 것이 지구과학 1등급의 왕도다.그러나 완
벽
하게 준비된 학생도 한 두 문제는 틀리기 마련이다. 실력이 있는 학생들이 어려운 문제는 정답을 골라내면서도 간단하게 답을 낼 수 있는 문제에서 실수하는 경우가 많다. 어려운 문제를 접하면 지문도 두 번, 세 번 ... ...
트랜스포머 무한변신의 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스튜디오 안에서 자세를 낮추면 주변의 모든 화면이 아래서 올려다보는 각도로 보이고
벽
뒤의 장면도 살짝 고개를 돌려 엿볼 수 있다. 이 스튜디오도 하이브리드 슈퍼컴퓨터로 구현되지만 보이는 영상은 실제와 많이 다르다. 상하는 물론 전후좌우의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정해야 하는데, ... ...
아라뱃길 이야기마당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30명 이상이 단체로 참여하면 경인 아라뱃길 사업본부에서 그리기 지도를 받아 직접
벽
에 그림을 그릴 수도 있다. 아라뱃길 이야기마당은 어린이와 청소년뿐 아니라 성인도 얼마든지 참여할 수 있다. 문화 거리를 거닐며 내 이야기가 담긴 타일을 보는 색다른 경험을 즐길 수 있다.이 외에도 ... ...
“북한 비대칭 전력 첨단과학으로 막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그는 최근 성과 중 자랑할 만한 것들로 세계 정상급 성능을 가진 차세대 전차 흑표,
벽
뒤에 숨어 있는 적을 공격할 수 있는 K-11 복합형 소총, 인공위성을 이용한 군사용 통신체계 등을 꼽았다. 하늘을 날아가 적의 잠수함 머리 위에서 물속으로 뛰어드는 비행어뢰 ‘홍상어’도 ADD가 자랑하는 성과다. ... ...
PART 3 영재들은 왜 갖고 노는 걸까?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➍처럼
벽
면의 수가 홀수 개인 방이 두 개일 때는
벽
면의 수가 홀수 개인 방에서 시작해
벽
면 수가 홀수 개인 다른 방에서 끝나는 회로를 찾을 수 있다. 진원 군의 풀이가 어때? 놀라 입이 딱 벌어지지. 이런 활동은 수학영재에게 수학적 호기심과 새로운 발견에 대한 기쁨을 준대.수학영재들이 ... ...
월드와이드웹 20년, 아직 진화는 끝나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열리는 것이다.또 하나 근본적인 혁명이 바로 동시 번역, 통역 서비스로 인한 언어장
벽
해소다. 인터넷이 전 세계를 연결하고 있지만 사실 콘텐츠는 영어가 반을 넘고 그나마 다른 언어는 해독조차 어렵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1인당 인터넷 트래픽수가 세계 1위라지만 결국 찾아가는 곳 대다수는 ... ...
폴링 스카이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마비되어 움직일 수 없다. 이상한 사람들이 방 안에 있어 성교를 하거나 아프게 한다.
벽
을 뚫고 공중에 떠서 하늘로 날아간다. 어디서 많이 들어본 내용이 아닌가.미국에는 ‘가위’를 뜻하는 정확한 단어나 개념이 없다. ‘수면마비’라는 말이 있지만 다소 개념이 다르다. ‘가위현상’을 계속 ... ...
PART 3 미녀새 이신바예바보다 더 높이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추정하고 있어요. 20년째 제자리인 멀리뛰기 기록이 과연 언제쯤 깨질까요? 또 9m의
벽
은 과연 누가 깰 수 있을까요? tip 우사인 볼트가 멀리뛰기에 도전?멀리뛰기 세계기록은 20년이 넘도록 깨지지 않고 있다. 우사인 볼트가 멀리뛰기 훈련도 시작한다면 신기록에 도전할 수 있을 것이다. 8월 27일 ... ...
아이스크림이 혀에 착 감기는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원액이 내
벽
에 닿는 즉시 얼어붙게 한 것이다. 칼날은 중앙에서 드릴처럼 회전하며
벽
에 붙은 아이스크림을 긁어냈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아이스크림 속에 공기가 얼마나 섞이는가다. 김 실장은 “부드러운 식감은 아이스크림 속에 들어있는 공기의 양이 결정한다”며 “프리저는 아이스크림 ... ...
과학동아로 살펴본 과학 핫이슈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수소 기체를 빼냈는데, 이때 나온 수소가 원자로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벽
중 가장 바깥
벽
안쪽에 고여 있었다. 그러다 건물의 내부 온도가 올라가면서 폭발을 일으킨 것이 사고 초기의 수소폭발이다. 이은철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폭발 전에 수소 기체를 미리 빼내지 않았다는 지적이 ...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