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원"(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아폴론의 저주를 풀어라! 2500년의 도전수학동아 l2022년 04호
- 기원전 450년 즈음 고대 그리스였던가. 태양의 신인 나를 부정하는 수학자 아낙사고라스를 혼내 주기 위해 태양을 네모나게 만들어 버렸다!태양을 원래 상태로 되돌리려면 내가 낸 문제를 풀어야 하지!과연 인간들은 곡선의 원을 직선인 네모로 만들 수 있을까?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 ...
- [폴리매스 수학자를 만나다] "수학으로 인공지능을 연착률시킬래요!" 현윤석 인하대 교수수학동아 l2022년 04호
- 길로 다시 들어선 계기는 무엇이었을까요? Q 박사 학위를 받은 후 고등과학원에서 연구원으로 일하셨어요. 보통 교수가 되기 위한 행보인데, 어떤 계기로 삼성전자에 들어가시게 된 건가요? 현실 문제와 가까운 연구를 해 보고 싶었어요. 삼성전자에서 자율주행차에 쓰이는 기계학습인 ... ...
- [IPCC 제6차 평가보고서 해설서] 가난한 사람에게 더 가혹한 기후위기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지난 2월 28일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제2실무그룹(WG2)의 제6차 평가보고서를 공개했다. 3개 실무그룹으로 구성된 IPCC는 5~8년마다 기후변화 평가보고서를 발표한다. 여기에는 기후변화는 물론 생물다양성 손실, 급속한 도시화, 전염병 등 전 세계에서 일어나는 비기후적 요인을 함께 ... ...
- [논문탐독] 서로의 몸을 이해하다 동물과 함께 살아가는 방법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새롭게 접한 논문은 나의 지식의 세계에 위치시켜야 의미가 있습니다. ●성한아 연구원의 논문 읽기 노하우 과학철학, 과학기술학 논문은 어디에 실리나요?‘소셜 스터디즈 오브 사이언스’ ‘사이언스 테크놀로지 & 휴먼밸류’ 등 국제학술지가 대표적입니다. 국내 학술지로는 ... ...
- [가상 인터뷰] 2배속으로 강의를 들어도 학습 결과가 같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1.5배속과 2배속 그룹은 21개, 2.5배속 그룹은 20개였어요. 연구팀의 딜런 머피 박사 과정 연구원은 “강의 시청 속도를 2배까지 높인 경우에도 강의 이해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설명했어요. 다만 “정상 재생 속도의 2배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하며 “어렵고 복잡한 내용의 ... ...
- [기획] 2500년 만에 태양을 되돌린 수학자수학동아 l2022년 04호
- 조각으로도 타르스키 문제를 풀 수 있음을 보인 거예요. 오재성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연구원은 “타르스키 문제는 오랜 시간 여러 사람을 거치면서 질문이 구체화되고 풀이법이 발전되어 왔다”며, “수학은 이렇듯 점점 더 좋은 질문과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이 ... ...
- [과학뉴스] 아마존 열대 우림, 75%가 복원력 잃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사실이 드러났다. 연구팀은 벌목 등 인간 활동을 복원력 상실의 이유로 분석했다. 볼턴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아마존 열대 우림이 복원력 임계점에 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며 “전 세계적으로 생물다양성, 기후변화 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한상민 ... ...
- 암흑물질의 추적자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탐색해 온 암흑물질의 주요 후보다. 3월 8일 화상 인터뷰를 통해 만난 이현수 기초과학연구원(IBS) 지하실험연구단 부단장은 “그동안 전 세계의 과학자들이 실험을 통해 윔프가 존재할 질량 범위를 많이 좁혔지만, 최근들어 이론적으로 제시되는 윔프의 질량 범위가 훨씬 더 큰 폭으로 증가했다”며 ... ...
- [특집] 같이 할래? 시민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지구사랑탐사대는 어느덧 올해로 10번째 주인공을 기다리고 있어요. 2013년 약 300명으로 시작된 지구사랑탐사대는 이제 3000여 명의 대원이 다양한 생물을 탐사하고 기록하는 시민과학 프로젝트로 성장했지요. 시민과학자들이 앱에 올려준 자료는 과학자들의 연구에 쓰이고 있어요. 지구사랑탐사 ... ...
- [특집] 당신에게 시민과학은 무엇인가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연구교수 나미라이화여자대학교 자연대학 에코크리에이티브 협동과정 연구원 시민과학의 무엇이 시민과학자로 활동하는 동기가 되나요? 내가 측정하고 관측한 데이터가 모여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다는 것, 나 또한 다른 시민과학자가 측정한 데이터에 접근해 새로운 무언가를 할 수 ... ...
이전7879808182838485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