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일"(으)로 총 1,925건 검색되었습니다.
- 불굴의 탐사선 하야부사과학동아 l2011년 11호
- 큰 과학적 성취이다.우주탐사가 시작되기 전까지 지구 밖의 우주 물질을 접할 수 있는 유일한 기회는 운석이었다. 이 운석은 대체 어디서 오는 걸까. 운석의 기원에는 여러 가설이 있지만 그 중 하나가 태양계 초기에 행성이 만들어지기 전 단계인 미행성이 부서진 잔재라는 설이다. 행성이 되지 ... ...
- 달리는 로봇 어떻게 만들까과학동아 l2011년 11호
- 공개하지 않습니다. 누군가 로봇의 달리기 방법을 공부하고 싶다면 찾아볼 수 있는 유일한 논문은 오히려 한국에 있습니다. 이 논문을 쓴 사람은 조백규 국민대 기계시스템공학부 교수로, KAIST에서 박사과정을 하며 휴보의 달리기 기능을 개발할 때 이 논문을 썼습니다. 지도 교수는 바로 휴보 아빠인 ... ...
- 별 삼키는 블랙홀 봤다!과학동아 l2011년 10호
- 망원경은 학술적으로 국제 경쟁력이 있는 결과를 낼 수 있는 우리나라에서 사실상 유일한 망원경”이라고 덧붙였다. 천문대 대장은 국내외 연구진들의 사용신청서를 검토해 사용시간을 배정해주는 권한이 있다.39억 년 전 어느 날 일어난 사건이번에 보현산천문대 망원경이 관측에 기여한, 거대질량 ... ...
- 우주에서도 깨끗한 물 마신다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원판은 노란색에서 보라색으로 변한다. 지금까지 우주정거장의 수질을 분석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은 지구로 가져오는 것이었다.연구에 참여한 빌 루퍼트 박사는 “실험실에서 쓰는 방법을 최대한 단순화시켜야 했고, 무중력 상태에서도 쓸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야 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곧 ... ...
- [과학뉴스] 보이저 호, 태양계를 떠나 우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0호
- 1호는 탐사선 중 최초로 목성과 토성에 도착해 자세한 영상을 보내왔고, 보이저 2호는 유일하게 천왕성과 해왕성을 방문하기도 했답니다. 두 탐사선은 지구 사진118장과 세계의 음악과 자연의 소리, 55개국 언어로 된 인사말등을 싣고 있어요.미항공우주국 과학자들은 두 탐사선이 거대한 태양계에서 ... ...
- 촉촉한 똥은 애벌레가 있는 곳을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식물을 먹는 초식성이다(한반도에서도 일본납작진딧물을 먹고 사는 바둑돌부전나비가 유일한 육식성). 그래서 모든 나무와 풀에는 나비목 애벌레가 존재한다고 믿어도 된다. 천천히 산길을 걷다보면 종종 나뭇잎에 앉아있거나 줄기에 매달려있는 모습이나 길을 걸어가는 애벌레들을 발견할 수 ... ...
- 주먹도끼를 찾아 떠나는 구석기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사용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어요. ‘아슐리안 주먹도끼’라고 부른답니다. 동아시아에서 유일하다니! 역사적으로 중요하겠네요물론이에요. 그동안 주먹도끼는 아프리카와 유럽에서만 발견됐어요. 이를 근거로 세계학자들은 아시아인은 아프리카나 유럽의 고대인만큼 발달한 문명을 갖지 못했다고 ... ...
- [수학으로 TV 보기] 복불복에서 까나리를 피하려면?수학동아 l2011년 09호
- 실패해 밤샘 촬영을 강행해야 했는데, 짝짓기 게임은 그들이 밤샘 촬영을 면할 수 있는 유일한 탈출구였다.게임 방법은 이렇다. 멤버들은 각자 6개의 방에 격리된 뒤, 1박 2일 멤버 중 가장 친하다고 생각하는사람을 손바닥에 적는다. 그 다음 다시 함께 모여 서로의 이름을 적은 사람들만‘밤샘 촬영 ... ...
- 어른을 위한 공룡 책!과학동아 l2011년 09호
- 비교적 최근 정보를 담고 있지만 2010년 이후 정보는 없다는 점이 아쉽다. 국내 거의 유일한 고생물학 시리즈물인 ‘오파비니아 총서’ 8번째 권으로 책의 수준을 믿을 만하다. 고생물학과 고인류학 책을 자주 번역한 역자의 번역도 안정적이다 ... ...
- 심해잠수정 얼마나 깊이 내려가야 하나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쉽지 않다.한국이 독자 개발한 과학실험용 유인 잠수정은 1987년에 개발한 ‘해양 250’이 유일하다. 탑승인원 3명으로 해저 250m까지 탐사할 수 있으며 수중카메라와 비디오, 로봇팔 등을 탑재하고 있다. 서해 앞바다 탐사용으로 낮은 수심에 적합하게 개발했지만 서해의 혼탁함 때문에 그리 자주 ... ...
이전7879808182838485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