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전력
아웃풋
프린트
인쇄
d라이브러리
"
출력
"(으)로 총 1,172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 명령을 간편하게 처리하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루트 디렉토리에 config.sys 파일이 있으면 이를 읽어들여, 추가적으로 장착된 비표준 입
출력
장치 또는 도스의 소프트웨어적 장치들을 인식하여 이를 설치한다.이 다음에는 명령어 해석기인 command.com을 읽어들이는데 이것이 끝나야 비로소 자동실행 배치파일을 찾아서 실행시키는 것이다. 사실 ... ...
초고속선 개발 경쟁시대 왔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외국에서 도입했다.성능이 우수한 초고속선의 개발에는 앞에서 언급한 고속화 기술, 대
출력
추진장치기술, 선체구조 경량화기술, 선체 운항자세 제어기능 등을 비롯한 여러 장비 시스템을 하나의 경제적인 최적시스템으로 구성하는 시스템 종합설계 기술이 필요하다. 외국에서는 지금까지의 고속선 ... ...
물과 빛으로 쇠를 자른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개발돼 국내에 공급되고 있다. 레이저절단시스템은 아직 국내개발실적이 없지만 최근 저
출력
의 이산화탄소레이저 발진기가 국내기술로 제작돼 조만간 레이저절단시스템도 완전 국산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워터제트절단과 레이저절단시스템은 공장자동화나 유연생산시스템 구축에 필수적인 ... ...
좋은 천체망원경을 고르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자동추적이 가능하다. 고가지만 컴퓨터화 시킨 조정장치로 천체의 위치를 기억하고
출력
하여 천체를 추적하게 해주는 액세서리도 판매되고 있다.적도의식에는 적경축과 적위축을 설치하는 방법에 따라 여러가지가 있지만 아마추어가 사용하는 소·중형 망원경에는 다음 두가지 형태의 적도의가 ... ...
프랑스의 미래도시 퓨처로스코프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영상을 보내려면 어안(魚眼)렌즈를 사용해야 한다. 또한 이 영상관은 1만2천8백W의 고
출력
음향효과를 자랑하고 있다.쇼스캔(Showscan)영상관도 퓨처로스코프가 자랑하는 첨단의 레저시설중 하나다. 이것은 1988년 도입된 새로운 영상투영방식으로 70㎜필름이 1초 동안에 60장면이나 영사된다(일반영화는 ... ...
디스크와 파일의 중개인 디렉토리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자신에게 필요한 파일을 찾는다는 것은 엄청난 고역이다. 수백개의 파일이 화면에
출력
된다면 한 화면씩 끊어서 보는 DIR/P라는 명령을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한 화면이 25행이므로 줄잡아 DIR/P를 10회 이상 실행해야 할 것이다. 또한 프로그램 파일과 데이터 파일의 구분이 모호해져 데이터 파일을 ... ...
3. 디스크 관리 프로그램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캐시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검색하는 시간이 늦어지므로 오히려 하드디스크 입
출력
속도가 떨어지게 된다.SMARTDRV.SYS(스마트드라이브)는 MS-도스5.0판 또는 윈도우즈 3.X판에서 함께 제공되는 디스크캐시 유틸리티이다. 스마트드라이브는 다른 디스크 캐시 유틸리티와 마찬가지로 캐시 메모리로 ... ...
1. 하드디스크와 플로피디스크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직접 보이지 않는다. 하드디스크는 플로피디스크보다 많은 자료를 읽고 기록하며 입
출력
속도가 매우 빠르다.디스크의 표면은 0이나 1을 나타내는 최소단위의 정보인 비트(bit)가 저장되는 점들의 모임으로 이해하면 된다. 이러한 점들의 위치를 절대적으로 정확히 정하기는 매우 어렵다. 따라서 어떤 ... ...
무인 자동차의「화려한 외출」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이동하기 시작한다. 탑승객의 호기심을 일깨우기 위하여 이 정보를 컴퓨터 화면에
출력
시켜 차량의 현재 주행위치와 방향 그리고 가고자 하는 도로를 화면에 나타난 지도위에 표시할 수도 있다.앞서 설명한 두 장치와 이 세번째 개념이 결합되면 비로소 인간의 운전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 ...
연료전지란?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6월에 정격
출력
1KW급 인산연료전지가 에너지기술연구소에 의해 성공적으로 개발돼 최대
출력
1.2KW를 기록한 것이다. 순수 국내기술로 설계제작된 1KW급 연료전지는 35개의 단위전지를 쌓아(적층해서) 제작됐다. 비록 용량 면에서는 선진국에 비해 매우 떨어지지만 몇몇 선진국이 독점하고 있는 기술을 ...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