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액자
모형
틀거
판
사진틀
프레임
금형
d라이브러리
"
틀
"(으)로 총 843건 검색되었습니다.
별들의 수수께끼에 생애를 걸다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가진 학문으로 발전하고 있다. 수학과 물리학을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분야임은
틀
림없으나 화학이나 생물학이 가미된 천문학 즉 천문화학·천문생물학·우주생물학 등이 등장하고 있다.인간이 수천년에 걸쳐서 우주를 좀 더 알고자 노력했으나 우리의 지식은 아직도 지극히 미미하다. 우주라는 ... ...
「컴퓨터 문명」시대가 오고 있다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정보원들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것도 컴퓨터의 덕이다. 컴퓨터는 일상적이고
틀
에 박혀있는 번거로운 일을 도맡아 인간을 보다 창조적인 일에 몰두할 수 있게끔 하는 것이 그 주요업무이다. 컴퓨터만 들여오면 모든 문제는 해결되는 것일까. 그러나 문제는 그렇게 간단하지만은 않다. ... ...
한종하 박사에게 들어본다 주입식교육, 언제까지나 계속할것인가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기초연구를 중시하고 언어학강좌를 개설하고 있다. 또 수학과의 경우엔 시험직후 무엇이
틀
렸는가를 알아내 나중에 답을 고쳐도 점수를 준다는 것. '모방'에서 '창조'로 넘어가려 발버둥치는 일본이 교토대의 잠재력에 주목하고 있는 것은 바로 이 때문. 자유롭고 개성을 존중하는 분위기에서만 ... ...
과학기술계에도 대전환 있어야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떠드는 식의 일이 다시 되풀이돼서는 안될 것이에요. 앞으로 새정부는 적어도 합리적인
틀
을 짜놓고 과학기술을 진흥시킬 생각을 해야 합니다. 이제 많은 압력단체가 생겨 주장이 백출할텐데 이를 판단할 기준을 정부가 갖고 있어야 할 겁니다. 이런 문제는 외국에도 자료가 많습니다. 우리나라같은 ... ...
한국과학기술대학 과학영재의 산실로 뿌리내리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있는 자체행사를 개발해냈다. 아직은 많이 모자라지만 대학으로서 갖추어야 할 지성의
틀
을 조금은 마련했다고 생각한다." 과학기술대 내에는 34개의 학생서클이 조직돼있다. 뿌리 창작문화연구회 디딤돌 일본연구회 등의 학회와 각종 종교서클, 취미활동을 위주로 하는 소리모음 국악연구반 ... ...
정부와 학계의 견해,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대학 △ 보다 전문화된 기초과학연구 △ 이에 바탕을 둔 응용기술개발이라는 짜임새있는
틀
은 갖춰지기 힘든 것으로 보인다. 천문학자가 점성술사로 전락되고 수학자가 기업의 경리회계사로 전락되는 풍토는 반과학적이라기 보다는 차라리 몰과학적인 비극이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 ...
너무 커서 숨길 장소도 찾지 못해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관련이 있는게
틀
림없다고 항공관계 전문가들은 말하고 있다. 시험비행을 마친뒤 시아
틀
근교의 보잉회사구내에 착륙하고 있으나 근접 촬영을 금했다. 그러나 비행기가 워낙 커서 격납고에 들어가지 못하는지 그냥 노천에 세워둬서 망원렌즈로는 찍을수 있었다 ... ...
공과대로 발전해온 신흥세력 아주대학교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것으로 보인다.아주대측은 건물신축 등 5개년종합개발계획을 추진, 대학발전의 획기적
틀
을 마련하고 있다는 것인데. 더 이상의 대학팽창은 원치 않는댜는 얘기다. 즉, 현재 공대 이과대의 이공계통과 문과대 사회대 경영대의 인문·사회계통 그리고 의과대 등 6개 단과대학으로 당분간 변동없을 ... ...
암연구의 선구 로버트 와인버그 Robert Weinberg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손수 착공했다. 그는 우선 집터를 닦는 일부터 시작했다. 그리고 계획을 작성하고 집
틀
을 끼우고 발전기를 만들었으며 정원을 설계했다."나는 언제나 건축업자나 농부나 또는 정원사가 되었어야 했다고 생각했다. 판자를 함께 모아 못질을 어떻게 할 것인가 또는 구멍을 얼마나 깊게 팔 것인가 또는 ... ...
전자공학도 배출에 앞장서는 광운대학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통신공학과 무선통신학과 등이었는데, 전자공학 분야를 상당히 밀도있게 접근하려는
틀
이 갖추어진 셈이다. 그후 광운전자공과대학 광운공과대학을 거쳐 지난 83년에는 학교이름을 광운대학으로 바꾸어 종합대학으로의 발전을 내다보게 되었다. 서울 도봉구 월계동에 위치한 캠퍼스에는 공학부 ...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