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체화
상
d라이브러리
"
한 면
"(으)로 총 2,602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 변신
한
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로봇들. 영화 속에서 그들이 변신하는 장
면
을 보고 있노라
면
,
한
치의 오차도 없음에 입이 다물어지지 않는다. 영화가 끝난 뒤에도 여운이 쉬이 가시지 않는 로봇의 세상. 안타깝게도 눈을 씻고 찾아봐도 현실세계엔 우리를 지켜줄 오토봇도 그들과 치열
한
전쟁을 선포
한
디셉티콘 군단도 없다. 흠…, .. ...
시베리아 횡단열차 살인미수 사건①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넘는 거리를 정지하지 않고 달려야
한
다는 건가요?”“열차가 멈추
면
범인이 달아날 수 있기 때문이오. ... 이제 어떡하지? 진짜 범인이 있다
면
우리 모두 위험
한
거 아니야?”“선생님, 세르게이 아저씨도 자물쇠가 잠긴 특실에 갈 수 없었어요. 우리가 판 승차권을 가지고 있었잖아요. 그런데 그 ... ...
과학동아로 살펴본 과학 핫이슈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유라시아판은 서에서 동으로 이동
한
다. 반
면
태평양 전체를 이루는 해양지각인 ... 균일
한
공간에서는 진행방향에 수직
한
평
면
에는 구속돼 있다.그러나 자기장에 나란
한
방향으로는 이동하기 때문에 자기장이 이동 방향으로 무
한
히 길지 않으
면
입자는 결국 자기장을 탈출 ...
폴링 스카이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같은 일을 했다’는 성찰을 제외하
면
아직 그렇게까지 신선
한
철학을 보여주지도 않았다. 사실 ... 외계인이 많이 오는 나라다. 미국의
한
조사에 따르
면
외계인에게 납치됐다 돌아온 사람이 미국에서만 400만 명에 이른다고
한
다. 미국 인구와 비교 했을 때 75명 중
한
명 꼴이다. 어 ...
Part 2. 미세조류, CO2 먹고 바이오디젤 내놓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화석연료에 비해 비경제적이겠지만 이런 환경 측
면
까지 고려
한
다
면
충분히 가능성이 있는 사업입니다.”지구의 대기에 산소가 거의 없던 30억 년 전 바다에 나타나 광합성을 하며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소모하고 산소를 내뿜으며 오늘날 지구의 대기를 만들어낸 미세조류. 육상생물의 토대를 ... ...
제10회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과학자들은 대체로 대중을 위
한
글을 잘 쓰지 못
한
다는 편견을 갖고 있다. 실제로 그런
면
이 없지 않다. 빈약
한
우리나라 과학 교양도서 출판 실태만 봐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이공계 공부를 했더라도 과학 논문을 비롯해 대중적인 글도 잘 써야
한
다. 글은 다른 사람에게 자기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 ...
과학동아가 추천하는 논구술 책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놓았다. 제목 그대로 청소년이라
면
꼭 알아야 할 배경지식으로 추천할 만하다. 마지막 장에서는 노벨상에
한
발짝 다가가고 있는 세계 속의
한
국 ... 대
한
기초지식을 갖고 있어야
한
다. 평소에 교과과정에 충실히 따랐다
면
충분히 가능하다. 두 번째는 단순히 사실을 받아들이기보다는 ‘왜’ ...
수학적 원리 알
면
새 주소가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주소가 도로이름과 건물번호로 바뀌는 것이다. 새 주소는 간단하
면
서도 편리
한
수학적 원리를 담고 있다. 새 주소의 원리를 알아보자.새 주소 쓰
면
모르는 집도 쉽게 찾아 “쪽지에 적힌 주소로 빨리 찾아오세요.”같은 미션을 받은 호동이와 승기는 자신의 쪽지를펼쳐 봤다. 호동이의 ... ...
수학일기는 나만의 포트폴리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마지막은 자신이 느끼고 생각
한
것을 적으
면
서 각오나 다짐으로 간단하고 ... 왜 나왔을지 생각해보고 기록
한
다
면
수학적 지식도 쌓고 자신의 생각도 정리할 수 있다.수학일기에 아주 새롭고 어려웠던 것만을 쓸 필요는 없다. 일상 생활이나 사소
한
일, 갑자기 든 생각에서 시작할 수 있다. 수학과 ... ...
PART 1 수학자는 왜 비눗방울을 좋아할까?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팽팽하게 잡아당겨진다. 이때 액체에는 표
면
적을 가능
한
한
작게 만들려는 힘이 생긴다. 이를 ‘표
면
장력’이라고
한
다. 아침에 이슬이 풀잎 위에서 동그란 모양을 띠는 것도 소금쟁이가 물 위를 가볍게 떠다닐 수 있는 것도 모두 물의 표
면
장력 덕분이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16세기 초반에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