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회
현대
d라이브러리
"
현대사회
"(으)로 총 1,189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팽창은 엔트로피 증가현상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우주(宇宙)란 시간과 공간을 뜻한다. 시간은 물질이 차지하는 영역이고 물질의 변화가 바로 시간이다. 시공간을 어떻게 이해하느냐는 것이 현대 우주론의 정수이다.중국 전한시대의 회남자(淮南子)에 따르면 사방상하(四方上下) 이것을 우(宇)라 하고, 왕고래금(往古來今) 이것을 주(宙)라고 한다 했 ... ...
지구환경문제의 새 시각 '가이아'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가이아이론의 창시자 러브록은 지구환경 문제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했다. 그는 살아있는 지구의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지구의학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흰개미는 역할에 따라 제각기 여왕개미 수캐미 병정개미 일개미로 발육하여 수만마리씩 큰 집단을 이루고 살면서 질서 있는 사 ... ...
3 '자연으로 돌아가자' 가치관 절실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고에너지 산업을 향해 치달아온 현대문명은 이제 갈림길에 섰다.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무엇이 요구될까. 그 속에서 한국의 역할은 어떤 것이 될까.청동기 시대에는 20세였다는 인간의 수명이 이젠 거뜬히 80-90세까지 늘어났다. 그런가 하면 온갖 기계 덕분에 너나 할 것 없이 노예 수십명을 ... ...
전남대(자동차 분야)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현대문명의 꽃'으로 불리는 자동차. 그 제조 공정에는 모든 공학 분야가 동원된다고 봐도 무방하다. 그래서 자동차 공학은 흔히 '종합 기술 과학'이라 불리기도 한다. 또한 국 내외의 전례(前例)를 보더라도 자동차 분야는 학문으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고용 창출과 경제성장 기여도에 핵심적인 ... ...
한글 왜 과학적인가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한글이 '가장 과학적인 글자' 라는 교육을 쉴새 없이 받아온 사람들도 왜 '과학적' 인지에 대해 이해할 만한 설명을 못하는 경우가 많다. 더욱이 컴퓨터 프로그래머들은 컴퓨터에서의 한글 표현이 쉽지 않다는 이유로 한글이 '비과학적' 이라고까지 주장하는데… 하지만 결론은 역시 '한글은 과학적' ... ...
1 한번쓴 자원, 원상회복 안된다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열역학 제2법칙인 엔트로피법칙은 물질과 에너지가 한 방향으로만 바뀔수 있음을 천명한다. 이는 엔트로피가 증대되는 방향인데, 우주 삼라만상은 가치와 질서가 있는 상태로부터 가치가 없는 혼돈 상태로만 변해간다.향수병의 뚜껑을 열어두면 향기가 온 방안으로 퍼지게 된다. 그러나 반대의 경 ... ...
1. 동호회 '엠팔'서 출발 세계 '인터네트' 가입까지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가입자 50만명을 헤아리는 PC통신 인구.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한 우리의 PC통신은 인터네트의 상용 서비스로 새로운 도약기를 맞고 있다. 지금에 이르기까지에는 불모지에 밭을 일구려는 모험가들의 험난한 수고가 있었으니···. 국내 PC통신의 씨앗 '엠팔' 회원이 말하는 통신 ... ...
카타스트로피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수학이라면 수나 식의 계산만을 상상하기 쉽다. 그러나 카타스트로피 이론은 그러한 생각과 전혀 다른 방법을 쓴다. 수나 식으로 현상을 설명하기보다 대상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흥미가 생긴다.최근 한반도를 중심으로 국제 정세는 위기 일발의 직전에 있었다. 북한에 대한 UN제재안 ... ...
(2) 오염 피해 수중과 우주로 이주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앞으로 1천년 이내에는 유전자조작, 복제 등으로 만들어진 인간들이 탄생해 현생 인간집단들과 공존할 것이다. 이때에는 지구가 엄청나게 오염돼 대기 중에서 생존하는 것과 음식 구하기가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인간은 창조됐다고 믿었던 시대가 지난 지 얼마 되지도 않은 20세기 말, 즉 다윈의 '종 ... ...
(1) 생태계 황폐화, 더 이상 살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이제까지 생물은 자연환경에 적응함으로써 생존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생물이 새 환경에 적응할 시간적 여유 없이 환경이 갑자기 변화해 간다면 어떻게 될까? 생물은 다른 곳으로 이주하거나 그렇지 못할 경우 절멸할 것이다.사람은 얼마나 오랫동안 이 지구 위에 살수 있을까? 지금의 모습이 앞으로 ...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