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면
지침
지상
그라운드
땅
장소
근거
어린이과학동아
"
지표
"(으)로 총 823건 검색되었습니다.
풀숲에 돋은 얼음 가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130
하늘 높은 곳에서 구름이 되어 비나 눈으로 내리고, 풀이나 돌에 이슬로 맺히기도 하지요.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는 초겨울 새벽에는
지표
근처의 수증기가 얼어 마른 풀잎이나 돌에 달라붙기도 해요. 이것을 서리라고 불러요. 추운 날 아침 일찍, 개울가나 호숫가의 마른 풀잎에 달라붙은 서리를 찾아보세요. 돋보기로 좀 더 가까이 들여다보면 가시처럼 뾰 ...
첫눈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130
폭설의 경우에도
지표
면은 영상이었지만 상공 5㎞ 부근은 영하 35℃ 안팎의 온도였다고 하는군요. 이 곳에서 구름이 눈이 되어 내릴 때
지표
면까지 오는 동안 녹지 않으면 눈이 내리는 것이고 녹으면 비가 되어 버린답니다. 이제 정말 겨울이에요. 감기 조심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말미잘은 명예기자들의 참여로 이뤄집니다. 매 호 주어지 ...
거미줄에 맺힌 보석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031
속에는 수증기가 많이포함되어 있어요. 이 수증기는
지표
의 물이 증발해 만들어졌지요. 때론 나뭇잎의 기공에서 증발된 것도 있어요. 수증기는 하늘 높은 곳에서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로 응결하여 구름이 되고, 눈이나 비가 되어 내려요. 기온이 낮을 때에는 수증기가 땅 위에서 물방울이 되어 가까운 물체에 달라붙기도 해요. 이것이 바로 이슬이에요. 기온 ...
오락가락~ 변덕쟁이 가을 날씨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011
본 적 있니? 나뭇잎의 흰 수염은 서리야. 서리는 공기 중의 물방울이 새벽녘 주변 물체에 붙어 얼음이 된 거지. 대륙의 고기압이 밤새
지표
면을 차게 만들면 기온이 얼음이 어는 영하까지 떨어지거든. 24절기 중 10월 23일 경이 첫 서리가 내린다는 ‘상강’이야. 올해는 10월 24일인데 벼를 베고 보리를 심느라 바쁜 때야. 새벽에 내린 서리는 ...
암석을 쪼개는 자연의 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011
자연의 힘 앞에서는 견디지 못해요. 땅 속 깊은 곳에서 마그마가 식어 암석이 될 때, 암석 안에 가는 균열이 생기기도 해요. 암석이
지표
로 드러나면 이 균열에 물이 스며들면서 얼고 녹는 과정이 되풀이 되고, 그에 따라 균열이 점점 커져요. 결국 암석은 균열을 따라 쪼개지고 조각조각 떨어져 나가지요. 암석의 작은 균열에 나무가 자라면서 암석이 쪼 ...
인간이 창조한 별들의 콘서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920
[소제시작]과학자들의 든든한 조수[소제끝] 인공위성은 과학 연구에도 큰 도움을 주고 있어. 인공위성에서는 구름의 이동이나
지표
면의 변화 등 거대한 규모의 현상을 한눈에 볼 수 있어. 인공위성을 이용해서 날씨나 자연 재해를 예측하는 건 예전부터 했던 일이지만 지금은 훨씬 더 정밀해졌어. 또한 위성이 관측한 내용이 공개되기 때문에 과학에 관심이 ...
반짝 별똥별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831
공기가 없는 우주와 달리 지구는 공기로 가득 차 있기 때문에 암석이나 먼지가 대기권으로 들어와 떨어지면서 불에 타요. 보통
지표
면 상공 80~120㎞ 사이에서 유성이 나타나지요.” “닥터고글 말이 정확해. 지구에서 보면 유성은 하늘을 가로질러 별빛이 발사되는 것 같아서 서양에서는 ‘슈팅 스타’라고도 하지.” “에? 먼지가 타는 거라구? 닥터고 ...
봉도사의 벼락을 피하는 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810
크구나. 그러니 앞으로 등산을 갈 때는 내 부적이 써 있는 이 우비를 꼭 챙겨 입도록 해라.” 실제로 과학자들은 지구온난화가 심해져
지표
와 해수면의 온도가 올라가면 대기가 불안정해져 벼락도 늘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부적이라는 말은 여전히 의심스럽지만, 갈수록 해박함이 드러나는 봉도사의 과학 지식은 놀랍기만 한 닥터고글. 닥터고글은 봉도사에게 ...
일본까지 날아간 현수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531
했다. “공기가 열을 받아 데워지면 가벼워져 위로 올라가면서 이동을 하게 됩니다. 이것을 대류운동이라고 하고, 대류운동의 결과
지표
위에서 일어나는 공기의 흐름을 바람이라고 하죠.” 이러한 공기의 흐름은 지구 전체로도 일어난다. 지구는 23.5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적도 부근이 극지방보다 태양으로부터 받는 에너지가 더 많다. 따라서 지구의 에 ...
우주로 이사 가는 날! (1)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111
이러한 사실은 생명체가 있을 수도 있다는 생각으로 이어져 인류는 계속해서 화성을 향해 가고 있다. 물론 화성은 대기가 희박해서
지표
면으로 물이 나올 경우 바로 끓어서 없어지지만, 2005년에 화성 표면을 찍은 사진에서 물이 흐른 것처럼 보이는 흔적이 발견되면서 화성에 물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관심은 더욱 커지고 있다. 만약 화성에 물이 액체 상 ...
이전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