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픔
고난
괴로움
고뇌
쓰라림
어려움
곤란
뉴스
"
고통
"(으)로 총 1,083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병 피하는 ‘세 부모 아이’ 시술, 성공률 높이는 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01
1저자인 강 연구원은 “이번 연구로 안전성이 확보된다면 미토콘드리아 유전병으로
고통
받는 가족들도 빨리 건강한 아이를 얻을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 ...
‘순실증’으로 사회가 엉망입니다. 어떻게 살아야 할까요?
2016.11.28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하였습니다. 어느 누구도 우리를 시련에서 구해줄 수 없고, 대신
고통
을 짊어 지지도 못합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세상에 대한 우리의 행동과 태도, 즉 우리 자신을 바꾸는 것뿐입니다. 영원히 굴러 떨어지는 바위를, 다시 밀어 올리는 시지푸스만이 이방인의 삶을 ... ...
고통
받는 사슴, 사냥했어야 했나 ‘논란’
2016.11.24
이 사슴을 사냥했고 발의 모습을 더 자세히 촬영한 사진도 공개했다. 비난이 쏟아진다.
고통
받으며 사는 불쌍한 사슴을 사냥했어야 하는 것이냐 묻는다. 반론도 있다. 사냥꾼을 옹호하는 네티즌들은 ‘사슴이 더 편한 곳으로 갔다’고 말한다. 양쪽 주장에서 사냥꾼은 잔인한 사람 또는 자비로운 ... ...
비아그라는 해발 몇 m부터 고산병 예방 효과가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6.11.23
게다가 발기를 저해하는 물질 ‘PDE 5’는 분해했고요. 그야 말로 특정 증상 때문에
고통
받는 남성에게는 꿈의 약이 된 셈입니다. 그 이후로 비아그라는 관련 약품의 대명사로 자리 잡았습니다. Tim.Reckmann(W) 제공 1998년 정식 출시 된 이후로 비아그라는 그야말로 탄탄대로를 걸어왔습니다. 2013년까지 ... ...
백인 미국인은 한국인을 어떻게 볼까?
2016.11.15
한 없이 사랑을 퍼주면서 누군가에게는 아무렇지 않게 죽어버리라는 저주를 퍼붓고 그의
고통
에 둔감하거나 심지어 기뻐하는 게 가능하다. 이렇게 같은 사람을 같은 사람으로 보지 않는 등 우리들의 인식은 완전하지 않다. 따라서 불완전한 우리의 감정과 인식에만 기대어 세상을 살만하게 만드는 ... ...
고통
을 모르는 벌거숭이 두더지쥐
과학동아
l
2016.11.15
sexecutioner(F) 제공 털이 없는 벌거숭이 두더지쥐는 수명이 32년으로 길고, 심지어 뜨거움 같은 통증도 잘 느끼지 못한다. 독일 막스 델브뤼크 분자의학센터 연구팀이 최근 그 이유를 밝혀냈다. 연구팀은 벌거숭이 두더지쥐의 TrkA 수용체에 주목했다. TrkA 수용체는 신경세포를 활성화시켜 뇌에 통증 ... ...
모기 잡는 구피? 천만의 말씀!
2016.11.12
물기 전에 아예 그 싹을 잘라버린 것입니다. 그래서 모기가 매개가 되는 질병으로
고통
받는 지역 주민들 대부분은 이 방법을 사용해 왔습니다. 최근에는 지카 바이러스의 확산을 늦추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전술은 증명된 것이 아닐 뿐만 아니라 그 물 속의 다른 동물들에게 오히려 ... ...
[이현경 기자의 온도차 ③] 美 대선 D-1, 과학자들도 잠 못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1.08
하지만 알츠하이머성 질환에 대해서만큼은 “내 주변에는 알츠하이머로 인해
고통
받는 가정이 너무 많다”며 큰 관심을 나타냈습니다. 트럼프의 아버지도 알츠하이머를 앓았습니다. 올해 NIH 예산은 323억 달러(약 36조6700억 원)에 이릅니다. 다양한 기초의학 분야가 연구되고 있지만 고령화가 ... ...
사이언스가 선정한 최고의 명약은 ‘신뢰받는 의사’
동아사이언스
l
2016.11.06
효과를 보였다는 것이다. 위약 효과는 환자가 가짜 약을 진짜 약으로 알고 복용해
고통
완화 등의 효과가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테트 카프축 미국 하버드대의대 교수팀은 환자가 가짜 약이라는 사실을 알고 먹어도 효과가 나타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평소 진통제를 ... ...
“크리스퍼 개발했을 때 가장 먼저 난치병 환자 치료 떠올려”
2016.11.04
- 송경은 기자 kyungeun@donga.com “‘크리스퍼(CRISPR-Cas9)’를 개발했을 때 난치병으로
고통
받는 사람들을 치료할 수 있겠다는 생각을 가장 먼저 했다. 가장 기대하는 분야는 단연 인간 유전자(DNA) 교정치료다.” DNA 교정기술인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이하 크리스퍼)를 2012년 최초로 개발해 ...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