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알력
충격
불화
싸움
격돌
접촉
불일치
뉴스
"
충돌
"(으)로 총 1,612건 검색되었습니다.
ISS 임무 중 혈전 발견된 우주인, 원격의료 치료 받고 무사귀환
동아사이언스
l
2020.01.05
돌아오기 4일 전부터 항응고제 복용을 중단시켰다. 지구로 귀환할 때 혹시나 모를 물리적
충돌
로 인해 다칠 수 있기 때문이다. 우주비행사는 다행히 지상에 안전하게 착륙했다. 이후 6개월간의 추적 검사 결과 우주비행사의 혈관에서는 DVT와 관련한 어떠한 질병 징후도 나타나지 않았다. 세계에서 ... ...
英 런던의 명물 빅벤 크기 낙하산 '엑소마스2020' 화성 안착 보장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12.27
2016년 TGO는 무사히 화성 궤도 안착했으나 스키아파렐리는 고도 센서 결함으로 화성에
충돌
하며 폭발했다. 엑소마스의 목표는 화성의 환경을 연구하고 미래에 언제든 화성 샘플을 채취할 수 있는 관련 기술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르면 7월 발사될 엑소마스2020 착륙선 카자초크에 실린 로잘린드 ... ...
화성탐사 무한경쟁·사람세포 배양하는 쥐 탄생…네이처가 뽑은 2020년 과학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19.12.24
과학자들이 ESA의 가이아 우주망원경을 분석해 약 100억 년 전 우리은하와
충돌
한 왜소은하의 흔적을 발견하기도 했다. 우리은하처럼 크기가 비교적 큰 은하는 주변의 작은 은하들을 흡수하면서 점점 커왔다는 증거를 찾은 셈이다. 내년에는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이 우리은하 중심부에 있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속전파폭발 관측 새 장 연 과학자 올해 10대 인물
동아사이언스
l
2019.12.21
관측된 것이 전부였다. FRB는 어디서 발생하는지는 아직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 천체끼리
충돌
할 때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나 일각에서는 외계생명체의 메시지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캐스피 교수는 차임 망원경이 강력한 FRB 탐지 기능을 갖추도록 주도했다. 차임 망원경은 원래 먼 은하에서 ... ...
우리은하 중심부도 폭발적 별 생성…'역사' 다시 써야
연합뉴스
l
2019.12.17
중심부에 공급하는데 효율적이지 않을 수 있다"면서 "만일 후자 쪽이라면 왜소은하와
충돌
하는 등의 사건이 약 10억년 전에 은하 중심부로의 가스 유입을 촉발했을 수 있다"고 해석했다. ... ...
[프리미엄 리포트] 교과서엔 절대 안나오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
과학동아
l
2019.12.13
정밀하게 관측했고, 영하의 온도에서도 전자가 고체인 얼음이 아니라 액체인 물과
충돌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doi: 10.1016/S0039-6028(97)00090-3 이후 많은 연구 결과에서 얼음 표면에 액체층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역시 얼음 속에 있는 액체층과 함께 준액체층으로 불린다. 결국 준액체층에 ... ...
토성 위성 엔셀라두스 '줄무늬' 정체는 얼음 분출 균열
동아사이언스
l
2019.12.10
특징이다. 엔셀라두스의 또다른 특징은 얼음 지각의 모습이다. 일부 크레이터(
충돌
구)를 제외하고는 빛을 반사해 새하얗고 매끈해 보이는데, 기이하게도 한쪽에 마치 빗이나 손톱으로 그은 듯 길고 규칙적인 ‘줄무늬’가 반복적으로 나타나 있다. 그 동안 이 줄무늬의 형성 과정이 밝혀지지 ... ...
英 피직스월드, 올해 물리연구 10선에 한승용 교수 연구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12.08
양자와 관련한 연구 5건도 후보에 올랐다.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
충돌
기가 확인한 참-메손의 CP대칭성 깨짐 관측결과와 ‘카시미르 효과’로 만들어낸 양자 트랩, 반물질 양자 간섭, 양자 중력계 등이 후보에 올랐다. 올해 10월 구글이 도달했다고 선언한 양자컴퓨터가 슈퍼컴퓨터의 ... ...
우주 비밀 밝힐 ‘초대형 입자
충돌
기’ 한국 기술로 업그레이드
동아사이언스
l
2019.12.06
납이온을
충돌
시켰을 때 발생하는 갖가지 입자의 궤적을 시각화한 그림이다. 납 이온을
충돌
시켜 최대 1000조 전자볼트(eV)에 달하는 고에너지 상태를 만들 수 있다. LHC에서는 이 에너지로 쿼크-글루온 플라스마 상태를 만들어 우주 초기 상태를 연구한다. CERN 제공 한국 CMS팀은 올해 기준 9개 대학에서 ... ...
태양서 멀어질수록 떨어지는 태양풍 속도 재확인
연합뉴스
l
2019.12.04
태양풍의 온도와 밀도 변화도 뉴허라이즌스호가 언제 태양풍의 속도가 성간매질과의
충돌
로 아음속으로 떨어지는 경계인 '말단충격(termination shock)'을 건너는지를 알려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보이저1호는 2004년 94AU에서, 보이저2호는 2007년 84AU에서 각각 말단충격을 건넜다. 현재 태양 활동이 ...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