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공학"(으)로 총 1,9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차세대 한국형발사체 목표 2029년 소행성 탐사될까 동아사이언스 l2021.01.25
- 미래융합연구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패널토론이 끝난 후 한국물리학회, 대한전자공학회 등 기초 및 응용과학분야 학회장 및 관련 기관장도 온라인으로 참여해 우주탐사와 기초 및 응용과학의 연계 필요성을 논의했다 ... ...
- 이스라엘 16~18세 백신 접종 시작...백신 등교 결정 충분조건될까동아사이언스 l2021.01.25
- 독일 바이오엔테크가 공동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을 접종 중이다. 이달 초에는 미국 생명공학기업인 모더나의 백신도 승인해 공급에 들어갔다. 화이자 백신은 16세 이상에 접종 가능하다는 조건으로 긴급사용승인을 얻었고, 모더나 백신은 18세 이상에만 접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 ...
- [과기원은 지금] GIST 양자중첩 적용한 절대보안 무선통신 기술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1.01.25
- 리포트' 인터넷판 1월 21일자에 실렸다. ■ 백종범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팀은 전기전도성이 약 140배인 향상된 유기반도체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유기반도체는 접히는 디스플레이처럼 유연한 전자장치에 필수 부품이지만 전기전도성이 낮아 실용성이 부족했다. ...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어떤 유형의 백신이 코로나19 예방에 도움 되나2021.01.25
- 빠르게 분해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RNA에 대한 생‧물리‧화학적 이해 증진과 유전공학의 발달이 이를 해결했다. 염기의 다양한 변형을 통해 mRNA의 안정성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됐다. mRNA 백신은 15년 전부터 연구가 진행돼 왔다. 그러나 그동안 임상시험의 성공 사례가 없어 개념 입증이 되지 ... ...
- 반도체, 배터리, 촉매 시뮬레이션도 클라우드 서비스 시대동아사이언스 l2021.01.25
- 버추얼랩(Virtual Lab) 대표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짜는 게 취미였다. 2011년 한양대 신소재공학과 대학원에 진학한 뒤 연구실 선후배들이 소재 연구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짜려고 리눅스를 배우는 데만 반년씩 시간을 쓰는 게 안타까웠다. 소프트웨어를 사자니 연간 사용료만 3000만 원에 달했다. 이 대표는 ... ...
- 허완수·이정동 교수 일진상, 송동주 교수·박근태 동아사이언스 기자 해동상 수상동아사이언스 l2021.01.20
- 공학교육혁신협의회장, 영남대 거점센터장을 역임하며 창의융합 공학교육모델 개발 등 공학교육 변화에 기여한 공로로 선정됐다. 시상식은 오는 25일 오후 12시 30분 서울 중구 조선호텔에서 개최된다. 각 수상자에게는 상패와 함께 각각 2500만 원의 상금이 주어진다 ... ...
- [랩큐멘터리] 자연에서 캐낸 생체 소재가 가져온 의료혁신동아사이언스 l2021.01.19
- 제약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인류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포스텍 분자생명공학 연구실 보러가기 https://youtu.be/qP1b-9d37kY ※대학 연구실은 인류의 미래에 어떤 일들이 펼쳐질지 엿볼 수 있는 창문입니다. 인류 지식의 지평을 넓히는 연구부터 실제 인간의 삶을 편하게 하는 기술 ... ...
- [팩트체크] 월성 원전 삼중수소 논란 핵심 쟁점 뜯어보니2021.01.18
- 빗물에서는 최대값이 리터당 96.3베크렐이었다. 김희령 울산과학기술원(UNIST)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같은 정부 기관이나 환경단체가 조사한 삼중수소 농도값만 보면 모두 기준치보다 상당히 낮다”고 말했다. ○ 원전 인근 주민에 영향 없나? 월성 원전의 삼중수소 ... ...
- [주말N수학]수학과 AI로 한층 정밀해진 센서 기술, 자율주행 시대 앞당긴다수학동아 l2021.01.16
- 창업 ●박재일 서울로보틱스 공동창업자 및 최고 기술 책임자(CTO) -서울대 기계공학과 학사, 석사 졸업 -3D 시스템즈에서 3D 프린팅 소프트웨어 개발 -2017년 서울로보틱스 창업 ※관련기사. 수학동아 1월호, [진로체험] 다가오는 자율주행차 시대, 수학이 필수 ... ...
- [한 토막 과학상식] 6G 구현할 기술은 무엇인가과학동아 l2021.01.16
- 예측이다. 6G는 이들 서비스를 가능케 하기 위한 필수 기술이다. 최준일 KAIST 전자 및 전기공학부 교수는 “현재 출시된 VR, AR기기를 실제로 체험해보면 화면이 매끄럽지 않은 경우가 많다”며 “VR 고글을 쓰고 앞에서 떨어지는 물체를 잡는다면, 이를 놓치기 일쑤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 ...
이전7879808182838485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