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스페셜
"
끝
"(으)로 총 918건 검색되었습니다.
IBS의 비전을 아시나요?
IBS
l
2014.06.13
꿈의 연구원' 등이 후보가 되었지만 성에 차지 않았다. 그리고 계속되는 시행착오
끝
에 지금의 비전이 탄생한 것이다. 배 선임은 "간단한 한 줄이지만 정말 어렵게 탄생했다"면서 "탄생 과정의 고생에 비해 사람들이 비전을 잘 모른다. 더군다나 내가 만든지는 더더욱 모를 것."이라며 껄껄 웃었다. ... ...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 될 28가지 원소는?
2014.06.09
한다. 주기율표 옆의 니켈(Ni, 28번) 역시 특정 효소가 활성을 띠는데 필요하다고 한다.
끝
으로 원자번호 42인 몰리브덴(Mo)으로 활성을 띠려면 이 원소가 있어야 하는 효소가 20여 가지라고 한다. ‘유해한 것들로 알았는데 우리 몸에 필요했나?’ 주로 뒤에 언급된 원소들을 보고 이런 생각을 한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0’이기 때문에 암흑물질 후보도 안 되지만 뉴트리노는 질량 여부를 둘러싼 오랜 논쟁
끝
에 ‘매우 미미하지만’ 있는 것으로 결론이 나고 있다(전자질량의 10억 분의 1 미만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티끌모아 태산이라고 우주의 뉴트리노를 다 합치면 굉장한 질량이 되겠지만, 그럼에도 뉴트리노로 ... ...
습관의 뇌과학
2014.05.26
연구하고 있는 MIT 뇌․인지과학과 앤 그레이빌 교수. - Ann Graybiel 제공 물론 여기서
끝
나면 그런 복잡한 연구를 한 보람이 없다. 동물실험 결과 놀랍게도 변연계아래피질에 있는 뉴런을 비활성화하자 습관화된 행동을 더 이상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습관화된 행동은 우리가 의식하지는 ... ...
리니지로 온라인 게임 시대를 열다
KAIST
l
2014.05.26
것도 보람된 일이었어요. 나쁜 점이라기보다 힘든 점은 버그나 개선해야 할 문제점이
끝
이 없다는 점이죠. 게임을 계속 업데이트하고 변화시키는 과정에 때때로 예상치 못한 큰 장애가 생기면 비상사태라서 휴일이든 새벽이든 빠르게 대응해야만 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라이브 서비스 조직의 ... ...
[이달의 역사]대항해 시대를 연 캡틴 쿡의 일생
KISTI
l
2014.05.14
그가 찾던 남방 대륙은 아니었다. 쿡은 1차 탐험에서 30명이나 되는 선원을 잃는 악전고투
끝
에 1771년 7월 영국 도버에 귀환했다. 그는 영국에 도착하자마자 자신의 항해 답사기를 제출했는데, 꼼꼼하고도 철저한 항해 보고서는 당대의 전문가들을 놀라게 했다. 그의 노고는 곧바로 인정받아 중령으로 ... ...
복잡한 세상을 풀어주는 수학, 매듭론
IBS
l
2014.05.14
현실을 설명하는 수학, 과학을 바꾸는 수학 수학적으로 매듭이란 실 한 가닥의 처음과
끝
을 연결하여 만든 폐곡선을 말한다. 이 매듭을 구분하고 이들의 변형을 연구하는 학문이 매듭론이다. 매듭은 매듭을 이루는 실이 서로 교차되어 꼬인 부분이 몇 개인지에 따라 구분한다.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 ...
젖가슴에 대한 과학적 고찰
2014.05.13
사이에 큰 혼란이 일고 있다는 미국국립유방암협회 프란 비스코 회장의 말을 인용하면서
끝
나는데 상당히 무책임하다. “비스코는 유관상피내암 진단을 받고 어떻게 하면 좋겠냐는 여성들의 전화를 늘 받고 있다. 비스코는 그들에게 데이터를 연구하고 그들 스스로 위험성과 이득에 대해 균형을 ... ...
[기술이 바꾼 미래] 밤을 낮으로 바꾼 전등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04.29
백열전등은 인류에게 전기 시대를 알린 장본인이다. 무려 9천여 개의 물질로 실험한
끝
에 필라멘트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을 찾았는데 그것은 놀랍게도 불에 그을린 무명실이었다. 그의 백열등은 진공유리관 속에서 필라멘트가 타버리지 않은 채 무려 45시간 동안 빛을 발했다. 전등의 탄생으로 ... ...
희망멘토, 여성과학기술인 [제6편]
동아사이언스
l
2014.04.28
신재료 설계를 위한
끝
없는 도전 최정혜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1986년, 공대에서 여자를 찾아보기 힘든 그 시절에 공대 중에서도 무기재료과에 진학한 여성이 있다. 입학 당시 서울대학교 공대를 졸업한 여학생의 수가 누적 100여 명에 불과했다고. 그녀는 무기재료과에 일곱 ...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