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스페셜
"
세포
"(으)로 총 1,942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주시할 필요는 있지만 과민대응할 필요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1.01.12
B117 변이 바이러스가 병독성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외피 단백질은 숙주의
세포
막과 결합하면서 생명 현상에 관여하는 이온 채널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외피 단백질 변이에 따른 병독성 변화 양상을 살펴봐야 하는 이유다. 변이 바이러스가 출현하는 원인으로는 우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로나19와 장내 미생물
2021.01.12
및 감염 미생물학의 경계’ 제공 장과 폐 연결돼 있어 지난 11월 26일 학술지 ‘
세포
및 감염 미생물학의 경계’에 발표된 리뷰논문은 코로나19에서 장내미생물의 역할이 아직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이탈리아 우르비노대 연구자들은 코로나19가 보여주는 증상의 ... ...
[백신 업데이트]임상 중인 코로나19 백신 64건, 최종 임상 20건, 승인백신 10개
동아사이언스
l
2021.01.11
많이 활용되는 방식으로 독성을 없앤 코로나바이러스를 체내에 직접 투여해 인체의 면역
세포
가 항체를 생성하도록 유도한다. 임상3상이 진행중인 시노팜의 백신은 중국과 아랍에미리트(UAE), 바레인에서 사용 허가를 받았으며 이집트에서 긴급사용 승인을 받았다. 또다른 중국이 개발중인 백신인 ... ...
[코로나 과학전쟁] PCR보다 빠르고 간편한 분자진단 기술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11
● 바이러스는 분자진단 사각지대...국내 연구진, PCR보다 빠른 기술 개발 분자진단은
세포
내에서 발생하는 분자 수준의 변화를 평가해 질환 여부를 판단하는 진단기법이다. 분자진단에서 분자는 보통 DNA나 DNA가 지닌 유전정보에 따라 필요한 단백질을 합성하는 데 관여하는 핵산인 RNA를 뜻한다. ... ...
유전자 가위 노벨상 받고 다시 세기 특허전쟁 속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21.01.11
‘시니어 파티’로 분류돼 유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시니어 파티란 진핵
세포
의 유전자 교정 관련 선출원을 인정받았다는 의미다. 반면 UC버클리와 브로드연구소는 툴젠과의 저촉심사에서 ‘주니어 파티’로 분류돼 상대적으로 불리한 입장에 놓였다. 김영호 툴젠 대표는 “특허 경쟁에서 ... ...
'에이즈 백신의 아버지' 피터 김 교수, 1회 접종 '나노입자 코로나 백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1.10
철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다. 나노입자 백신을 몸속에 주입하면 인체 내 면역
세포
가 스파이크 단백질에 반응해 항체를 만들게 된다. 바이러스 일부를 항원으로 이용하는 ‘서브유닛’ 백신과 비슷하다. 연구팀은 나노입자 백신을 쥐에게 투여해 관찰한 결과 한 번만 투여해도 코로나1 ... ...
화이자 백신, 영국·남아공 변이 바이러스에도 효과 확인돼
2021.01.10
세계로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B117 변이 바이러스는 코로나바이러스가 인체에 침입할 때
세포
표면의 수용체와 결합하는 부위인 스파이크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의 8개 부위 등 총 17개 부위에서 변이를 일으켰다. 이 변이 바이러스가 기존의 코로나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높다는 영국 보건당국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정자가 목표 잃은 채 빙빙 도는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10
튜불린이 길게 이어진 미세소관으로 구성된다. 미세소관은
세포
의 골격을 유지하고
세포
분열을 돕는 등 다양한 역할을 한다. 다른 역할 중 하나는 모터 단백질인 다이닌과 결합해 편모의 움직임을 만드는 것이다. 미세소관에 다이닌 수만 개가 달라붙어 미세소관을 구부리고 움직임을 만들면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DNA의 이중나선 구조
2021.01.07
욕심이 많아서 하나를 알고 나면 그 다음 순서를 더 알고 싶어 한다. 어쨌든 DNA는
세포
핵 속에 있는 화학물질이고 따라서 어떤 구체적인 분자구조를 이루고 있을 것이다. 과학자들은 그 구조를 알아내려 했다. DNA 같은 고분자 화합물의 구조를 알아내는 가장 간단하고도 확실한 방법은 그 구조를 ... ...
美CDC "코로나 백신 맞은 29명 알레르기 면역반응…대부분 위험성 낮아"
동아사이언스
l
2021.01.07
수준으로 적게 만들어지며 주로 알레르기 반응에 관여한다. IgE는 ‘비만
세포
’라는 면역
세포
표면에 붙어 있는데, 알레르기 유발 물질(알레르겐)이 들어오면 신경전달물질의 일종인 히스타민을 분비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킨다. 아나필락시스는 이 같은 알레르기 반응이 급격히 진행되면서 ...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