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거꾸로 굴절하는 빛, 법정에 서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검사:유리 씨 고맙습니다. 그럼 이제 금 씨에게 묻습니다. 그렇다면 굴절하는
정도
, 즉 굴절률은 어떻게 결정됩니까?금:저희 매질들의 몸을 이루는 전자의 진동이 전자기파의 진동과 잘 맞아 떨어질수록 유전율과 투자율 값이 커져요. 전자가 전기장이나 자기장의 진동방향과 반대로 진동하면 음의 ... ...
고객을 사로잡는 조명은?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에너지량, 즉 전력량 $\frac{1}{683}$W에 해당한다. 가정에서 흔히 쓰는 60W(와트) 전구가 60cd
정도
다.최근 실내조명은 물론 신호등, 간판에까지 발광다이오드(LED) 조명이 인기다. 빛을 내는 반도체인 LED에는 백열등이나 형광등에 쓰던 광도표준을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LED는 빛이 사방으로 고르게 ... ...
보면 오래 사는 별 노인성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맞춰 외우는 노래가 나왔을 것이다.보천가는 전통시대 천문학자들이 잠결에도 튀어나올
정도
로 외워야 하는 지식이었다. 천문관서의 직원이 되기 위한 과거시험에서도 별자리 암송은 필수였다. 17세기부터 서양천문학이 중국에 전해지면서 별자리에 속한 별 수가 달라지고 외우는 노래도 조금 ... ...
실리콘과 유기물 중매해 손톱만한 슈퍼컴퓨터 꿈꾼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대체한 트랜지스터가 개발되면서 손톱만한 칩 하나에 DVD 영화 10편을 담을 수 있을
정도
로 정보소자의 집적도가 높아졌다. 어디서나 가져다 쓸 수 있는 값싸고 흔한 물질이면서 가공하기에 따라 엄청난 정보량을 집적할 수 있는 재료인 실리콘 덕분이다.수십년 전부터 과학자들은 무기물질인 ... ...
명예기자가 과학을 말로 재미있게 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로봇은 진짜 병아리들과 섞어 놓으면 어떤 것이 진짜 병아리고, 로봇인지 구분이 안갈
정도
라고 합니다. 그리고 센서가 장착되어 만져 주면 몸을 조금씩 떨거나 날개를 퍼덕거리고 삐약거리기도 한답니다. 이 병아리 로봇은 젊은 여성들을 겨냥해 나온 애완용 로봇이며, 먹이를 주지 않아도 돼 진짜 ... ...
지구 온난화는 허리케인 만드는 '촉진제'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할 수가 있으며 오늘날 이용되고 있는 주기억장치의 사이클타임은 수십~수백 나노 초
정도
이다헤르페스과에 속하는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약칭 CMV라고도 한다풍진(風疹) 바이러스와 함께 태아가 모체에 감염되면 기형이 태어나는 대표적인 바이러스이다이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은 한번 감염되면 ... ...
십자가로 변신하는 백조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찾아보자. 물병자리 근처에서 별자리지도에 나타나 있지 않는데 맨눈으로 볼 수 있을
정도
로 밝은 천체가 있다면 그 천체가 바로 천왕성이다.천왕성을 낮은 배율의 망원경으로 보면 다른 별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배율이 100배가 넘는 망원경을 사용하면 행성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배율이 200배 ... ...
우주왕복선의 열손상 대처법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회로소자(回路素子)가 전기신호의 파장과 같은
정도
또는 그 이상의 범위에 걸쳐 공간적이며 연속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회로 레헤르선을 포함하는 전송선 등의 도선은 고주파에서는 인펙턴스·용랭 또는 저항)의 작용을 무시할 수 없으므로 분포상수회로로 ... ...
탈옥의 도구는 과학!?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그저 의무실 책임의사인 새러 탠트레디에게 접근해 탈출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려는
정도
로 생각했다. 하지만 나는 스코필드의 오른 팔목에 있는 ‘CUTE POISON’(영리한 독약)이라고 쓰인 항아리 속 액체가 쏟아지는 문신이 의무실과 관련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그와 같은 방을 썼던 페르디난도 ... ...
최종이론의 꿈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있을 수도 있지만, 또 다른 2000년을 기다려야 할지도 모른다. 이 경우에는 최종이론에 3%
정도
밖에 다가가지 못 했을 것이다.표준모형이 세상에 나온 지 어느덧 40년. 왜 아직도 우리는 여기에 갇혀 있는가 하는 필자의 질문이 문득 어리석게 여겨졌다. 물리학에서 가장 많이 인용됐다는 와인버그 ... ...
이전
826
827
828
829
830
831
832
833
8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