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첨단의 약제를 찾아서 미사일 약 딱 한번 약 붙이는 약…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미사일로 날려 맞추는 일이 흔한 일이 되어 버린지 오래이다. 우리는 이렇게 멀고도
작은
목표마저 정확히 쏘아 맞출 수 있는 놀라운 시대에 살고 있는 것이다. 이제 눈을 돌려 조그마한 공간에 불과한 사람의 몸을 생각해보자.엄지 발가락이 곪아서 항생제(antibiotics)를 먹어야 할 경우가 있다. 입에 ... ...
SF가 아니다 반물질(反物質)로 로킷을!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그치지는 않을 것 같다. 반물질이란 한마디로 물질의 반대이다. 이것은 원자보다 더
작은
상태로 존재하며, 물질과 정반대의 전하를 갖는다. 모든 원자의 핵심을 이루는 양자(proton)의 경우 그 전하는 양성이다. 하지만 반물질인 반(反)양자(anti-proton)는 음성을 띤다. 또 원자의 주변을 돌고 있는 ... ...
번식의 일반규칙을 깬 바다물고기 해마(海馬·SEA HORSE)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꼬리는 운동이 자유롭다. 여러가지 색깔이 있으나 담갈색에 조금 짙은 갈색이 섞여있고
작은
반점이나 무늬가 있는것이 많다. 가늘고 긴 주둥이는 눈 뒤쪽의 머리길이와 같고 머리가 거의 직각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몸은 갑옷을 입은것같이 많은 골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말머리 같은 모양의 ... ...
나무는 왜 푸를까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살았던 자주색 박테리아에게 유쾌한 푸른 환경에 대한 감사를 표해야 할지도 모른다. 이
작은
자주색 생물들은 아마 오늘날의 식생을 푸르게 만든 선택의 압력을 마련했을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그것들의 광합성 색소는 우리의 시각 색소를 낳았으며 그리하여 우리들에게 세계를 보는 두 눈을 ... ...
PART3 골치아픈 피부질환들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가해지는 부위이므로 진균 번식이 쉽게 일어난다. 소수포형은 급성으로 발바닥에
작은
물집과 농포(고름 주머니)가 급작히 나타난다. 심한 경우에는 발이 부어 림프선염도 병발되며 보행에 지장을 주기도 한다. 또한 진물이 나고 심한 가려움증과 통증을 동반하게 된다. 지간(발가락사이)형은 ... ...
성단(星団)이라는 측정자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구형으로 꽉들이찬 별의 집단이 존재한다. 이같은 구상성단의 크기는 다양하다. 가장
작은
것은 수만개의 별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장 큰 것은 백만개정도의 별로 이루어져 있는것같다. 우리의 은하수도 관측할 수 있는 2백여개의 구상성단과 먼지구름으로 가려져 있는 1백개 이상의 구상성단을 ... ...
동물들은 사랑을 어떻게 표현하는가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타입이다. 따라서 '공격할 상대가 아니다'라고 하는 회피방식을 갖는다. 두번째는
작은
구역을 상호불가침의 세력 영역으로 지키는 타입이다. 공격할 장소를 확실히 해두어 쓸데없는 공격을 하지않게 회피하는 것이다. 세번째는 공통의 냄새로 공격을 억제하는 타입이다. 냄새의 억제가 없는 경우는 ... ...
감마선의 시사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보고하였다. 감마선은 수십억도의 온도를 가진 가스가 존재하는 지름 3백마일 정도의
작은
부위에서 나오는 것으로 보인다. 이 정도의 온도에서는 가스는 전자―양성자 쌍을 생성시키고 이 쌍이 서로를 없애면서 감마선을 방출한다. 중성자별은 이러한 일을 해낼만큼 큰 에너지를 가지고 있지 ... ...
피부의 과학 PART1 피부의 구조와 기능 살아움직이는 거대한 조직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피하지방층의 밑에는 근육층이 있다. 피하지방층은 교원 섬유로 이루어진 띠에 의하여
작은
덩어리로 구분되어지며 이 띠는 연한 기름 덩어리의 형태를 어느 정도 유지하는 지지 기관이 되는 동시에 혈관 림프관 신경 등이 이를 따라 분포되어 있어 지방층을 유지하고 대사 활동을 가능하게 한다 ... ...
특수견(犬)의 능력과 훈련모습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라바도는 그 자리에 멈추어 선다. 여기서 한가지 재미있는 현상은 라바도가 큰 폭약보다
작은
폭약을 잘 발견한다는 것이다. 지나치게 큰 폭약이 나오면 폭약냄새가 진동해 라바도가 당황해서 연신고개를 두리번거린다. 이런 낌새를 알아채는 것은 결국 사람이므로 라바도관리자의 역할은 라바도 ... ...
이전
827
828
829
830
831
832
833
834
8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