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청소년 등뼈가 휘고 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조금 들리게 되는데, 복부와 허리에 힘을 주면서 허리가 바닥에 닿도록 한다. 둘째
바로
누운 자세에서 양손으로 무릎을 감싸 머리 쪽으로 잡아 올리는 무릎 구부려 가슴대기 운동이다. 등을 대고 누운 후 두 손을 이용해 무릎이 가슴에 닿도록 구부리고 멈춘다. 셋째 등을 바닥에 대고 누운 자세에서 ... ...
혈액 한방울로 범인 찾는 방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알아볼 수 없는 병에 담긴 용액이 요오드팅크라는 사실을 어떻게 알았을까. 범인은
바로
병의 내용물이 무엇인지 이미 알고 있던 오두막집의 주인이었던 것이다.그런데 놀랍게도 오두막집의 주인은 연쇄 살인사건의 첫번째 희생자인 초등학교 교장 선생인 앤드류 밴이었다. 사실 알고 보니 ... ...
국내 연구팀 단백질 구조예측대회서 아시아 최고 성적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과학자들은 단백질을 만드는 밑그림인 유전자 초안을 얻었다. 그러나 유전자 초안이 곧
바로
단백질의 구조 정보까지 말해주지는 않는다. 전통적인 실험 기법으로는 수년이 걸려야 한개의 단백질 구조를 밝힐 수 있다. 그러므로 실험적인 방법으로 10만여개에 달하는 인간 단백질의 구조를 밝힌다는 ... ...
겨울밤의 명소 오리온대성운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용이한 한여름에 펼쳐진다는 이유 때문이다. 실제로 가장 특이하고 흥미로운 유성우는
바로
용자리 유성우다.용자리 유성우는 과거 사분의자리 유성우로 불렸다. 이 유성우의 복사점(하늘에서 유성우가 쏟아져 나오는 것처럼 보이는 지점)이 위치한 지역에 사분의자리가 있었기 때문이다. 지금은 ... ...
② 출산시간 많이 벌어진 쌍둥이일 뿐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그것은 어찌 보면 너무도 자연스런 일이다. 그간의 진화의 역사가 줄기차게 해온 일이
바로
그 일이 아니던가. 특히 성(sex)이란 정확하게 유전체의 질적 향상을 위해 진화한 생물학적 현상이다. 문제는 우리들이 행할 유전자 치환시술이 그동안의 진화에 정확하게 역행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 ...
개미 눈물만한 액체까지 제어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플라스틱을 붙여 이 모양대로 주조해내는 것이다.공정해석 연구실의 큰 장점 중 하나는
바로
미세소자의 제작에 있다. 김 교수는“수년전부터 반도체 제작 공정의 복잡한 과정을 연구해왔기 때문에 이에 대한 축적된 노하우가 있다. 미세소자의 제작과 설계에 있어서는 국내 최고의 경쟁력을 갖추고 ... ...
② 검은구멍이 발하는 중력파 포착하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우리 귀로 듣는 음파의 진동수와 거의 일치하기 때문에 전자음으로 바꿀 수만 있다면
바로
들을 수 있다. 이 음악을 듣고 싶어 온몸이 근질근질한 천체물리학자들이 LIGO 운영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현재는 1년에 한번 정도 예상되는 6억광년 이내의 중성자성 충돌 같은 현상이 LIGO의 주타깃이다. ... ...
3 단백질 네트워크의 총괄 책임자 허브 분자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오래가지 못하는 법. 세포도 외부와 소통할 수 있는 특별한 장치를 마련해놓고 있다.
바로
이것이 PLD2다. 즉 PLD2는 세포 외부에서 오는 세포 성장신호를 내부로 증폭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신호물질을 만드는 세포에서는 호르몬같은 신호전달 물질이 세포 밖으로 나가기 위해 PLD2가 활성화되기도 ... ...
시계의 역사 간직한 찬송가·뮤직박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소리를 낼 수 있는 핸드벨로 먼저 연습을 했다. 한소리 양이 손에 들고 있는 핸드벨이
바로
중세 종치기들이 교회 탑에 걸린 종을 치기 위해 연습하던 종이다. 핸드벨로 연습을 마친 종치기들은 해시계나 물시계, 또는 천체 관측기구에서 시간이 측정되면 교회 탑에 올라가 종을 쳐서 마을 사람들에게 ... ...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오케스트라 지휘자 - 유향숙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미국 유학시절에는 다행히 그녀에게 슬플 때나 기쁠 때나 벗이 돼준 존재가 있었다.
바로
음악이었다. 어려운 실험을 간신히 마치고 새벽에 숙소로 돌아갔을 때는 베토벤의 음악으로 자신의 어려움과 피로를 달랬다. 기분이 좋을 때는 모차르트 음악, 심각하게 생각해야 할 때는 바하 음악에 ... ...
이전
829
830
831
832
833
834
835
836
8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