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숫자
자수
넘버
번호
수단
방법
꾀
d라이브러리
"
수
"(으)로 총 21,910건 검색되었습니다.
2010 개인게놈 시대 개막 선언
과학동아
l
201006
움직임이 타격을 받을
수
도 있다. 이런 가능성을 피할 길이 있나? 기본적으로 PGP는 순
수
한 자원자만 대상으로 삼고 있다. 우리는 사회가 얻을 이익이 개인이 받게 될지도 모를 위험성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만을 지원자로 받는다. 그리고 생명과학에 대한 기본지식을 묻는 시험에 통과해야 ... ...
쥐도 아플 땐 찡그린다
과학동아
l
201006
쥐의 표정으로 가해진 통증의 세기를 가늠하는 척도가 세계에서 최초로 개발됐다.캐나다 맥길대 제프리 모길 교
수
와 브리티시컬럼비아대 케네스 크레이그 교
수
는 쥐가 ... 교
수
는 “표정 지도를 통해 실험실의 동물들이 불필요하게 고통 받는 것을 막을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 ...
천둥 구름은 입자가속기
과학동아
l
201006
슈퍼컴퓨터의 시뮬레이션 계산으로 이 같은 사실을 사전에 알아냈다. 플레크러그 교
수
는 “하늘에서 생성되는 자연 입자가속기를 관찰하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라며 “자연 입자가속기는 우주와 지구 사이에 발생하는 매력적인 상호 반응 현상 중 하나”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4월 14일 영국 ... ...
유전성 대장암의 원인 밝혔다
과학동아
l
201006
가족성 용종증은 대장에 암세포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은 양성 용종(물혹)이 생길 확률이 다른 가족보다
수
십 배 이상 높은 유전성 질환이다. 가족성 용종증의 대부 ... ERK 억제 물질이 사람에게 안전하다고 판명될 경우 먹는 약으로도 대장암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 ...
시간 흐르면 독한 암세포도 방심한다
과학동아
l
201006
항암치료를 받아도 재발하는 암은 흔히 ‘죽음의 불치병’으로 불린다. 암이 다시 재발하는 이유는 암세포가 돌연변이를 일으키면서 약에 저항성을 갖기 ... 하면 약물에 대한 저항성을 낮출
수
있을지, 또 어떤 환경에서 암세포의 재발을 늦출
수
있는지에 대한 후속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 ...
3D TV 아직도 안경 끼고 보세요?
과학동아
l
201006
빛을 기록해뒀다가 필요할 때 원래의 구면파와 합쳐 물체를 3차원 입체로 다시 만들어낼
수
있지 않을까.이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빛을 저장하는 일이 말처럼 쉽지 않다. 현재까지 나온 방법 중 실현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은 액정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홀로그램의 간섭무늬를 해상도가 높은 ... ...
뛰어난 ‘사시’ 사냥꾼
과학동아
l
201006
물과 함께 빨아들인다. 움직이는 것을 싫어해 까닥거릴 뿐이지만 먹이를 잡는 순간은
수
백 분의 1초가 걸릴 만큼 빠르다. 해마는 몸이 거의 뼈로 이뤄져 있고 근육이 거의 없어 포식 동물에게 잡아먹힐 위험도 많지 않다 ... ...
세계 최장 새만금 방조제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06
관도 지나가고 있습니다. 만약 방조제 안쪽 바닥에 더러운 물이 고이면 이 관으로 빼낼
수
있죠. 사실 방조제 곳곳에 환경을 생각해서 만든 부분이 많습니다. 워낙 오랫동안 환경단체와 법원을 드나들다 보니(웃음)….”모든 것을 초탈했다는 듯이 웃는 그를 보면서 환경단체든 정부든 어느 한쪽도 ... ...
2010 노벨상 석학 대중강연
과학동아
l
201006
고등생물까지 존재하기 때문에 생명 발생 이전에도 있었을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마지막으로 질문한 현웅규 군은 화학자가 꿈이다. 그는 “평소 학교 과학 선생님들에게 질문을 자주 한다”며 “초등학교 때부터 ‘과학동아’를 즐겨 봤다”고 말했다. 현 군은 요나트 박사에게 ... ...
[culture] 한여름 기운 되찾아주는 패류의 왕 전복
과학동아
l
201006
한여름에는 전복 내장에 독성이 없으니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오히려 더위를 이길
수
있는 보양식이니 마음 놓고 배부르게 먹으면 좋다.이태원_(서울세화고 생물 교사)이태원 교사는 서울대 대학원에서 세포생물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우리나라 전통 문헌에 나타난 과학 관련 내용에 관심이 ... ...
이전
830
831
832
833
834
835
836
837
8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