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간
경우
타임
시각
더러움
얼룩
오물
d라이브러리
"
때
"(으)로 총 22,310건 검색되었습니다.
[교과연계수업] 내 몸이 탈수 상태라고? 물 마시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토대로 설명하고, 물이 부족했을
때
생기는 질병도 함께 설명한다. ▶ 물을 잘 마셨을
때
의 긍정적인 효과를 설명한다. ▶ 우리가 흔히 마시는 음료수에는 성장을 방해하는 성분이 들어있는데 어떤 것이 있는지 기사를 토대로 설명한다. ▶ 학생들이 각자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료수에 어떤 유해 ... ...
INTRO. 노벨과학상 2014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후보로 지목했기에 아쉬움은 더 컸다. 한국계 미국인 과학자 찰스 리도 후보에 올라 어느
때
보다 기대가 컸던 올해 노벨 과학상. 어떤 과학자가 영예를 안았는지 살펴봤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노벨과학상 2014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PART 2. 물리학상PART 3. 생리의학상INTERVIEW 1. 올해 ... ...
PART 2. 물리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한다. 한국 음식도 매우 좋아한다. 나카무라 교수는 한국에 있는 우리 회사를 방문할
때
마다, 꼭 근처의 한식당에 비빔밥을 먹으러 간다. 가끔 비싼 요리를 대접하려 해도, 한사코 비빔밥만 고집한다.주위 사람들을 생각하는 따뜻한 마음도 나카무라 교수의 특징이다. 본인이 회사와 오랜 특허 소송을 ... ...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다 똑같다 아이가~. 의사 아니면 변호사다.” 영어로 대답하던 그가, 아버지 이야기를 할
때
는 숨겨뒀던 구수한 대구 사투리를 꺼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노벨과학상 2014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PART 2. 물리학상PART 3. 생리의학상INTERVIEW 1.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EPILOGUE ... ...
PART 2.Y가 사라진 세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유전자에 갇혀버린다. Y 염색체가 사라졌던 과정과 비슷하다. 인류가 이를 깨달았을
때
엔 이미 남성과 여성은 사라지고 헤르마프로디토스만 남은 뒤였다. 지금처럼 성별이 하나로 합쳐진 것이 인류 역사에서 성공적인 진화로 기록될지, 아니면 멸망을 향한 지름길이 될지 누구도 알 수 없다. ... ...
[불규칙적인 움직임] 여러분, 브라운 운동 멈추고 정렬하세요!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없이 모인 군중처럼 말이죠.여러분도 복잡하게 움직이는 다수의 군중을 통제해야 할
때
브라운 운동을 멈추라고 이야기해 보세요. 적어도 브라운 운동이 무엇인지 궁금해서라도 멈추고 쳐다볼 것입니다. …아니면 할 수 없고요 ... ...
[life & tech] “이제 발가락 안 자를 거죠?”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실제로는 만만치 않다. 야생동물이 스튜디오에서 증명사진 찍듯이 가만히 있어주지 않기
때
문이다. 그래서 패턴을 분석하는 컴퓨터공학자가 등장한다. 영국 브리스톨대 컴퓨터과학과 틸로 버거트 교수는 동물개체식별 분야의 선구자다. 그는 아프리카 펭귄이 자꾸 줄어들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각 ... ...
[life & tech] 짝퉁 꼼짝 마!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셈이다. 남세현 디자인연구센터 수석선임연구원은 이를 두고 “시대가 변했기
때
문”이라고 말했다.“우리 선배들은 옛날부터 ‘장인 정신’으로 일했습니다. 칼을 미세하게 갈아서 화폐를 찍는 정교한 요판을 직접 깎았거든요. 돈에 그려진 미세한 지붕 모양 하나하나가 다 위조를 막기 위한 ... ...
PART 3. 생리의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못하고 머뭇거리자 오키프 교수는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이라며 “샴페인을 딸
때
는 코르크가 아닌 병을 돌려야 안전하게 열 수 있다”고 진지한 표정으로 말했다. 위트 있는 그의 모습과 코르크 마개 앞에 쩔쩔대는 필자의 모습이 사진으로 남아있다. 나는 모세르 부부와도 연구를 함께 한 ... ...
EPILOGUE 이그노벨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나침반이 흔들거리면 방향을 잘 못 잡지 않던가. 문제는 지구자기장이 안정돼 있을
때
가 낮 시간의 20%밖에 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그런데 왜 개들이 동서방향은 피하고 하필 남북방향으로 몸을 두는 걸까. 연구진은 “아직 모르겠다”고 밝혔다. 이그노벨상을 받으려면 이런 엉뚱함이 있어야 ... ...
이전
831
832
833
834
835
836
837
838
8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