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기
실례
견본
예제
사례
예시
용례
d라이브러리
"
예
"(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타이프라이터에서 레이저 프린터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열풍에 힘입은 바 크다. 데이지휠에 비해서 비록 글자모양은
예
쁘지 않지만, 다양한 글씨체와 수많은 기호를 찍어 낼 수 있다는 점에서 데이지휠과 비교할 수가 없었다. 특히 사진이나 도형과 같은 그래픽 영상도 거칠기는 하지만 인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이 있었다 ... ...
"현재는 과거의 열쇠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있는 것이다.화석이 보존된 상태가 급변설을 지지해 준다고 창조론자들은 주장한다. 한
예
로 식물화석이 포함된 지층의 상하 암석의 연대차가 4백만년이라고 지질학에서는 주장하는데 4백만년 동안 어떻게 나무가 파괴되지 않은 상태로 보존될 수 있는가 하고 지질연대를 의심한다. 그러나 ... ...
잘못 쓰이고 있는 과학기술용어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화성도 역시 붉게 보이는 별이 아니라 행성이라고 표현해야만 옳은 것이다.이와 같은
예
를 몇개 더 들어보자.대기 - 달에는 공기가 없다.(×) → 달에는 대기가 없다.공기 - 이곳의 공기는 맑다.이와 같이 공기는 대기의 일부분만을 가리키는 용어다.토성의 고리 → 토성의 테고리란 어떤 물건을 ... ...
3 선진국은 상용화, 국내는 시범단계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ISDN(종합정보통신망)이 완성되면 재택근무 원격수업 홈쇼핑 홈뱅킹 원격진료 G4팩시밀리 등 본격적인 첨단통신서비스가 가능해질 것이다.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종 ... 크게 기여할 것이다. 이에 따라 앞으로 각종 경제활동 사회활동 개인활동의 모습 또한 많은 변화가
예
상된다 ... ...
「누이좋고 매부좋은」 공생 이야기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엿 볼 수 있게 되었다.이 공생관계는 때때로 계약갱신을 해야 계속 유지될 수 있다.
예
컨대 오도케우오를 말미잘로부터 강제로 한시간 이상 격리시켜 놓은 경우에는 순화행동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지 않으면 면역성을 상실, 말미잘의 먹이가 되고 만다. 더 놀라운 것은 이 면역에는 개체식별의 ... ...
(5) 소프트웨어 「한글화」의 허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로터스 3.0을 사용하지 한글 로터스 2.2K를 왜 사용 하느냐"는 반문을 하지 않을 수 없다.그
예
를 들어보자. 영문 윈도즈 3.0 프로그램이 발표된 시기는 지난해 5월이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한글 윈도즈 3.1(일반적으로 영문 프로그램이 각 나라 언어로 번역될 때마다 0.1의 버전이 올라간다)의 ... ...
시공(時空)의 모서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않다. 우리의
예
언 능력은 어떤 양은 정확하게
예
측할 수 없고 단지 확률 분포로
예
측 가능한 불확정성 원리에 의존할지 모른다. 또한 방정식을 푸는 것이 너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우리는 전지전능으로부터 아직도 먼 거리에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 ...
(2) 연타율 높고 왼손 부담 크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극히 적거나 아
예
없게 만들 수도 있으므로 인쇄문화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는 점을
예
로 들 수 있다. 아울러 전산화에 있어서도 자형의 변형이 적다는 것은 크나큰 장점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빨래꼴의 가독성이 높다는 장점은 문서인식을 실용화하는데도 크게 기여하리라는 점이다 ... ...
왼손잡이「로키」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코렌이 최근 9세 이하의 왼손잡이 어린이에게 오른손으로 글씨쓸 것을 유도한 결과도
예
외가 아니었다. 여아의 60%가 교정된 반면 남아의 20%만이 교정됐다고 한다.그런데 그냥 왼손을 쓰게 해야 자신의 재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견해도 만만찮다. 무조건 오른손만을 강요하면 발육장애를 일으키고 ... ...
과일쌓기의 기하학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때문에 마름모꼴12면체(rhombic dodecahedron)라고 한다(그림1).그는 이 발견에 대해 석류를
예
로 들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잘 자란 석류를 쪼개 보면 속이 여러 개의 방으로 나뉘어 있는데 이 방들은 모두 일정한 모양을 하고 있다. 석류속의 이러한 모양은 왜 생기는 것인가…. 석류가 원래 이런 ... ...
이전
832
833
834
835
836
837
838
839
8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