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기도 무선으로 전송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낙엽침엽수가 우점(優占)하는 삼림 아한대(亞寒帶)에서 상록침엽수림이 성립할 수 없을
정도
의 가혹한 환경적 위치에 성립하는 삼림이며 낙엽송류의 삼림이 알려져 있다 낙엽활엽수가 임상(林相)의 주종(主種)을 이루는 산림 넓은 의미에서는 열대 · 아열대의 우록림(雨綠林)과 온대의 하록활엽수림 ... ...
PART2 생체 에너지 공장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발전소인 미토콘드리아는 일종의 생체 전지로 응용될 수 있다. 연료전지와 에너지 생성과
정도
비슷하고, 화학촉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세포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도 않는다.현재 연료전지기술에서 해결해야 할 난제로는 수소에서 전자를 떼어내는 촉매인 백금을 대체할 수 있는 물질을 찾는 ... ...
'캐리비안의 해적' 건강보고서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국 교수는 “집단생활을 통해 빠르게 전염되는 눈병은 바이러스성 질환이므로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치유되고 실명에 이르게 할 만큼 치명적이지는 않다”면서 “단 오랜 기간 바닷바람을 쐬거나 강한 자외선에 노출되면 백내장이나 익상편에 걸려 실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서울대 ... ...
거인증으로 들여다본 성장호르몬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2~4년
정도
빠르다. 성장호르몬과 성호르몬이 함께 분비돼 1~2년 동안 매년 7~10cm
정도
급격히 자란 뒤 성장이 멈춘다.진단 : 음모가 나는 사춘기의 징후가 또래보다 일찍 나타난다. 사춘기가 지난 뒤 이 유형임을 알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상형과 비교해 사춘기 이전에는 키가 작지만사춘기가 지나면 ... ...
견우성은 독수리자리에 없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따라 빙 둘러있다. 우리가 황도12궁을 익숙하게 알고 있는 것처럼 전통시대 지식인은 28수
정도
는 모두 알고 하늘에서도 가려낼 수 있었다. 하지만 우리는 옛날 사람들이 알고 있었던 전통별자리 상식을 몰라 그들의 글을 전혀 엉뚱하게 해석하는 경우가 있다.송나라 때의 문장가 소식(蘇軾, 1036~1101, ... ...
거짓인 줄 알면서도 귀신을 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다른 전등은 모두 끈 채 조그만 불빛 하나를 희미하게 켜놓자. 책상이 보이지 않을
정도
의 희미한 빛이어야 한다. 그리고 멀리 떨어져 그 불빛을 응시하자. 시간이 조금 지나면 작은 불빛이 마치 공중에 뜬 채 저절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물론 실제 불빛이 움직인 것은 아니다. 그 움직임은 ... ...
초록색 제국의 빛과 그림자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시절 백과사전 마니아였다. 틈만 나면 백과사전을 들춰보다보니 아예 책을 줄줄 외울
정도
였다. 그때 그는 백과사전의 소유 유무에 따라 아이들의 성적이 극명하게 갈리는 모습을 보면서 ‘지식의 격차’를 실감했다. 결국 ‘평등한 지식 소유’와 ‘전방위 검색 서비스’라는 네이버 지식검색의 ... ...
미리 입어보는 미래의 옷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사람들이 무엇보다 기다리는 것이 있다. 바로 빨래할 필요가 없는 옷.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
로 얇은 나노섬유를 이용하면 땀은 100% 밖으로 배출하고 외부의 더러운 때나 병균의 침투를 막는 옷을 만들 수 있다. 스스로 냄새를 제거할 수도 있다. 이미 15나노미터(1나노미터는 10억분의 1미터)의 나일론 ... ...
떠다니는 탄소를 거래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물질을 합성할 수 있다 하나의 결정편(結晶片)에 수백개 이상의 소자를 집적한 회로 어느
정도
전기전도성을 발현하는 고분자화합물의 총칭 고분자 재료에 구리 · 은 · 흑연 등의 도체를 분산시킨 것은 이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이미 이루어진 고분자 화합물에 열처리나 방사선처리를 하여 π전자를 ... ...
PART1 퍼즐처럼 연결된 초분자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그리고 이들을 서로 이어줄 분자를 용액에 녹이고 자외선을 쪼였다. 그러자 지름이 100nm
정도
인 고분자 나노캡슐이 자기조립되는 현상이 나타났다.아직 어떤 과정을 거쳐 나노캡슐이 형성되는지는 확실치 않지만 원판형의 분자들이 중합반응으로 측면끼리 이어져 2차원의 고분자 조각이 생성되고, ... ...
이전
833
834
835
836
837
838
839
840
8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