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뉴스
"
발견
"(으)로 총 10,221건 검색되었습니다.
네안데르탈인과 현생 인류의 이종교배, 언제부터 이뤄졌나
2016.02.18
모습. - 유튜브 캡처 또 이전까지 현생 인류의 DNA에서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 흔적을
발견
해왔지만, 이번은 반대 사례라는 점에서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카스텔라노 교수는 “현생 인류가 아프리카 밖에 존재했다는 첫 번째 유전적 증거”라며 “구체적으로 현생 인류가 네안데르탈인에게 ... ...
자연계 최고로 단단한 소라껍데기의 비결은
2016.02.18
위) 배열이 달라지는 경계면이 균열을 저지하는 역할(오른쪽 아래)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 성균관대 제공 연구진은 소라껍데기의 특별한 결정 구조에 주목했다. 소라껍데기는 나노 수준의 간격으로 균일하게 배열된 탄산칼슘 결정이 층층이 쌓여있다. 층과 층 사이의 경계에는 결정의 배열 ... ...
슈퍼지구 대기 성분 최초로 직접 스캔
2016.02.17
앞에 위치할 때 모든 파장에서 빛의 세기가 전체적으로 1%가량 약해진다는 사실도
발견
했다. 티네티 교수는 “이는 게자리 55 e가 물리적으로 모든 파장의 빛 진행을 막는 암석형 행성이라는 증거”라며 “가스형 행성일 경우에는 암석형 행성의 대기와 마찬가지로 파장에 따라 어떤 빛은 행성을 ... ...
햄버거 가게에 악어 던진 남자, 철창행
팝뉴스
l
2016.02.17
던진 남자’의 소식은 최근 언론 등을 통해 알려졌다. 이 청년은 문제의 악어를 길에서
발견
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리고 자신의 행동을 사과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 ...
1억 년 동안 싸운 개미들
팝뉴스
l
2016.02.17
화제가 된 사진이다. 미국 자연사박물관과 럿거스 대학교의 연구자들이 미얀마에서
발견
한 호박 속에는 두 마리의 개미가 들어 있다. 한 마리를 상대의 더듬이를 물었고 또 다른 개미는 다리를 물면서 공격한다. 둘은 치열하고 그리고 필사적으로 싸움을 벌이고 있다. 종이 다른 것으로 보이는 ... ...
나무가 지구온난화 부추길 수도 있다구요?
2016.02.16
사람이 가꾼 숲이 자연 상태로 자라게 뒀을 때보다 숲의 탄소 저장효과가 떨어진 사실을
발견
했다. 유럽은 개발을 위해 1750~1850년 19만㎢에 이르는 숲의 나무(주로 활엽수)를 베어냈다. 대신 스코틀랜드 소나무, 노르웨이 가문비나무 등 성장 속도가 빨라 상업적 가치가 높은 침엽수를 심었다. 그 ... ...
[유윤종의 쫄깃 클래식感]작곡가가 상상한 우주의 소리는…
동아일보
l
2016.02.16
1980년대 일본과 한국에서 뉴스 시그널 음악으로 쓰이기도 했습니다. 당시 명왕성은
발견
되지 않아 작품에 들어가지 않았습니다. 오늘날 명왕성이 태양계 행성 명단에서 제외되었으니 태양계 행성의 실제 숫자와 홀스트가 음악으로 묘사한 숫자가 우연히도 딱 맞는 셈입니다. gustav@donga.com [화제의 ... ...
빛도 산소도 필요 없다, 지하 세계 지배하는 미생물
발견
2016.02.16
다른 동·식물에 비해 연구가 많이 되지 않았다. 티스 에트마 웁살라대 강사는 “이번
발견
으로 지하에 사는 고세균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 ...
“플랑크톤도 기생충에 감염 돼”
2016.02.15
‘동물성 플랑크톤이 잡아먹었기 때문일 것’이라는 추측이 많았다. 연구팀은 새롭게
발견
한 기생충에 ‘유두보스켈라 코스타타(Euduboscquella costata)’란 학명을 붙였다. 연구진은 이 기생충이 해류를 따라 다른 바다에서 우리나라 연안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만큼 플랑크톤 기생충의 ... ...
그래핀 저항 4분의 1로 낮춰 드립니다
2016.02.15
두고 가열하는 방식으로 그래핀을 전자상태밀도가 높은 n-형으로 도핑하는 방법을
발견
했다. 도핑한 그래핀과 금속 사이의 전자상태밀도 차이가 줄어든 덕분에 저항이 줄어 들었다. 또 그래핀 모서리의 길이를 길게 만들어 금속과 잘 접촉되게 해 접촉저항을 최소화했다. 그 결과 기존 그래핀 ... ...
이전
834
835
836
837
838
839
840
841
8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