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뉴스
"
큰
"(으)로 총 14,519건 검색되었습니다.
“글로벌 투자자들 마음을 사로잡아라”…기술창업 ‘왕중왕전’
동아사이언스
l
2018.11.12
글로벌 엔젤투자 네트워크인 케이레츠포럼의 프레디 왈라 인도네시아 지사장은 “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 사회문제를 해결하거나 기존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기술들이 많이 나와 눈길을 끌었다”며 “해외시장에선 수요계층이 분명한 아이템이 살아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대회는 ... ...
욕심 많은 도마뱀의 최후
팝뉴스
l
2018.11.11
해외 네티즌들은 영상이 이솝 우화를 연상시킨다고 말한다. 지나친 욕심이 얼마나
큰
재앙을 가져오는지 선명하게 보여주는 사례라는 평가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 ...
'오무아무아’에 대한 하버드대 과학자들의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18.11.11
회전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주변 진동을 무시한 결과다. 평균값은 태양 근처를 지날 때도
큰
변함이 없었다. 오무아무아를 혜성으로 단정하기 어려운 이유다. 성간물체 오무아무아가 태양계에 진입해 빠져나가는 궤적(왼쪽). 빨간색 궤적으로 이동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태양 근처에서 예상보다 ... ...
여성 과학자로 사는 건 ‘산넘어 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1.11
‘미시중력렌즈’ 현상을 이용해 외계 행성을 찾는 연구를 하고 있어요. 중력렌즈는
큰
질량을 가진 천체가 빛을 렌즈처럼 휘게 만들어 별을 원래보다 밝게 만드는 현상이에요. 미시중력렌즈는 별 하나처럼 작은 질량의 천체에 의해 일어나요. 이 원리를 이용해 별의 밝기가 바뀌는 현상을 관측하면, ... ...
총을 든 남자와 곰의 정면 대결 ‘포착’
팝뉴스
l
2018.11.11
제공 미국의 뉴욕포스트 등 해외 언론이 26일 소개해
큰
화제가 된 영상이다. 영상에는 총을 든 남자와 곰이 대결을 벌이는 장면이 담겨 있다. 익명으로 남기를 원하는 캐나다 남성은 자신의 집 근처에 곰이 나타난 것을 봤다. 평소 아이들이 자주 노는 장소이다. 남자는 겁 줘서 곰을 쫓아내기 ... ...
[여기에 과학] 콩 분유 먹고 자란 여성이 생리통 심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0
우리 각자의 얼굴 생김새가 다르듯 생리통에 대한 강도도 사람바다 천차만별입니다. 더
큰
단위를 대상으로 하는 표본 연구는 물론 실제 발달과정에서의 콩에 든 식물성 호르몬의 작용 과정을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 ...
“정부는 왜 남북교류에서 과학기술을 뺐나"
동아사이언스
l
2018.11.10
어려워 토지생산성이 남한의 60%에 불과하다”며 “이를 끌어올리는 데 남한 기술자들이
큰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북한 식량부족의 또다른 원인은 농경지의 절대 부족이다. 산악지가 많기 때문이다. 남한도 비슷하지만, 외화를 통해 이를 벌충하고 있다. 하지만 북한은 외화가 없어 수입도 ... ...
스마트폰 大화면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8.11.10
‘폴더블폰’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폴더블폰은 기술적인 난관이 몇 가지 있다. 가장
큰
문제는 디스플레이다. 화면을 접어도 모든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내구성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스마트폰을 접으면 접히는 부분에 힘이 가해질 수밖에 없고, 이를 디스플레이가 견뎌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열정에 도리어 먹히다
2018.11.10
겨울에도 계속해서 자전거를 타는 모습을 더 많이 보였다. 강박적 열정이 장기적으로
큰
해가 되는 부상 위험를 높였다는 것이다. 도박을 단순히 즐기는 정도가 아니라 ‘중독’에 빠진 사람들 역시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강박적 열정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강박적 열정은 ... ...
김선정 한양대 교수, CES 2019 혁신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8.11.09
김 교수팀이 개발한 장치는 배터리를 이용하는 기존 제품의 단점인 부피와 무게가
큰
점과, 물 등에서 활용하기 까다로운 점을 을 극복했다. 김 교수팀은 가볍고 부식성이 적으며 강한 탄소나노튜브와 전해질을 적절히 이용해 반영구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게 개발했다. 김 교수는 ... ...
이전
834
835
836
837
838
839
840
841
8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