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력
흰눈
백설
눈발
눈길
눈초리
시선
d라이브러리
"
눈
"(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2) 블랙홀·별들의 잔해가 어둠 속에 가득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예를 든다면, 한개의 태양에 거의 1백여개의 태양질량을 합친 정도의 물질들이 우리
눈
에 보이지 않고 어디에 숨어있는 것이다.바로 이런 이유로 현대 우주론에서는 우리가 암흑물질을 말할 때 두가지로 나누어 분류한다. 첫째는 이 글에서 주로 다루었던 은하에 숨어있는 암흑물질들을 말한다. ... ...
그랜드캐년을 방불케하는 장엄한 아페닉 산맥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크레이터다.월령 13~14일이 되면 일몰과 동시에 달이 얼굴을 내밀며 달 표면에서는 휘조가
눈
에 띈다. 보름달이 지나면 빛이 반대쪽에서 비치지만 앞에서 본 대상들을 다시 관측할 수 있다. 보름달 후 2~3일은 상현 때에 잘 보이지 않던 서쪽 부분의 모습을 관측하는 것이 좋다. 달의 남반구에는 ... ...
인간
눈
의 기능을 하나의 칩에 구현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현재 이 연구는 세포신경망 연구의 성과를 활발히 받아들여 활기를 띠고 있는데, 도롱뇽
눈
의 기능을 컴퓨터에 집적시키는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소백산천문대 관측계기로 살펴본 초신성폭발의 의미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최근의 기록은 1604년 케플러가 발견한 초신성. 이 때는 망원경이 발명되기 전이므로 맨
눈
으로 관측한 것이다. 천문학자들은 우리은하 내에서 초신성폭발이 일어날 확률을 4백년만에 한번이라고 한다. 따라서 운이 좋다면 우리는 앞으로 얼마 안가서 아주 가까이서 일어나는 초신성 폭발을 목격할 ... ...
인체시계는 하루가 25시간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과연 어디에 있을까. 참으로 궁금한 일이다. 계시원이 햇빛이기 때문에 빛을 감각하는
눈
과 관계가 있음에 틀림없다. 생물학자들은 5년전 빛 자극이 망막을 통해 생체시계에 이른다는 것을 연구, 사람의 생체개일시계를 대뇌의 시상하부에 있는 작은 두 지역으로까지 추적해갈 수 있었다. 이 부분은 ... ...
서울대 물리학과 김제완 교수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에너지의 백배나 되지요. 이 중성미자를 연구하는 것입니다. 중성미자는 빛과는 달리
눈
에 보이지도 않고 물질과 상호작용도 안하므로 우리들이 전혀 느낄 수 없는 입자입니다. 따라서 중성미자를 통해 우주를 볼 수 있다면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정보를 입수할 수 있습니다." 김교수는 ... ...
정확한 초점, 선명한 사진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의해서 우리
눈
은 더이상 수정체의 두께를 조절하지 않아도 되므로 위에서 지적했던
눈
의 유동성에 의한 착오도 절대 일어나지 않는다.금상첨화로 이 접안렌즈는 가상적인 공간을 초점면으로 사용하므로, 희뿌연 면을 초점면으로 사용하는 카메라의 파인더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선명도와 ... ...
우유를 응고시키면 치즈가 된다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그런데 우리가 슈퍼에서 사다 먹는 치즈는 노란색을 띠는데 집에서 만든 것은 왜
눈
처럼 하얄까요? 이것은 여러분이 치즈를 잘못 만든 것이 아니라 색소를 넣지 않은 깨끗한 치즈이기 때문이에요. 실제로 유럽에서는 치즈가 하얀색이래요. 이렇게 얻어낸 치즈를 2~13℃ 상태로 2주에서 여러달 동안 ... ...
박테리아 이용 조각상 파손 막는다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있는 역사박물과 국립시험장에 벽 하나를 만들고 그곳에 이 미생물을 뿌리자, 석공이
눈
대중으로 외기에 노출되는 면을 고를 때와 같은, 방해석(方解石)의 막이 형성되었다.박테리아가 분비하는 석회암이 응축되는 곳은 미생물 속인가 혹은 표면인가도 밝혀지지 않았을 정도로 세밀한 부분에서는 ... ...
화성에도 물이?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이 곳은 남 미주리지역에서 오자크 돔이라는 멋진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떨어진 비와
눈
이 서쪽으로 흘러간 것이다.이러한 두 가지 형태의 지하수는 궁극적으로는 둘 다 대기권에서 온 것이다. 그리고 이들은 이동과정에서 토양과 암석에 있는 염분을 녹인다. 세번째 종류의 지하수가 염수인 이유는 ... ...
이전
835
836
837
838
839
840
841
842
8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