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립"(으)로 총 2,3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유리처럼 투명한 각막 유전자과학동아 l201201
- 각막 속의 혈관 생성을 막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지난해 12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를 통해 발표했다.큠 교수는 이 사실을 밝혀내는 데 FoxC1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긴 쥐를 사용했다. 이 유전자에 문제가 있는 쥐의 각막에는 혈관이 비정상적으로 발달해 더 이상 앞을 볼 수가 ... ...
- 나노갤러리과학동아 l201201
- 이용해 전자기기나 광기기의 반도체로 사용할 예정이다.나노 밧줄미국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 연구팀은 기존 나노 소재를 꼬아 새로운 ‘나노 밧줄’을 만들었다. 밧줄의 지름은 600nm 정도이고, 단백질인 ‘콜라겐’의 모양을 흉내 냈다.나노 의약품얼키 루스라티 UC산타바바라 의대 교수팀은 ... ...
- 제주도, ‘세계 7대 자연경관’으로 날개 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23
- 게다가 저는 세계 7대 자연경관 예비심사 기준인 일곱 가지 주제 섬, 화산, 폭포, 해변, 국립공원, 동굴, 숲을 모두갖추고 있었다고요. 모두가 제게 표를 던지지 않고는 못 배겼을 거예요. 호호.가장 자랑하는 지역을 알려 주렴!멋진 곳이 셀 수 없이 많아요. 여기선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된 몇 곳만 ... ...
- 도니는 들판을 달리고 싶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23
- 생각하지만, 멧돼지 입장에서 보면 인간이 자신들의 집을 모두 빼앗은 거죠.한상훈 (국립생물자원관 동물자원과 과장)두 발의 총소리아직 체구도 작고 어린 티가 나는 도니가 혼자 산 아래로 뛰어 내려갑니다. 이 때 어디선가 총소리가 울립니다. ‘탕탕’ 멧돼지 전문 사냥꾼이 도니를 발견하고 ... ...
- 겨울나기 노트어린이과학동아 l201123
- 안녕? 난 온 동네를 돌아다니며 그림 그리기를 좋아하는 다슬이라고 해. 요즘 날씨가 추워져서 그림 그리기가 너무 힘들어. 그림을 그리기 힘든 추운 겨울은 내가 가장 싫어하는 계절이란다. 하지만 오늘도 색색의 크레파스를 들고 멋진 그림을 그리러 나왔어. 시린 손을 호호 불면서 그림을 그리고 ... ...
- 대전에 백두산호랑이가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22
- ‘금송’이에요. 이 백두산호랑이는 ‘국립백두대간수목원’ 호랑이 숲에 기증됐어요. 국립 백두대간 수목원은 산림청이 경북 봉화군에 여의도 6배 면적으로 조성하는 수목원으로 2014년에 완공돼요. 이때까지 두 호랑이가 적응하고 번식할수 있도록 전문기관인 대전 오월드에서 기른답니다 ... ...
- 헛다리 박사의 헷갈려~ 생물도감 대공개어린이과학동아 l201121
- 여러분, 반가워요! 나는 생물에 대해서라면 모르는 게 없다고 자신하는 '헛다리' 박사입니다. 언제가는 '어린이과학동아'에 꼭 나와야지 했는데..., 드디어 기회가 왔군요! 그런데 무슨 일이냐고요? '헛다리 생물 도감'이라는 엄청난 책을 만들고 있거든요~. 앗! 잠깐만! 저기 다람쥐가 보이는군요. ... ...
- 한반도 바다의 지배자는 누구? 상어 VS 고래어린이과학동아 l201120
- 고래를 발견하려면?우리나라 울산에는 고래를 연구하는 유일한 연구소가 있어요. 바로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예요. 손호선 박사님은 2000년부터 바다에 나가 고래를 연구하며,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범고래 사진을 찍으신 분이에요. 고래 박사님을 만나 얘기를 들어 볼까요?Q 바다에 나가면 ... ...
- 세계 최대 전파망원경으로 본 우주어린이과학동아 l201120
- 사막의 차이난토르 고원에 짓고 있는 거대 전파망원경 단지예요. 유럽남부천문대와 미국 국립전파천문대, 칠레, 일본, 대만 등이 함께 2003년부터 짓기 시작했지요. 현재 지름 12m의 안테나 19개를 설치했는데, 2013년까지 안테나 66개를 모두 설치할 계획이랍니다.알마는 가시광선보다 1,000배나 긴 ... ...
- 현장출동! 독도탐사대 강치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119
- 있는 섬에 아직 강치가 살아 있을지 모른다는 기대를 하고 있어요.한상훈 박사 (국립생물자원관 동물자원과) 안타깝게도 이제 독도에는 강치가 살고 있지 않았어요. ‘어린이과학동아’에 온 편지는 과거에 독도에서 살던 강치가 보낸 것이었지요. 우리 땅을 다른 나라에 빼앗긴 동안 소중한 생물도 ... ...
이전7980818283848586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