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저
높낮이
해발
고도
마루높이
마루
처마높이
d라이브러리
"
높이
"(으)로 총 2,575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장 새만금 방조제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06
홍수에 대비해 만든 수문이라고 설명했다.“여기가 신시배수갑문입니다. 폭이 300m,
높이
는 15m나 되죠. 부안군 쪽에는 가력배수갑문이 있어서 새만금 방조제에는 배수갑문이 총 두 개입니다. 수문 두 개를 합치면 1초당 방류할 수 있는 물의 양이 1만 5862t이에요. 소양강 댐의 3배죠.”새만금 방조제의 ... ...
움직임의 지혜
수학동아
l
201006
그린다. 이 때 공을 가장 멀리 보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근육의 힘을 키워 공의 속도를
높이
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당장 할 수 있는 방법은 아니다. 결국 거리는 공을 던지는 각도에 달려 있다. 포물선의 움직임을 보면 가장 효과적인 각도를 찾을 수 있다.공을 던지는 속도는 수평 방향과 수직 ... ...
멸종위기종 산양의 복원 현장 설악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06
노력 기울여야산에서 내려오는 길에 야영장 한쪽에 마련된 계류장을 들렀다. 넓이 400m2에
높이
3m의 망으로 둘러싸인 이곳은 지난 2~3월에 구조된 산양처럼 숲에서 다치거나 고립된 개체들을 데려다가 치료하고 보호할 목적으로 지었다. 올해 안으로 크기를 더 넓혀서 산양뿐 아니라 다른 ... ...
꿀벌보다 못한 인간의 선거방식
과학동아
l
201006
벽이 튼튼해야 하고 밖으로 난 구멍은 30cm2를 넘지 말아야 한다. 또한 땅으로부터 최소 3m
높이
에 있어야 하고 구멍은 남쪽을 향해야 한다.이 과정에서 중요한 일은 수백 마리의 정찰 꿀벌들이 찾아낸 후보지들 가운데에서 어디가 가장 좋은지를 의사소통을 통해 합의를 보는 것이다. 즉 우리가 하는 ... ...
고지대 남아공월드컵에서 승리하는 비법
과학동아
l
201006
공인구 ‘자블라니’는 힘을 살짝만 줘도 기대 이상의 속도가 나고 다른 공보다 더
높이
튀어 오른다.한국체육과학연구원 스포츠과학연구실 송주호 박사는 “공을 찰 때는 저지대에서보다 살살 차야 하며, 패스를 할 때에는 동료에게 공을 넘기는 타이밍이나 공에 들어가는 힘을 조절해야 한다”고 ... ...
자연의 놀라운 움직임
수학동아
l
201006
움직이는 원의 지름의 4배다. 사이클로이드 비닐하우스를 만들려면 지붕의 둘레를
높이
의 4배가 되도록 만들면 된다. 다양한 움직임의 세계, 재밌었나요? 움직임에 담긴 원리를 수학으로 보면 더욱 신기하답니다. 지금 주변에 있는 대칭이나 곡선의 움직임에서 수학을 찾아보세요 ... ...
세계 최고층 건물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5
쏘아 올려 보내는 방법을 사용했다. 그 결과 콘크리트가 올라간
높이
는 무려 601.7m! 152층
높이
까지 콘크리트를 올려보낸 일은 기네스북에 오를 정도로 인정을 받았다. 1분에 600m, 초고속 엘리베이터의 비밀그렇군. 시멘트라면 피라미드를 만들 때 썼던 재료라 나도 잘 알고 있지. 그런데 내가 없는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05
작아질 수 없다는 고전적 진리(?)가 깨졌다. 스위스 연방공과대 연구팀이 길이가 30μm,
높이
가 8μm인 마이크로 크기의 레이저(공명기)에서 파장이 200μm인 빛을 만든 것. 올해 ‘사이언스’ 3월호에 발표된 이 연구는 공명기 대신에 인덕터와 2개의 축전지로 이뤄진 전기적 공진기 회로를 만들어 빛이 이 ... ...
노벨상 석학 아다 요나트에게 듣다
과학동아
l
201005
호기심에 사로잡혀 무모한 실험을 많이 했던 ‘호기심 소녀’였다. 5살 때 집 난간의
높이
를 재려다가 바깥뜰로 떨어져 팔이 부러졌고, 등유의 일종인 케로신을 갖고 실험을 하다 불을 낸 적도 있다. 요나트 박사는 자신이 리보솜 구조 연구를 시작한 계기도 ‘세포의 일생에서 중요한 것은 ... ...
한국 최초 식물공장 가동 시작
과학동아
l
201005
나오지 않기 때문에 식물 바로 위에 조명이 설치돼도 별 문제가 없다. 보통 건물 한 층
높이
에서 7단으로 식물을 키울 수 있는 이유다. 이곳에서는 한꺼번에 최대 1만 5000 개체의 채소를 키울 수 있는데 연중무휴로 작동된다. 이 정도 양을 일반 온실에서 재배하려면 10배 정도 넓은 면적이 필요하다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