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벌거벗김
나출
제시
피폭
벌거숭이
옷
d라이브러리
"
노출
"(으)로 총 1,762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는야 지구 최강의 생명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9호
과학자들은 우리를 우주선에 실어서 우주에 올려 보내 우주공간에서 10일 동안
노출
시켰어요. 우주 공간은 진공인데다가 방사선과 지구 표면의 1000배가 넘는 자외선 때문에 아주 위험한 곳이에요. 하지만 최근 바싹 마른 상태로 지구에 돌아온 우리에게 물을 주자 대부분이 되살아나서 과학자들이 ... ...
하나, 둘, 셋, 찰칵~! 내 손으로 만든 사진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8호
바늘구멍을 통해 사진을 찍는 거야. 바늘구멍을 통해 들어오는 빛이 적기 때문에 빛에
노출
되는 시간을 길게 하거나 플래시를 터뜨려서 찍는단다. 1 안쪽을 검게 칠한 상자의 전개도를 준비한다. 2 상자 모양으로 잘 접고 모서리에 빛이 들어가지 않도록 모서리에 검은 테이프를 붙인다. 3 볼펜을 ... ...
21세기를 위협하는 전염병의 역습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4호
어린 시절에 이미 감염되어 면역을 얻은 반면 면역이 없는 20~30대가 뒤늦게 바이러스에
노출
되었기 때문이다. A형 간염은 백신이 개발되어 있으므로 미리 예방접종을 받는 것이 좋다. 결핵은 후진국형 질병? No~!결핵균이 일으키는 결핵은 몸의 조직을 파괴하는 병으로 세계적으로 큰 피해를 끼치는 ... ...
번쩍! 메가번개를 맨눈으로 보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프로그레스에 실어 ISS로 64Mb(메가바이트)급 FRAM을 미리 보내 두 달 동안 우주환경에
노출
시켰다. 내가 할 일은 ISS에서 머무는 동안 FRAM에 데이터를 쓰고 지우기를 반복한 뒤, 오류검사용 메모리를 갖고 돌아오는 일이었다.지구로 돌아온 뒤 전자부품연구원에서 메모리를 분석했다. 실험이 제대로 되지 ... ...
‘순간’을 필름에 담는 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충동구매’ 했다고. 중고였지만 당시로선 거금인 35만원을 들였다. “수동이라 장시간
노출
시킬 수 있어 별이나 달 사진을 찍기에는 최고에요.” 송 교수는 20년 지기 필름카메라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 “1997년 3월 9일 부분일식 때 찍은 사진입니다.” 그는 연구실 벽에 걸린 사진 한 장을 ... ...
탐사기획_제주도 람사르 습지를 가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습지를 벗어나 오름 정상 부근에 오르자 저 아래 습지가 그림처럼 펼쳐져 있다. 물이
노출
된 부분과 송이고랭이가 자라고 있는 부분이 마치 지도의 바다와 육지처럼 나뉘어 있다. 습지 너머로 눈을 향하자저 멀리 오름들이 봉긋봉긋 솟아있는 모습이 귀엽고 아득히 바다가 들어온다.“멋진 ... ...
겨울 재촉하는 밤하늘 불새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열심히 달려가는 형상을 하고 있어 ‘러닝맨’이라 불리는 푸른색 성운까지 담아내려면
노출
시간을 1~5분 정도로 길게 하면 된다. 이미지 촬영과 전송이 완료됐다는 메시지가 컴퓨터 화면에 나타나는 순간은 언제나 긴장되고 설렌다. 아름다운 구도와 정확한 초점, 그리고 적도의의 가이드까지 ... ...
나노벽으로 나노건축물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흘리면 어떻게 될까?예를 들어 이산화규소 층을 원형으로 깎아내 그 밑의 질화갈륨을
노출
시키면 산화아연 결정이 원형 기둥으로 자랄 것이다. 실제로 실험을 해보면 그렇게 된다. 그런데 나노구조를 자세히 보면 원기둥 속이 비어있다. 즉 나노기둥이 아니라 끝이 터진 나노튜브가 생긴다. ... ...
마술 같은 맛 그려내는 식품첨가물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등 천연색소로 색을 냈는데 예전의 사탕보다 색이 옅은 편이다. 다만 장기간 햇빛에
노출
되는 청량음료에는 여전히 청색1호나 황색4호 같은 합성색소가 쓰이고 있다. 또 영세 식품회사에서 만드는 일부 젤리나 사탕에는 여전히 타르계 색소가 들어있다.국내 유명 과자회사 신제품개발부에서 일하다 ... ...
서울대 ‘논문왕’서 은메달 거머쥐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건강을 지킬 수 있지 않았을까.이 교수팀은 최근 사고 당시 주민들이 오염물질에 얼마나
노출
됐는지 직접 계산했다. 그는 “무색무취의 오염물질은 눈에 보이지 않아 더 위험하다”며 “단추나 머리핀 크기로 바이오센서를 만들면 개인이 휴대할 수 있어 위험을 막는 데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