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민중
서민
군중
백성
집단
민생
국민
d라이브러리
"
대중
"(으)로 총 1,76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기술인을 ‘발명부자’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택할 수 있는 직업에 꼭 연구자나 개발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이공계 지식을 기반으로
대중
과 소통하는 과학기자나 프로듀서도 있고, 작가나 번역가도 있다. 외국에는 연구 결과를 멋진 그림과 그래프로 바꿔 주는 그래픽 아티스트나 애니메이션 제작자 중에도 이공계 출신이 꼭 끼어있다. 바로크 ... ...
“수학은 뇌 전체 훈련에 효과적”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좌뇌를, 도형과 같은 공간 구조는 우뇌를 훈련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수학교육
대중
화 강연은 수학을 공부하는 효과적인 방법과 원리를 소개하는 프로그램으로 누구나 참석할 수 있다. 매년 봄가을에 한국수학교육학회가 주최하는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와 함께 열린다. 이달에 만나는 수학자1 ... ...
Intro. 화학-지구촌 구할 녹색 해결사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안전에 대한 무지가 화학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악화시키는 데 일조했다. 물론
대중
매체가 진실을 왜곡한 경우도 있었지만 이런 사건들은 일반인들에게 큰 충격을 안겨줬다.그러나 세계 화학계가 무책임한 무대응 전략을 유지하지는 않았다. 캐나다의 화학생산협회가 1985년에 시작해 지금은 ... ...
Intro. 방사능 공포는 과장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 결론이다. 파트 3에서는 방사능 논란의 원인을 원자력 전문가와
대중
사이의 갈등에서 찾고, 이를 풀기 위한 방안을 ‘리스크(위험) 커뮤니케이션’ 속에서 찾아 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방사능 공포는 과장인가Part 1. 방사능 논란, ‘저선량 방사선’이 ... ...
Part 3. 수학과 과학은 서로 다르다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연구에 몰두합니다. 같은 문제에 대해서도 다른 관점으로 접근하죠.조금 어려운가요?
대중
들이 수학이 과학의 일부라고 생각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입니다. 수학을의무적으로 배우는 초중고 과정에선 과학에서처럼 수학을 계산하는 도구로만 배우니까요. 엄밀한 증명이 요구되는 수학은 ... ...
기회의 세상 만드는 마태복음 효과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1962년에 걸쳐 일주일 내내 8시간씩 공연했다. 하루도 빠지지 않고 3년간 무대에 선 결과
대중
의 사랑을 받을 수 있었다. 수많은 밴드를 통틀어도 이만큼 공연한밴드는 드물다.결국 1만 시간 법칙은 성공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야 한다는 뜻이다. 하지만 노력만이 성공의 비밀이라고 단정 짓긴 ... ...
Part 4. 미국 수학의 달은 4월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이 1986년 일상생활 속에 수학이 깊이 자리 잡고 있다는 사실을
대중
에게 알리고 수학 연구를 활성하기 위해 수학주간을 선언했어요.”그러니까 미국은 4월이 수학의 달이로군요. 수학 행사라고 하면 잘 안 떠오르는데, 미국에선 어떤 활동을 하나요?“매년 주제를 정하고 각 ... ...
우주까지 반백 년, 그리고 우주에 다다른 지 반백 년…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준비했다. 비행 후에도 함께 미국과 러시아의 여러 곳을 방문해 강연했다. 그때마다
대중
앞에서 서로 ‘우리는 적이 아닌 친구’라고 소개했다. 그 어떤 경계도 없는 우주에서 함께 임무를 수행했던 우리가 이 지구에서 해야 할 많은 일들을 생각하면, 애스트로넛인지 코스모넛인지의 구분은 아무런 ... ...
직업에서 취미를 찾은 ‘기상의 달인’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가질 수 있지만 반대로 관심범위가 좁아진다. 직업에서 취미를 개발한 류상범 박사는
대중
과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 아직도 기상이 재밌다는 그의 모습에서 기상의 ‘달인’의 한면을 볼 수 있었다 ... ...
지능형 데이터시스템 공학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좋다.이 분야는 사용자와 가장 밀접하게 닿아있는 서비스 분야이다. 새로운 기술이
대중
화될 때마다 빠르게 적용해야 한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면서 개인 GPS 정보에 접근하기 쉬워졌다. 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가 급격하게 활성화되면서 실시간 정보가 넘쳐났고, 이를 이용하기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