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d라이브러리
"
망원경
"(으)로 총 1,853건 검색되었습니다.
감자의 인기가 급상승한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성운 · 성단)를 109개 모아 84년에 출판했다이 목록에 수집된 성운 · 성단은 지름 5cm의
망원경
으로 관측한 것으로, 대표적인 것은 거의 대부분 포함되어 있다그러므로 성운 · 성단을 표시할 때는 메시에의 이름에서 M과 그 목록의 번호를 붙여 부르는 경우가 많다리보핵산(RNA)의 일종으로서 유전자DNA ... ...
봄날의 달빛을 좋아하세요?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가장 오른 쪽에 보이는 검은 부분이 ‘위난의 바다’에요. 아래쪽에 풍요의 바다가 보이죠? 그 위 그림자에 반쯤 가린 부분이 ‘맑음의 바다’ ... 반 정도 들어갈 거리)로 접근한 뒤 자정 무렵 지평선 아래로 진다. 근처 천문대를 방문해
망원경
으로 달과 화성의 조우를 카메라로 찍어보자 ... ...
지름 2m의 눈으로 우주 본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연구원들은 나유타의 아이피스에 보이는 토성을 사진으로 담을 수 있게 해주었다. 과연
망원경
으로 본 토성이 디지털카메라에 제대로 나올 수 있을까 생각했지만,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노출시간과 카메라의 각도에 따라 상태는 달라지지만, 고리를 걸친 토성을 선명하게 잡을 수 있었고 위성까지 ... ...
지구온난화 가속시키는 바이오연료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모두 다르므로 관측대상의 거리에 따라 알맞은 접안경을 선택하여 관측한다천체
망원경
의 경통 앞쪽 끝에 구경 전체를 가리도록 장치한 대형 프리즘 꼭지각은 10° 이하의 것이 많고 1° 정도의 것도 있다분광사진기의 슬릿과 콜리메이터를 생략하여 프리즘과 사진기만으로 만든 것에 해당한다한번에 ... ...
밤하늘에서 한국 최초 우주인과 마주보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소백산천문대에 천체 촬영 목적으로 설치된 지름 180cm 천체
망원경
과 61cm급
망원경
으로는 더 또렷한 모습을 볼 수 있지만, ISS처럼 빠르게 도는 저궤도 위성을 추적하면서 찍기는 매우 어렵다. ISS 출현 시간과 위치, 미리 알 수 있어ISS가 밤하늘을 가로지르는 모습을 촬영하는 데는 준비물이 많이 ... ...
별을 그대 가슴에 안겨주는 천문학 에세이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점치는 곳으로 오해해 벌어지는 일들이다. 그런 사람들에게 박 원장은 되묻는다. 천문대
망원경
부품은 주로 어디서 구하는지, 우리나라 과학위성에 탑재되는 관측위성은 누가 주로 만드는지, 우리나라의 GPS(국제위성항법시스템) 기준점은 어디에 있는지, 음력 생일의 양력 날짜를 확인할 수 있는 ... ...
위성 격추하는 미사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있다 또한 식물 · 미생물계에도 존재한다 뉴튼이 오목반사거울을 이용하여 고안한 반사
망원경
의 한 형식 경사진 평면의 부경(副鏡)을 설치하여 초점을 경통(鏡筒)의 측면으로 도입하는 방식이다 방정식 f(x)=0의 해를 근사적으로 구하는 방법의 하나 물체의 운동에 관한 뉴튼의 기본적 법칙 제1법칙 ... ...
호주의 사막 한가운데서 별빛으로 샤워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한가운데에 있는 작은 마을에 난데없이 동양인 세 사람이 나타나 대포같이 생긴 거대한
망원경
을 늘어놓자 누군가 테러리스트가 온 것 같다며 신고를 했던 것.함께 별을 보지 않겠냐는 제안을 웃음으로 거절한 경찰을 뒤로 하고 밤하늘을 맞을 준비를 마쳤다. 아직 여명이 남아 있음에도 별들이 ... ...
한강에 모인 새 박사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필독서. 낯선 새를 발견하면 도감을 뒤지며 이름을 찾는다. E 필드스코프조류 관찰용
망원경
. 양궁 경기에서 선수가 화살을 쏜 뒤 과녁에 맞았는지 확인하는 데 사용하기도 하며 디지털카메라와 연결하면 훌륭한 망원렌즈 역할을 한다.F 지도지도를 들고 다니며 새를 어느 장소에서 발견했는지 ... ...
EPISODE3 인류구원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바에 따르면 우리은하의 별 가운데 4~8%가 주변 행성을 잡아먹은 특징을 보인다. 즉 우주
망원경
연구소 마리오 리비오 박사팀은 거대한 별이 목성 같은 거대행성을 삼키면 적외선이 과도하게 나오고 빠르게 자전하며 목성형 행성에서 공급한 리튬이 발견된다고 밝혔다.우리 태양은 어떨까. 태양은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