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명
정신문명
물질문명
교양
culture
생활풍속
문화도
d라이브러리
"
문화
"(으)로 총 2,900건 검색되었습니다.
[손바닥 인터뷰] 세계에서 가장 바쁜 남자와 댓글을!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인터넷에는 AMA라는 독특한
문화
가 있다. 무엇이든 물어보라는 뜻을 가진 AMA는 댓글로 유명인과 직접 대화를 나누는 인터넷 놀이다. 지난 1월 6일에는 스페이스 엑스(X)의 대표 엘론 머스크(사진)가 “나는 엘론 머스크며, 로켓 회사의 CEO다”라며 AMA를 시작했다. 로켓 재활용 프로젝트 발사 하루 ... ...
수학 문제로 신에게 축복을 빌다 산가쿠(算額) 찾아 떠나는 일본여행기 1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산가쿠는 예술의 대상이면서도 종교적 봉헌물로 제작된 대중의 수학 기록으로, 세계
문화
유산으로는 유일한 창조물이다.”이쯤에서 풀이까지는 아니더라도 산가쿠를 구체적으로 몇 문제 정도 들여다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 산가쿠에 등장하는 문제는 주로 원에 접하는 도형에 관한 문제다. 이런 ... ...
[참여] 현대 모터스튜디오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국내 최초의 자동차 브랜드 체험관이다. 마치 미술관처럼 자동차가 전시돼 있고, 자동차
문화
큐레이터의 전문적인 해설을 들을 수 있다. 과연 이곳에는 어떤 이야기가 기다리고 있을까? 새해 첫 탐방을 따라가 보자.현대 모터스튜디오의 관람은 유수민 구루★의 안내로 진행됐다. 유수민 구루는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벤처에 ‘후츠파’하라! (이스라엘의 도전정신)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가장 성공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입니다. 우리나라도 현재 벤처 1세대를 중심으로 그런
문화
를 만들려고 노력 중입니다.Q 벤처는 IT 이외에 어떤 분야가 있나요?구글 창업자인 세르게이 브린의 아내가 만든 ‘23and ME’라는 회사가 있습니다. 이 회사는 어린아이의 DNA를 읽어서 아이가 어떤 방면에 ... ...
800년 동안 바다 속에 있던 보물선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2호
전시하는 유일한 기관이에요. 오랜 세월을 거쳐 바다 밖으로 모습을 드러낸 우리
문화
유산을 통해 과거 여행을 떠날 수 있었던 뜻깊은 시간이었답니다 ... ...
Part 3 엄마 핏줄이 더 당긴다?!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가능성이 높다고 하면 친사촌이 도와 줄 확률이 더 크지 않을까. 전 교수는 “우리나라
문화
를 반영한 연구에서는 이종사촌 다음으로 친사촌이 도와 줄 확률이 높게 나왔다”고 밝혔다. 꼭 핏줄에 끌리는 게 다는 아니라는 소리다. 생사가 달린 위기 상황에선 어린 순서대로만약 도움을 줘야 하는 ... ...
깜짝 놀라지 않을 턱이 있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2호
좁아지면서 치아가 자랄 자리가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거예요.전문가들은 세계적으로 식
문화
가 비슷해짐에 따라, 미래에는 인종이나 나라와 관계없이 턱 모양이 비슷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답니다. 턱 습관 17세 되기 전에 건강한 턱을 만들자!요즘 우리나라에서는 V라인을 예쁜 얼굴의 조건으로 ... ...
두 번째 요리 모두에게 공평하게, 국수와 만유인력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공평한 음식입니다. 일본의 라멘에서 이탈리아의 파스타까지, 국수만큼 나라와
문화
에 상관없이 세계 곳곳에서 사랑 받는 음식은 없습니다. 가난하든 부자든 부담없이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도 국수는 세상에서 가장 평등한 음식입니다.그런데 100년 전까지 해도 국수는 평등한 음식이 아니었습니다. ... ...
[매스투어] 불교
문화
속 띠군을 찾아~ 태국으로!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태국을 여행하게 된다면 이 17가지 벽지 문양 찾기에 도전해 보세요. 방콕의 불교
문화
는 정말 다채로워서 17가지 벽지 문양을 모두 찾을 수 있을 것 같은 예감이 들거든요 ... ...
[Hot Issue] 인공유산 여전한 우리나라, 여초시대는 없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여성이 남성보다 6.5년 가량 더 오래 살기 때문인데, 최근에는 이 차이도 좁혀지는 추세다.
문화
적으로 남아선호가 강하게 존재하는 사회에서는 성감별 출산이 완전히 사라지기 어렵다. 앞으로 의학 발전에 따라 성감별이 더 쉬워질 것이다. 전통적인 남아선호 사상과 정부의 산아제한 정책이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