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본
근원
기원
원천
기초
시초
씨앗
d라이브러리
"
뿌리
"(으)로 총 1,271건 검색되었습니다.
허준은 스승의 시신을 해부했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외과수술적 방법이 담겨있다. 예리한 수술 도구를 써서 종기를 째고 여러가지 약을 써서
뿌리
를 제거하는 각종 방법이 그것이다. 지금의 눈으로 보면 별 것 아닌 것 같지만,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것이었다.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유래가 없는 것이었다. 하지만 백광현과 그의 문하가 발전시킨 이 같은 ... ...
꽃 색깔 연출하는 화청소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바뀐다. 밤에는 낮에 생성된 녹말이나 셀룰로오스는 다시 포도당으로 변해 줄기나
뿌리
로 이동해간다. 그러나 잎 복판의 중앙 잎맥을 잘라 놓으면 포도당의 이동통로가 끊어진다. 따라서 잘라진 중앙잎맥을 중심으로 윗부분에 생성된 포도당은 이동하지 못하기 때문에 잎의 윗부분에 쌓이게 된다. ... ...
눈물 젖은 꿈 우주에 띄운 '우리별' 주역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아버님을 치료해 드리고 싶어서였다. 하지만 우주를 향한 그의 마음은 가슴속에 깊게
뿌리
를 내리고 있었다. 초등학교 담임선생님이 건네준 ‘환희의 세계’란 책을 읽으면서 우주비행사나 우주과학자의 꿈을 품었다. 너무 재미있어 1백번도 넘게 읽었다. 읽는 동안만은 모든 것을 잊고 화성이나 ... ...
인류는 어디서 발생했는가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model)로 불린다. 끝이 여러 갈래로 나눠진 촛대를 떠올려보자. 아득한 옛날 인류는 한
뿌리
에서 자라났지만, 곧선사람(Homo erectrus 또는 Homo heidelbergensis) 이전에 여러 갈래로 나눠져 세계 곳곳에서 발달했다는 설명이다. 그리고 슬기사람은 여러 지역에서 살던 곧선사람에서 진화해 유전자 교환 등을 ... ...
조선 사람의 생로병사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약을 써도 죽는다’에서는 조선 사람의 평균 수명이 24세인 까닭과 조선시대 사람들의
뿌리
깊은 운명론적 관념을 보여준다. 그리고 ‘변강쇠가 걸린 아흔 가지 병’에서는 잊혀진 옛 질병의 이름, 당뇨병과 악성 종양을 포함한 모든 질병이 과거에도 존재했음을 말해준다. 이외에도 허균의 이슬람 ... ...
턱도 디스크에 걸린다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이를 갈거나 악무는 습관을 차단해줍니다. 우리가 이를 악물도록 만드는 신호는 치아의
뿌리
를 싸고 있는 치주인대의 ‘고유수용기’를 통해 뇌로 전달됩니다. 그런데 치아와 치아 사이에 적당한 장치물이 들어가면 고유수용기에서 뇌로 전달되는 신호에 변화가 생깁니다. 그 결과 이를 악무는 ... ...
진화가 대칭성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하늘로 솟아오르는 줄기 끝은 분명하게 구분된다. 그러나 바다에 사는 식물이든 땅에
뿌리
를 내리는 식물이든 앞뒤나 좌우의 차이는 거의 없다. 그것은 대개의 식물이 대체로 원뿔과 비슷한 대칭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수직 방향의 대칭면은 무한히 많지만 수평 방향의 대칭면은 없다. 일례로 ... ...
스스로 물 마시는 새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모세관 사이의 인력이 액체 분자간의 인력보다 크면 올라가고,작으면 내려간다.식물이
뿌리
에서 흡수한 물을 높은 곳까지 올릴 수 있는 것도 모세관 현상과 증산 작용에 의한 것이다.사이펀 원리 중력에 의한 액체의 위치에너지 차이와 액체 분자간의 인력으로 높은 곳의 물을 낮은 곳으로 연속해 ... ...
간지럼타는 배롱나무와 음악듣는 오이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맺을 수 있다.유실수 줄기의 일부 껍질을 벗겨 내거나, 철사로 줄기를 감아두기도 하고,
뿌리
를 조금 잘라주거나, 줄기에 칼자국을 내거나 했던 조상들의 방법이 모두 같은 원리에서 출발한 것이다. 나뭇가지 끝을 아래로 휘어지게 잡아맨 것도 휘어진 부분에서 조직을 긴축시켜 수액의 이동을 ... ...
인간배아 복제 허용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생물학에서는 배아기간세포(embryo stem cell)라고 부른다. 몸의 모든 조직을 형성하는
뿌리
에 해당한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다.1998년 미국 위스콘신대학 발달생물학자 제임스 톰슨박사와 존스 홉킨스대학의 존 기어하트박사는 세계 최초로 인간의 기간세포를 배양하는데 성공했다. 이들은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