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상
상해
자취
흔적
얼룩
자국
손상
d라이브러리
"
상처
"(으)로 총 970건 검색되었습니다.
뇌의 손상부위 따라 말하기 듣기 건망증 등 언어장애 각각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두 기능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주는 뇌의 중요 부위가 궁형섬유속인 것이다.뇌가
상처
를 입었을 때 이 궁형섬유속이 파괴되었다면 이 사람은 브로카실어증이나 베르니케실어증의 증상과는 다른 또 하나의 특이한 실어증 증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실어증을 전도실어증(傳導失語症)이라고 한다. 이들 ... ...
생물에도 '왼손·오른손잡이'있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어떤 종이 삼엽충의 먹이 사냥꾼이었는지 확신할 수는 없지만, 삼엽충의 물어뜯긴
상처
의 크기와 모양을 볼 때 아마도 둥글고 단단한 턱을 가진 아노말로카리스라는 원시 생물의 입에 의한 것이라고 추정된다. 길이가 20cm 정도 되는 이 생물도 이미 멸종되어 그 후손을 남기지 않았다. 그러나 ... ...
태양표면의 흑점수를 세어보자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흔들리지 않게 한 후 그 위에 흑점의 위치와 형상을 그려가면 된다. 렌즈에 낀 먼지나
상처
를 흑점으로 착각하지 않도록 망원경을 흔들어 보아 반드시 움직임을 확인한 후 스케치하도록 한다.모든 흑점을 그릴 수 있으면 동서선을 넣어서 흑점군 숫자 및 흑점의 총수를 세어 기록하면 더욱 좋다. ... ...
생물- 신경세포 3백억개 모인 거대한 정보처리용 컴퓨터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그는 굴착 작업을 하던 중 우발 사고로 철창이 머리 앞부분에 박혀 전두엽에 심한
상처
를 받았으나 기적적으로 생존했다. 그 사람은 시각 청각 기타 감각 언어 등은 정상적으로 수행되었지만 인품은 대단히 변하였다. 사고 전에는 이성적이고 충실한 사람이었으나 사고 후에는 생각 없고 감응력도 ... ...
생명체 보존 위해 세포가 자살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생명체를 이루고 있는 세포가 증식을 계속하고 있다는 의미를 가진다. 젊은 사람일수록
상처
가 난 부위가 쉽게 아물고 언제 그런 일이 있었느냐는 듯 새살이 돋아나는 것은 바로 우리 몸을 이루고 있는 세포가 끊임없이 증식하고 있기 때문이다.그런데 최근 이러한 세포의 정상적인 메커니즘과는 ... ...
피부와 태양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유럽산의 애완동물은 그러한 면역성이 없다. 이들은 특히 귀의 끝부분이나 코 끝에
상처
받기 쉽다.오스트레일리아의 왕립 동물학대방지협회는 태양의 자외선이 가장 강한 시간인 오전 11시에서 오후 3시 사이에는 애완동물을 집안에 두라고 말한다.애완동물은 일광차단 크림을 핥아 먹는다. 당신의 ... ...
박쥐, '해로운 동물' 오해로 멸종위기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스코트는 수년 전 캘리포니아야생동물보호센터에서 처음 만났는데 여기서 그들은
상처
입은 동물들을 치료해주는 일을 했다. 이곳에서 우연히 박쥐에 관한 강의를 들은 것이 두 사람이 함께 박쥐보호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그들은 영리하고 유익한 동물인 박쥐의 수가 현저히 ... ...
앵초 큰앵초 깽깽이풀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70년대까지 서울 근교인 경기도 광릉이나 죽엽산 축령산 명지산 등에서는 앵초 큰앵초 깽깽이풀 등을 쉽게 볼 수 있었다.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식물들을 ... 짝이 없다. 1군(郡) 1휴양림 조성계획에 따라 자연휴양림지역으로 바뀐 숲속의 식물 생태계가
상처
를 입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 ...
국내배출 '천문학 박사 1호' 박홍서 천문대장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교수(51)는 교수직을 유지한 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천문대장으로 겸임 발령을 받았다.
상처
받은 천문학 연구자들의 마음을 어우르고 재도약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라는 무언의 지시였다. 이 지시는 외부에서 내린 것이 아니라 천문학자들 스스로가 내린 결정이라고 할 수 있다. 외도에 나선 ... ...
몸을 독으로 무장하는 새 발견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걸려 있는 것을 보았다.단베커는 이 새를 그물에서 떼어내려다
상처
를 입었다. 그가
상처
를 입으로 빨자 입속이 얼얼했다. 다시 이 새의 깃털을 입에 대는 순간 혀가 마비되어 타는 듯한 느낌이었다. 현지인에게 이 새에 대해 들어보니 이곳에서는 옛부터 먹을 수 없는 새로 알려져 있다는 것이었다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