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라인
철사
덕
케이블
전선
line
d라이브러리
"
선
"(으)로 총 3,43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수중과학수사대 훈련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수중과학수사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게 성 본부장의 설명이다.해군 수중과학수사대에
선
수중시체 인양에 최적화된 특수장비를 개발하고 있다. 강화아크릴로 된 관 모양의 장비로, 시체를 바닥부터 감싸 뚜껑만 닫으면 바로 들어 올릴 수 있다. 시야가 나쁠 때 시체낭을 뒤집어씌우는 과정에서 ... ...
PART 2. 아무도 몰랐던 착시의 비밀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모든 꼭짓점에 대해 시각 피질의 두 영역이 자극을 주고받으면서 실제로는 없는 윤곽
선
을 만들어 낸답니다.자, 궁금한 점이 모두 해결됐나요? 착시는 재미있는 볼거리이기도 하지만 사람이 어떻게 세상을 인식하는지를 밝힐 수 있는 단서이기도 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군요. 아직 연구할 것이 많기 ... ...
[지식] 인터뷰_이훈희 교수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교육과학기술부가 발표한 ‘2012년 기초연구 우수성과 50
선
’으로
선
정된 연구에 대해 알려주세요.현대 수학에서는 답을 찾기 전에 답이 모여 있는 모임을 먼저 파악하고 이해하는 방법을 많이 써요. 바로 답부터 찾는 게 어려우니까 답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는 모임, 즉 공간에 대해 먼저 연구하는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체험활동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통해 간접적으로 공포가 어떻게 연결됐는지 배울 수 있습니다. 이번 관문을 통과하면 조
선
의 제 25대 임금인 철종의 초상화를 만날 수 있습니다.이제 정전에서 도전하는 마지막 관문입니다. 관문에 앞서 간단한 수수께끼를 내겠습니다. 전통건축물을 사람에 비유할 때, 얼굴에 해당하는 부분은 ... ...
PART 2. 물 밖으로 나온 수중과학수사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저수지 수심 3m 지점에 담가놓은 칼에서는 7일 이후부터 미생물 오염으로 지문이
선
명하게 검출되지 않은 반면 증류수는 14일까지 문제없이 잘 보였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바다의 셜록에 도전하다 수중과학수사PART 1. 수중과학수사대 훈련현장에 가다PART 2. 물 밖으로 나온 ... ...
[지식]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_저르퍼시의 추측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거리가 가까우면 혼
선
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지요. 고속버스 회사가 정해진 버스 노
선
의 시간표를 모두 운행하고자 할 때 필요한 최소 버스 수를 구할때도 그래프 색칠 문제로 바꿔 문제를 해결합니다.이처럼 그래프 이론에는 실생활에 유용한 문제가 많지만 오랫동안 풀리지 않은 문제 또한 ... ...
[소프트웨어] 게임카페_팡! 물풍
선
이 터진다!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도형이 복잡할수록 충돌을 계산하는 데 오래 걸립니다. 테두리를 따라 직
선
과 곡
선
을 각각 계산하기가 번거롭기 때문이지요.그래서 게임에서는 원이나 사각형이 캐릭터와 아이템을 두르고 있다고 가정하고 충돌을 계산해요(바운딩박스). 그러면 계산도 수월해지고 정확도도 높아집니다. 어떤 ... ...
[Nesw & Issue] 생체조직 투명하게 만드는 데 단 6시간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곳까지 적용할 수 있게 됐다. 조직이 투명해지면 항체의 침투력이 상승하기 때문이다.
선
교수는 “생체조직을 3차원으로 볼 수 있는 혁신적인 진단법 개발의 기반을 마련했다”며 “향후 뇌지도 작성에 필요한 핵심기술을 확보한 것”이라고 말했다 ... ...
PART 1. 북한은 정말 수소폭탄을 터트렸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만들 수는 없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원자폭탄을 터뜨려 발생시킨 고에너지 X
선
을 내부에 반사시켜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는 수소폭탄은 핵분열 폭탄보다 훨씬 더 정교한 기술이 필요하다.핵무기 전문가인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원자력핵공학과의 스캇 켐프 교수는 e메일 인터뷰에서 “현재 ... ...
[Career] 영하 150℃에서 찰랑이는 물 보셨나요?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있고, 2014년에는 스스로 개발한 기법을 응용해 단백질보다 크기가 큰 박테리아의 구조를 X
선
으로 관찰했다.김 교수는 “새로운 분야를 연구하다보니 안정적이지 못하고 학회를 가도 같은 주제로 얘기할 사람이 없어 외롭지만, 남들이 보지 못하는 것을 연구한다는 사실이 즐겁고 자부심도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