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배
선진자
선진사회
사회
d라이브러리
"
선진
"(으)로 총 1,574건 검색되었습니다.
2. 바닷속 파이어니어 심해탐사정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이판묵 선임연구원은 "ROV는 이용 분야가 넓어 상업적으로 이용가능성이 높고, AUV는
선진
기술력 확보가 주안점"이라고 말하고 있다.대우중공업 선박해양기술연구소의 장휴정박사는 "옥포 6000을 개발하는 것은 기술력을 확보한다는 측면과 더불어 한국에서 자율형 무인탐사로봇을 개발했다는 상징적 ... ...
1. 가상공간에 신인류·신문화 위한 새 지구 건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늘어나고 있긴 하지만 여전히 인류 대다수는 인터넷 가상공간을 경험하지 못하고 있다.
선진
국과 후진국, 도시와 농촌, 지식층과 일반대중 등 다양한 갈등구조가 가상공간에도 여전히 남아있다.인터넷 엑스포가 '또하나의 지구' 를 만드는 대역사의 첫걸음이라 한다면 신기술과 볼거리도 중요하지만 ... ...
1. 공통과학 재미있게 공부하는 법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다음 호부터 공통과학 특강은 물론, 시사과학을 중심으로 한 과학논술대회와
선진
과학교육사례를 연재할 계획이다. 올해부터 고등학교 1학년생들은 공통과학이라는 과목을 일주일에 4시간씩 배운다. 공통과학은 지식적인 면에서 중학과학과 비슷한 수준이다. 그러나 학생들이 직접 답을 찾아야 ... ...
치아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약 90%이상의 사람들이 충치를 앓고 있거나 치료한 경험이 있다.
선진
국일수록 예방을 잘 해 충치발생이 점차 줄어든 추세인데, 세계보건기구는 우리나라는 충치 발생이 늘고 있는 대표적인 국가로 판정했다.충치를 예방하려면 우선 식사 후나 잠자기 전 이를 잘 닦아야 한다. ... ...
3. 세계톱10을 준비하는 KAIST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교류나 현지연구는 경쟁력 있는 연구 교육기관으로의 체질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다.
선진
국에 KAIST 분교나 현지연구소를 설치 운영하는 것도 한 방법일 것이다.때늦은 감이 있지만 하루빨리 제2의 도약을 위한 진지한 검토와 계획이 KAIST와 KAIST를 아끼는 사람들에 의해 이뤄지길 바란다 ... ...
1. 공부방법 달라진 공통과학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대학입시와 연결된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될 것"이라고 교육 관계자들이 입을 모은다.
선진
국, 생활 속의 과학 이미 실천공통과학은 일상생활의 내용을 과학적으로 풀어보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개념과 지식 위주로 배우는 학문적 접근과는 그런 면에서 큰 차이가 있다. 물리 화학 생물 ... ...
2. 나의 젊은 시절 보금자리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앞서 사회에 대한 봉사의식을 가지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앞으로의
선진
기술사회는 기술자의 기술개발로 모두가 잘살게 되는 사회입니다. 과학기술자가 되기 위해서는 머리만 좋으면 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으로서의 호연지기를 기르는 것 또한 중요합니다.” 오박사가 예비 ... ...
자동차 안에서 PC통신 즐긴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각 코드별로 재구성한다.CDMA기술은 무선통신분야에 기술수준이 뒤떨어진 우리나라가
선진
국으로 올라서기 위해 범국가적으로 개발했다. 미국 퀄컴사로부터 원천기술을 받아 전자통신연구소와 삼성 현대 LG 등 업체들이 공동개발한 것.무선분야 최고를 자랑하는 미국에서도 CDMA는 상용화가 안된 ... ...
대기오염 상식 잘못 알려진 것 많다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과학'의 이름으로 포장되면 어떻게 될까? 단순히 개인적 오해 차원의 문제가 아니다.
선진
국의 정부와 기업 등 강자의 이해관계가 숨어있기 때문이다. 잘 알고 있다고 여기는 대기오염 '상식' 을 다시 살펴보고 편견을 바로 잡자.잘못된 이론이나 상식은 진실을 왜곡할 우려가 있다. 특히 이들이 ... ...
2. 한국우주개발의 신호탄 우리별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위성은 과학기술처가 '국가우주개발 중장기 계획'에서 밝힌 바와 같이 위성에 대한
선진
기술과 기반 기술을 연구하고, 과학 탑재체를 통한 실험을 목적으로 계속 개발될 것이다. 특히 과학실험위성 개발은 우주 개발에 필요한 연구원을 양성하는 중책을 맡고 있다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