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꽃술
오퍼레이션
절단
인공임신중절수술
인공
임신중절
웅예
d라이브러리
"
수술
"(으)로 총 1,271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 그래픽스 액체로봇에서 가상공장까지 척척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후 이 영상을 이용해 가상의 신체를 3차원으로 만들어내면 위험한 시술의 경우 ‘모의
수술
’도 가능할 것이다.굳이 어려운 전문 분야가 아니라 하더라도 우리는 도처에서 컴퓨터 그래픽스를 접하고 있다. 워드프로세서나 엑셀 프로그램 등 마우스를 이용해 아이콘과 버튼을 조작하는 소프트웨어는 ... ...
1. 인간배아 이용한 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과학 업적 중 하나그동안 의학분야에 커다란 발전이 있었다는 것은 사실이지만 약품이나
수술
이외에는 별다른 질병치료기술이 없었다. 현재에도 많은 난치병, 불치병이 존재하고 새로운 질병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21세기의 의학은 궁극적으로 질병의 원인을 밝히고 이를 근원적으로 치료할 수 ... ...
긴급진단, 안락사 논란 핵심 쟁점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안락사에 해당된다고 봐야 하지만, 소극적인 안락사로 분류될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해
수술
을 하지 않는 결정을 내렸던 것이다.이러한 우려의 대상은 신생아에 국한되지 않는다. 안락사란 미명 하에 27만5천명의 정신병자와 불구자, 그리고 지병이 있는 노인들이 나치 당원 의사들에 의해 살해당한 ... ...
중·고생 마라톤 풀코스 완주하지 마라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생겨서 무릎 아랫부분이 튀어나오고 뼈 조각으로 인해 계속 통증을 느끼다가 급기야
수술
을 받는 경우도 있다.이러한 증상들이 나이에 맞게 적당한 거리를 달리지 않고 어른들처럼 먼 거리를 한번 해보자는 욕심을 내면 당장 생길 수 있는 좋지 않은 결과다.달리기 전후 스트레칭 중요달리면서 자기 ... ...
장애아 애덤 킹의 아름다운 시구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이때 의사는 내시경과 연결된 모니터로
수술
과정을 볼 수 있다. 내시경
수술
은 기존
수술
보다 적은 상처만을 남긴다. 이처럼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내시경이 발전하기까지 여러 학문이 참여했다.우선 장비의 기능적인 설계를 비롯한 전체 설계와 제작은 기계공학이 담당한다. 내시경의 각종 ... ...
복제된 인간에 머리 옮겨 붙이기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주었다. 뒤이어 1998년 5월, 미국의 화이트는 원숭이 두마리의 머리를 교환해 몸에 붙이는
수술
에 성공함으로써 또 한번의 충격을 안겨주었다.위의 두 연구를 종합해보면 다음 내용을 상상할 수 있다. 어떤 부자가 나이가 들어 몸이 약하게 됐다. 그는 머리 없는 젊은이를 한 명 만들어달라고 인간복제 ... ...
① 소재ㅣ
수술
부위 말끔히 없애는 홍합 접착제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홍합 접착제는 의학에서 혁명과 같은 변화를 몰고 올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사는 환자를
수술
한 후 상처를 실로 꿰맬 필요 없이 접착제를 바르기만 하면 된다. 환자가 회복한 후 실을 귀찮게 제거할 필요가 없을 뿐더러 회복도 더욱 빨라질 것이다.한편 미국에서는 홍합의 콜라겐(힘줄 등에 있는 ... ...
중학교 과학교과서 컬러시대 열렸다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일선 교사들은 칼라에 사진이 많아진 점에서 새로운 교과서를 반긴다. 획기적으로 성형
수술
한 교과서로 배우는 학생들이 보다 더 과학에 관심을 가지기를 기대한다 ... ...
목숨 걸고 펼치는 가상전투게임 '아바론'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우리가 실질적으로 보는 씬에 컴퓨터가 추가적인 정보를 덧붙이는 것이 증강현실이죠.
수술
시 정보를 주면서 작업하는 기술도 MIT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얘기가 길어집니다만 가상현실의 또다른 대안이 입는 컴퓨터입니다. 컴퓨팅 장비를 최대한 편하게 몸에 부착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많은 ... ...
과학으로 풀어본 희로애락 - 웃음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환자 등 다양한 정신장애환자를 치료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뇌
수술
을 할 때 감정과 사회 행동을 담당하는 민감한 부위를 알 수 있어 부작용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웃음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이미 수많은 과학자들에 의해 진행돼 왔다. 지난 1998년 미국 LA 소재의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