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동"(으)로 총 5,1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지상세포...바이러스 정체 알리는 전령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뒤 림프절로 이동한다. 림프구에 알려 면역반응을 일으키게 하기 위해서다. 림프절로 이동한 수지상세포는 먼저 T림프구를 불러내 면역반응을 일으키고, T림프구와 B림프구에게 항원 정보를 교육해 효과적인 면역반응이 일어나도록 유도한다. 이런 역할 덕분에 수지상세포는 ‘항원제시세포(antigen ...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과학동아 l2020년 07호
- B림프구는 수지상세포와 도움 T림프구의 도움으로 형질세포가 돼 감염된 세포를 찾아 이동한 뒤 적을 물리친다. 비활성 B림프구가 바이러스 C의 특징을 수지상세포 등에게 교육받을 때 일부는 형질세포가 되지만 일부는 기억 B림프구가 돼 장기간 몸에서 살아남는다. 이 때문에 바이러스 C가 몸에 ... ...
- [수학뉴스] ‘골든 타임’ 중요한 해난 구조 수학이 돕는다수학동아 l2020년 07호
- 표류 상황을 확률적으로 추측했습니다. 해류와 바람의 데이터를 활용해 가장 유력한 이동 경로를 찾아 생존자의 위치를 예상하는 거죠. 이때 계산을 어렵게 만드는 요소는 바다에 떠 있는 물체들이 알 수 없는 힘에 끌려가는 현상인 ‘트랩’입니다. 스위스와 미국 공동 연구팀은 운동방정식을 ... ...
- [별헤는수학] ‘외계행성 탐험대’, ‘행성 사냥꾼:테스’ 태양계 밖에서 행성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별빛이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구간이 길게 나타나죠. 행성이 별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이동하는 시간이 더 길어지기 때문입니다.관측한 별빛의 성분을 상세하게 분석하면 외계행성에 어떤 종류의 대기가 있는지도 알 수 있습니다. 태양을 비롯한 별빛은 자외선과 적외선, 가시광선 등으로 이뤄져 ... ...
- STEP ③ 유전체 복제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특징이다. 하지만 HIV는 자신의 유전자를 숙주 세포에 넣거나 뺄 수 있고 숙주 간 유전자 이동도 가능케 한다. 실제로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종양유전자(oncogene) 중 MYC, RAS 유전자는 바이러스에서 유래한 것으로 밝혀졌다.유전체 복제 과정에서 바이러스는 수없이 돌연변이를 생산한다. ... ...
- 자연살해세포...침입 즉시 공격, 진정한 킬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신호물질을 분비하며, 선천 면역반응을 담당하는 식세포들이 바이러스 침입 부위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신호를 내보내기도 한다. 자연살해세포는 성인 기준 체내에 약 1억 개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연살해세포는 감염 후 수일 내로 작용하는데, 그 기능상의 활성도는 20세를 전후로 ... ...
- [돌아가다] 고래를 보고 싶다면 바다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흩어져 새끼와 어미가 떨어질 수 있어요. 선박이 돌고래를 찾기 위해 돌고래 무리의 이동 방향으로 끼어들면 선박과 부딪쳐 지느러미를 다칠 수도 있고요(➋).최근 MARC는 올바른 생태 관광을 위한 ‘남방큰돌고래와 함께 살기, 적정 거리를 지켜요!’ 캠페인을 시작했어요. 만약 여러분이 고래 관광에 ... ...
- 독수리 ‘하나’가 동물원에 온 사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개체가 많은데, 어릴수록 경쟁에서 밀려 더 먼 남쪽까지 오는 거죠. 한반도가 독수리 이동지의 남쪽 끝이기 때문에 탈진 상태의 독수리도 많아요. 이렇게 쓰러진 독수리들은 야생동물구조센터에서 구조한 뒤 기력을 회복시켜 다시 자연으로 돌려보낸답니다. 필자소개 김정호 ... ...
- 기후변화에 무관심한 정부 우리가 빼앗길 미래는?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연구의 주제는 ‘지독한 가뭄’이었다. 지구의 물은 ①땅에서 증발한 물이 대기로 이동하고 ②대기 중의 물은 주로 빙하, 지하수를 머금고 있는 토양, 호수 등에 저장되고 ③비를 통해 땅과 강으로 다시 돌아오는 순환을 반복한다. 가뭄은 이런 물의 순환에 문제가 생길 때 발생한다.지구의 온도가 ...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박쥐는 땅과 하늘을 가리지 않고 움직이며 새로운 서식처를 찾고, 최대 1300km를 이동하기도 한다. 활동 반경이 넓은 박쥐 덕분에 바이러스는 효과적으로 자신의 자손을 퍼뜨릴 수 있다. 게다가 박쥐는 군집 생활을 하는 동물이다. 바이러스가 어떤 숙주 집단에서 높은 감염력을 계속 이어가려면 ... ...
이전7980818283848586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