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d라이브러리
"
인류
"(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수치심은 모든 인간이 갖는 본성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인류
가 선사시대부터 무리 지어 생활하는 데 수치심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무리 전체에 피해를 끼치면 그에 따른 대가를 치르는 만큼 사람들이 어떤 행동을 하기에 앞서 수치심으로 그 대가를 예상했다는 것이다.존 토비 미국 산타바버라 캘리포니아대(UC산타바버라) ... ...
[Issue] 뇌는 커지고, 얼굴은 작아졌다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250만 번은 덜 씹는 셈이 된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씹는 횟수가 줄어든 것만으로
인류
의 조상은 이와 턱의 크기를 줄여 뇌가 자랄 공간을 확보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안면부는 지금도 조금씩 줄어들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1979~2015년 총 7차례에 걸쳐 한국인의 인체 ... ...
[화보] 사진으로 남긴
인류
를 향한 경고!
수학동아
l
2018년 10호
...
[과학뉴스] 고대
인류
가 거대 땅늘보를 사냥한 증거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친척이에요. 영국 본머스대학교의 매튜베넷 교수 연구진은 1만 5000년 전에 살았던 고대
인류
가 땅늘보를 사냥한 증거를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땅늘보는 나무늘보의 친척이지만 다른 점이 많아요. 우선 그 이름처럼 나무가 아닌 땅 위에서 살았지요. 또 동작도 민첩하고 크기도 곰이나 코끼리 만큼 ... ...
[과학뉴스] 7000여 년 된 세계 최초 치즈 발견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최초의 치즈로 추정되는 지방산 흔적이 발견됐다. 새라 맥클러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인류
학과 교수팀은 지중해 북부 아드리아해 부근 신석기 시대 마을에서 찾은 질그릇 조각에서 치즈 찌꺼기로 보이는 지방산을 발견했다. 탄소동위원소 분석 결과 지방산은 약 7200년 전에 생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 ...
[Origin] 인간 이종교배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된다고 하더라도 자손은 생식능력이 없다. 하지만 이번에 확인된 것처럼 초기
인류
가 이종교배한 경우에는 자손이 번성했다. 이 교수는 “인간을 비롯해 개코원숭이 등 여러 종에서 자손 번식이 가능한 이종교배 사례가 학계에 보고 되고 있다”며 “전통적인 종의 개념에 대한 재검토가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0] 생태계와 에너지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생물은 환경과 어울려야 살아갈 수 있다. 생물에는 당연히 우리 인간도 포함된다. 한동안
인류
는 과학기술을 발전시켜 환경 파괴를 극복하고, 나아가 자연을 지배할 수 있다고 여겼다.하지만 현재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여러 현상은 자연이 지배의 대상이 아닌 조화의 대상임을 말해준다. 에너지 ... ...
[통합과학 교과서] 게임 속 낯선 사람의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이 게임은….” 이모가 뜸을 들이자, 채윤이와 수호는 침을 꿀꺽 삼켰어요. “막 무시무시한 최종 보스가 있는 건 아니죠?” “하하…. 별 거 ... 정체를 물었어요.“나는 이 게임 속에 10년 넘게 갇혀 있었단다….” ※ 개념 퀴즈현생
인류
와 네안데르탈인은 서로 교류하지 않았다. [O , X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9] 진화와 생물의 다양성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과정이다. 이런 이유로 사람들은 더욱 강력한 항생제를 개발했다. 하지만 현재
인류
가 가진 가장 강력한 항생제 중 하나인 ‘반코마이신’에도 내성을 지닌 세균이 1996년 등장했다. ‘슈퍼박테리아’의 시대를 극복할 항생제를 개발하려는 사람들의 노력과 항생제에 내성을 지니려는 세균의 ... ...
[에디터 노트] ‘보통의 여름’을 위해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아래로 유지하고 1.5도를 넘기지 않도록 노력하자는 게 핵심이다.최근 4년간 수치만 봐도
인류
가 1도 가까이 지구 기온을 상승시키면 폭염이 강해진다. 가뭄, 홍수, 강력한 허리케인 등의 발생 횟수도 증가한다.올해 12월 폴란드 남부 카토비체에서 열리는 ‘제24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4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