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 [JOB터뷰] “좋은 일이 생길 거예요” 큰 귀 토끼 ‘베니’ 구작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앞으로도 전하고 싶어요. Q독자들에게 꿈에 관해 전할 말씀이 있다면서요?꿈이 없다고 해서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나중에 꼭 생길 테니까요. 저 또한 하고 싶은 일이 정말 많았지만, 확고한 꿈은 없었어요. 그림은 그저 좋아하는 일이라 꾸준히 했던 것뿐이죠. ... ...
- [People] 15년 연구 덕질의 성과! n차원 별자리 정리 증명수학동아 l2023년 02호
- 평균 난이도의 B 문제는 10문제였어요. 두 유형 중 하나를 선택해서 다 풀어야 했는데 전 항상 A를 선택했어요. 그걸 계속하다 보니 학교 수학 시험에서 좋은 점수를 얻을 수 있었어요. 이후 집 근처에 있던 오사카에서 수학 수재들이 모이기로 유명한 기타노고등학교에 들어갔고, 거기서도 수학은 ... ...
- [인터뷰] 필즈상 허준이 교수 아버지 허명회 고려대학교 통계학과 명예교수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생각을 설명하는 도구일 뿐이다. 인공지능이 사람보다 계산을 더 잘하고 논리적으로 발전할 것이기 때문에 정확하게 계산하고 문제를 푸는 기술은 앞으로 더 중요하지 않다. Q ─ 창의성을 키우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오래 여유 있게 생각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쉬운 문제 풀이를 반복하는 ... ...
- [단편소설] 안스리움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새겨 들으셔도 좋을 겁니다. 그럼 이제 일어날까요?”설진은 벗어 둔 코트를 챙기며 휴대전화 달력 앱에서 발표 시간을 다시 확인했다. 오후 네 시. 늦으려고 애써도 결코 늦기가 어려운 시간이었다. 식당을 나선 설진은 재관에게 다시 한번 깍듯하게 인사를 하고는 헤어졌다. 그는 한결 가벼워진 ... ...
- [수학체험 유랑단] 영암의 테셀레이션 의상실을 찾다!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사진을 보여주셨습니다. 13세기와 14세기에 걸쳐 이슬람 양식으로 지어진 알람브라는 궁전, 성벽, 정원 등으로 이뤄져 있어요. 알람브라에서는 같은 패턴이 반복되는 벽 무늬가 눈에 띄는데, 여기서 테셀레이션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알람브라는 네덜란드 화가이자 판화가 ‘마우리츠 코르넬리스 ... ...
- [에디터 노트 ]‘실친’을 만들 수 있는 곳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능력이 부족해 아직 다 진행시키지 못하고 차근차근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그리고 이제, 전독위 2기를 새로 모집하려고 합니다(14쪽). 앞으로 6개월 동안 활동하며 과학동아 표지를 정하고, 기사를 평가합니다. 2023년 하반기 개편에 참여해 또 한번 과학동아를 뒤바꿀 겁니다. 우리는 아직 갈 길이 ... ...
- [뉴스&인터뷰] 화석 없이 200만 년 전 그린란드를 복원하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못했던 풍경을 들여다보는 작은 창을 열었다. 이 창을 통해 보이는 광경은 200만 년 전 과거 따뜻했던 그린란드의 생태계일 뿐만 아니라, 어쩌면 다가올 미래에 인류가 맞이하게 될 풍경일 수도 있다. 퇴적물 양동이에 담긴 고환경DNA는 그린란드의 과거 생태계가 인류로 하여금 지구 온난화 시대를 ... ...
- [과학사 극장] 갈릴레이는 정말 피사의 사탑에서 실험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과학을 정립해 나가기 위해 실험이라는 방법을 적극 활용했다는 것이 이 이야기가 전달하려는 진정한 의미이고, 그것은 진실이다. 의혹2. 갈릴레이는 실험을 하지 않았다?비비아니가 거짓 일화까지 끌어들여 실험가로서 갈릴레이의 모습을 강조한 반면, 다른 한편에서는 갈릴레이가 정말로 ... ...
- [게임으로 과학 한 판!]교통공학자랑 도로 건설 게임을 해봄 Freeways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보행자 등의 기초적인 교통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교통공학자들은 게임 내부를 운전하며 영상을 촬영해 자율주행 인공지능을 가르칠 수 있죠. 프리웨이즈는 교통과 게임이라는 상상하기 쉽지 않은 조합을 이루어낸 게임입니다. 오늘 하루 교통 체증 때문에 고생하셨다면 프리웨이즈 한 판을 ... ...
- [5년 후, 과학은] 의생명과학과 공학의 경계, 조직공학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증강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겁니다. 조직공학 기술로 제작한 인공조직이 나노 바이오 전자소자, 바이오 센서, 바이오 칩과 같은 인접 분야의 기술과 결합해 더욱 진화할 날이 곧 올 겁니다. 조직공학의 개념이 학술지에 소개된 지 30년이 지났습니다. 정교한 생명을 다루는 낯선 분야의 성공 여부를 ... ...
이전7980818283848586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