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상"(으)로 총 3,191건 검색되었습니다.
- 70억 인류 정말 한가족일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다른 인종끼리는 아이를 낳지 말아야 한다거나, 다른 인종과의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는 정상이 아니라는 소문이 퍼지기도 했습니다.그렇지만 유럽인들이 점점 더 세계를 탐험하면서 알게 된 것은 인간의 다양성에는 끝이 없다는 사실이었습니다. 그래서 인종은 세 개가 아니라 다섯 개라는 주장이 ... ...
- 모범생 스트레스 이겨낸 통신 전문가 (최성현 서울대학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또 최근 경험을 이야기하며 현재 교육 현실이 너무 ‘돈’을 버는 데만 초점을 맞춘 비정상적인 교육이라고 지적했다. “얼마 전 둘째 아이 학교에 학부모 강연을 할 기회가 있었는데 깜짝 놀란 경험이 있습니다. 어떤 아이가 와서 교수 되면 돈을 얼마나 버냐, 연봉 1억은 되냐는 질문을 했습니다. ...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나라의 전반적 과학기술 수준이 높아지는 일도 중요하지만 임계점과 한계를 넘어 세계 최정상이라 불릴만한 연구 성과가 반드시 나와야 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노벨 과학상 2013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PART 2. 생리의학상 - 신속 정확 세포 택배회사PART 3. 화학상 ... ...
- 소통 전도사 안몽 동물회의장에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작은 빛이 일정한 주파수를 가지고 깜빡인다.3 SSVEP 발생모니터의 깜빡임을 보면 ‘정상상태시각유발전위(SSVEP)’가 발생한다. 이 뇌파는 뇌파 탐지기를 통해 컴퓨터에 입력된다.*SSVEP : 모니터에서 3.5Hz~75Hz 주파수로 깜빡거리는 빛을 볼 때 빛과 같은 주파수로 뇌의 뒤 쪽에서 발생하는 뇌파를 ... ...
- 인류탄생 - 난쟁이 인류, ‘호빗’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점을 찾아냈습니다.장부진의 단서입니다. 종아리 뼈도 휘었습니다. 하지만 모두 정상 범위 내의 변형이라 확증은 아니라는 단점이 있습니다.논쟁의 종결은 아주 작은 데에서 찾아왔습니다. 손목 뼈 중 하나인 ‘작은마름뼈’입니다. 이 뼈는 인간에게서만 볼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는데, 태아가 ... ...
- ‘뱃속의 거지’ 알고 보니 장내 미생물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아르후스대 보건학부의 올루프 페더슨 덴마크 교수팀은 체중이 정상인 123명의 덴마크인과 비만인 169명을 대상으로 장내 미생물의 조성과 수를 조사하고 미생물 유전자와 다양성, 수를 분석해 그 결과를 ‘네이처’ 8월 29일자에 발표했다. 연구 결과 장내미생물의 다양성이 ... ...
- 소지섭은 난독증일까과학동아 l2013년 10호
- 특징은 회색지대가 있으며, 난독증 유무의 명확한 경계가 없다는 것이다. 난독증과 정상 사이에는 뚜렷한 기준이 없어, 통계적으로 하위 10% 수준에 해당하면 경미한 난독증이 있는 것으로 본다. 연구자들은 하위 3.5%를 치료가 꼭 필요한 대상으로 보고 있다. 난독증은 여아보다 남아에게서 3배 이상 ... ...
- 우주보다 큰 허세 중2병과학동아 l2013년 10호
- 힉스, 초끈이론 등의 용어를 잘 아는 것처럼 행세한다면 멋있어 보이지 않는가!정상적인 발달 과정이니만큼 사춘기의 중2병은 대체로 무해하다. 오히려 그 분야에 대한 관심을 유지한다면 훗날 취미로 삼거나 전공으로 공부하게 되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다만 성인이 되어서도 중2병을 벗어나지 ... ...
- 1파트 - 보어 28세, 세상을 뒤집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특히 에너지만이 아니라 각운동량의 양자화를 제안했고,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소위 정상상태뿐 아니라 시간이 흐르면 변하는 복사 현상까지 설명할 수 있는 포괄적 이론이란 점에서 보어의 이론은 더 우월하다.보어의 ‘위대한 3부작’을 꼼꼼하게 읽어보면 이후 50여 년 동안 진행된 ... ...
- 2파트 - 전자, 궤도를 포기하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이제 더 이상 물리학자들은 원자핵의 주위를 도는 전자의 궤도를 생각하지 않는다. 정상상태에 있는 전자는 공간의 여기저기에 존재할 수 있으며, 양자역학은 특정 위치에서 전자가 발견될 확률만을 제공한다. 그래서 양자역학을 이용해 그린 원자그림을 보면, 전자가 원자핵 주위에 구름처럼 ... ...
이전7980818283848586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