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대
증진
증식
확대
확장
증강
증설
d라이브러리
"
증가
"(으)로 총 4,16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백신은 정말 옳다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반대로 홍역의 발생이
증가
하면 홍역이 아닌 다른 전염병에 걸려 사망한 소아의 수도
증가
했다(doi:10.1126/science.aaa3662).결론적으로 백신 무용론을 주장하는 논리로 사용된 위생가설은 과학적인 근거가 전혀 없다. 오히려 무수히 많은 연구가 백신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증명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 ...
[과학뉴스] 2004년 수마트라 대지진 원인 밝혔다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암석에 탈수 작용이 진행된 흔적이 발견됐다. 연구팀은 탈수 현상이 섭입 전까지 계속
증가
하면서 암석이 파괴 임계점에 가까워져 섭입 직후 지진이 발생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송 책임연구원은 “이번 연구가 천부 대지진의 원인을 좀 더 명확하게 규명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1 ... ...
[과학뉴스] 인구통계학 (Demography)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2050년에는 100억을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인구의 규모가 커지면 자연스럽게 인구문제도
증가
한다. 고령화 사회, 성비 불균형 등 우리나라만 해도 문제가 산재해 있다. 미국 인구학회가 1964년 만든 학술지 ‘인구통계학(Demography)’은 이런 인구문제에 통계학적으로 접근한다. ‘지난 40년 간 부모의 ... ...
[Future] ‘녹조라떼’로 만든 신발이 있다고?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중 하나인 타이후 호의 물이다. 1980년대에는 인기 있는 휴양지였지만, 2007년 급격히
증가
한 녹조로 식수 이용을 중단하는 등 녹조로 꽤나 속앓이를 했던 곳이다. 당시 중국은 100억 달러가 넘는 돈을 투자해 녹조를 없애는 데 힘썼지만 여전히 녹조를 해결하지 못했다.이런 상황에서 녹조 신발의 ... ...
Part 2. 남성 생식 연구를 허하라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월등히 많은 반면 남성의 난임은 8.2%에 불과했다. 2007년과 비교해도 원인불명은 비율이
증가
했고, 남성 요인은 감소했다. 둘 사이에 연관성이 있을 수 있다는 얘기다. 지금껏 난임의 책임을 여성에게만 지웠다단국대 의대 제일병원 비뇨기과 최진호 교수와 산부인과 한정열 교수팀은 ... ...
Part 4. “나 하나쯤이야” 무너지는 집단면역 생태계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있는 것이다.최근 유럽에서는 백신 거부 운동 때문에 전염병의 발생 빈도가 급격히
증가
하자 이에 대한 규제 강화에 나서고 있다. 이탈리아는 자녀의 예방접종을 거부하는 부모에게 벌금을 부과하는 법안을 지난 5월 통과시켰고, 독일 정부는 자녀의 예방접종을 입증하지 못한 부모를 유치원 등 ... ...
Part 2. 슈퍼카를 만드는 3가지 비결
수학동아
l
2017년 07호
값과 비교하면 10% 이상의 큰 오차가 발생할 수 있지만, 자동차의 모양이 변할 때 저항이
증가
하는지 감소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풍동실험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며 빠른 시간에 결과를 알 수도 있다.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은 자동차뿐 아니라 배나 비행기, 공기나 물의 흐름과 ... ...
고은영 기자의 팩트체크, 퍼센트를 조심하라
수학동아
l
2017년 07호
과자를 3000원에 팔 때는 1500원의 100%에 해당하는 1500원을 더 받기 때문에 ‘가격이 100%
증가
’라고 표현해야 합니다. 오늘 팩트체크에서는 퍼센트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다음에는 더욱 헷갈리는 주제로 찾아오겠습니다 ... ...
[Issue] 때 아닌 ‘개 코’ 논란 사람도 개 만큼 맡는다!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무한한 것처럼 후각수용체의 조합을 통해 맡을 수 있는 냄새의 수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
한다. 사람이 구분하는 냄새의 수는 약 1만 가지다.맥건 교수는 후각수용체의 수보다 오히려 각 후각신경구에 있는 신경세포의 개수를 비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 근거로 2014년 ‘신경해부학 저널(doi:10.3389 ... ...
[정수 남매의 가상인터뷰] 황제펭귄을 수호하라!
수학동아
l
2017년 07호
옮겼을 때 개체 수가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봤습니다. 그 결과 2036년까지는 개체 수가
증가
했지만, 2046년부터는 크게 감소하더니 2100년에는 개체 수가 현재의 반 이상으로 줄어들었습니다.결국 기후 변화라는 본질적인 문제를 해결해야지 거주지 이전이라는 눈속임으로는 우리 종족의 수를 유지할 수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