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컴퓨터"(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공지능수학] 인공지능 정복을 위한 필수템, 수학과 코딩수학동아 l2020년 05호
- 인공지능과 수학은 어떤 관련이 있나요?인공지능은 지능이 있는 사람의 행동을 대신하는 컴퓨터를 개발하는 연구의 세부 분야예요. 인공지능을 구현하는 기술인 딥러닝과 같은 기계학습은 응용수학 분야라고 할 만큼 수학이 매우 광범위하게 쓰입니다. 데이터는 전부 ‘행렬*’로 표현되고, ... ...
- 수학으로 설계하는 보드게임!수학동아 l2020년 05호
- 9로 개학이 미뤄져 친구들도 못 만나고 매일 집에서 시간을 보내는 수동.이제 TV도 컴퓨터도 질려버렸다. 뭐 재미있는 거 없나 고민하며 집 여기저기를 뒤지던 수동은 먼지 뽀얗게 쌓인 다락방에서 요상한 보드게임 상자를 발견한다.내 손으로 내가 만드는 보드게임: 개발자의 연구소라고? 상자를 ... ...
- [한페이지 뉴스] 달 콘크리트의 원료 ‘트로일라이트’엔 전류가 흐른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자기 스핀을 조절한 결과 금속이 부도체로 변했다”며 “이런 특성을 새로운 개념의 컴퓨터 장치를 개발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038/s41567-020-0857- ... ...
- [SF에 묻는다]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vs. 사고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있는 지구인 트리샤, 그리고 로봇 마빈이 타고 있습니다. 자포드는 ‘깊은 생각’이라는 컴퓨터를 만나 삶과 우주, 그리고 모든 것에 대한 답을 얻으려고 합니다. 재미있게도, 마빈은 로봇이면서도 우울증에 빠져있습니다. 어떻게 말을 걸어도 우울하고 기운 빠지는 대답만 늘어놔서 상대하는 ... ...
- [호주 산불] 범인이 따로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관련이 있다고 분석해요. 지난 2014년, 호주 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의 카이 웬주 박사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져 지구온난화가 심해지면 인도양 다이폴의 온도차가 커지고, 그 주기는 짧아질 것이라는 분석 결과를 발표했답니다. 즉, 인간이 이산화탄소의 ... ...
- [퀀텀닷 완전정복] 퀀텀닷으로 암 진단까지?!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분자 수준의 변화를 영상화하는 기법이다. 자기공명영상(MRI)과 컴퓨터단층촬영(CT)이 바이오이미징 기술의 대표적인 예다. 이런 바이오이미징 기술은 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적극적으로 활용되면서 중요성이 높아졌다. 다만 현재 널리 사용되는 바이오이미징 기술들은 ... ...
- [DGIST] 더 빨리, 더 정확히, 더 많이 만능 AI 프로세서 개발과학동아 l2020년 04호
- 2016년 6월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와 국제컴퓨터학회(ACM)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컴퓨터구조국제심포지엄(ISCA)’에서 ‘뉴로큐브(Neurocube)’라는 제목의 논문으로도 발표됐다. doi: 10.1145/3007787.3001178궁 교수는 현재 삼성전자와 함께 AI 음성인식용 시스템반도체를 설계하고 있다. 그는 “드 ...
- [핵배송 비결2] 수학으로 물류센터 리모델링!수학동아 l2020년 04호
- 그야말로 무작위로 뒤죽박죽 보관하는 방법입니다. 상품과 선반에는 인식표가 붙어있어 컴퓨터가 실시간으로 위치와 재고를 작업자에게 보내주죠.이를 통해 주문이 들어온 물건이 있는 선반을 모두 들릴 수 있는 최적의 동선을 짜서 알려주면 작업자는 짧고 단순한 경로로 물건을 집어올 수 ... ...
- 기후물리연구단, 고기후 데이터로 밝힌 현생인류 최초 이주 경로과학동아 l2020년 04호
- 기후변화 모델링 기후물리연구단은 향후 대전 IBS 본원에서 운용하는 슈퍼컴퓨터 ‘알레프(ALEPH)’로 고기후와 인류 이주 사이의 상관성 연구, 현재 및 미래 기후 모델링 연구 등을 계속할 계획이다. 알레프의 연산속도는 1.43PF(페타플롭스·1PF는 1초에 1000조 번 연산)로 데스크톱 PC 1560대를 합친 ... ...
- [미국유학일기] 대학 생활의 꽃, 동아리? 일이 더블이 되는 거야~과학동아 l2020년 04호
- 하고, 아두이노를 사용해 센서와 모터 시스템을 개발했다.동아리 부원은 총 6명이었는데 컴퓨터과학과는 나 혼자였고, 나머지는 기계공학과였다. 때문에 자연스럽게 내가 센서와 모터 제어 시스템을 담당했다. 물론 나중에는 시간이 많이 필요한 재료 손질도 도왔다. 그리고 세 번째 학기 중이었던 ... ...
이전7980818283848586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