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미항공우주국
미국항공우주국
d라이브러리
"
NASA
"(으)로 총 1,90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가 점점 더워진다! 2099년 온난화 지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지도인데, 2099년까지 온도가 상승하는 정도가 심해질수록 붉은색으로 나타냈답니다.
NASA
의 고다드연구소에서 기후를 연구하는 드루 신델 박사는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오존층을 파괴하는 온실가스와 대기 중에 있는 에어로졸을 꼽았어요. 에어로졸은 액체나 고체 입자가 공기에 미세한 형태로 퍼져 ... ...
진주에서 발견된 별에서 온 그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7호
그 곳에 생명체가 살았던 적이 있는지도 연구할 수 있지요. 1984년에 남극 빙하에서
NASA
과학자들이 발견한 앨런 힐스 운석은 물이 있는 곳에서만 발견되는 탄산염 입자가 들어 있어 큰 이슈가 되었어요. 과학자들은 이 운석이 있었던 화성에도 오래 전에는 물이 있었거나, 아직까지 물이 남아 있을 ...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존재할 가능성은 거의 없 다. 존재한다면 미생물일 가능성이 높다. 미국 항공우 주국(
NASA
)은 아직 시기가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유로 파에 착륙선을 보내 구성 성분과 생명체의 존재여부를 조사할 계획이다.엔셀라두스 역시 2005년 얼음과 수증기 기둥이 발견 된 이후 가장 중요한 탐사 대상으로 ... ...
어린왕자, 서호주 아웃백에서 은하수를 보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잘 보이게 찍었다. 권오철권오철 천체사진가는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를 졸업했고
NASA
의 ‘오늘의 천체사진’에 3번 선정됐다. 현재 ‘내셔널지오그래픽’ 영문 인터넷판에 사진을 제공하고 있으며 유네스코의 ‘2009 세계 천문의 해’ 특별 프로젝트인 TWAN(The World At Night)에 참여했다. ... ...
OUTRO 악당이 세계를 정복하려면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스티브 코즈로우스키 교수는
NASA
의 유인화성 탐사와 관련해 재미있는 자료를 발표했다.
NASA
는 30년 안에 화성에 인간을 보내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 때 화성에 갈 우주인은 좁은 공간 안에서 8.5개월을 버텨야 한다. 코즈로우스키 교수팀은 8.5개월 동안 좁은 공간 안에 살아야 할 우주인의 ... ...
금융시장 주무르는 방정식 전문가들
수학동아
l
2014년 05호
Analyst)’를 뜻하는 영어의 줄임말로, 미국에서 증권가에 진출한 미국항공우주국(
NASA
)의 수학자와 과학자들을 지칭한 데서 유래한 말이다.퀀트들이 금융계에 등장하기 시작했을 때만 해도 사람들은 수학을 전공한 사람들이 금융에 대해 뭘 알겠냐며 큰 기대를 하지 않았다. 하지만 퀀트들이 복잡한 ... ...
수증기 내뿜는 ‘화난 소행성’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5호
녹았다고 가정했을 때 물의 양은 지구에 있는 민물보다 많을 거라고도 추측하고 있어요.
NASA
과학자들은 내년에 세레스로 우주탐사선 ‘던’을 보내 자세하게 탐사할 계획이랍니다 ... ...
Part 3. 잡음없이 깨끗한 중력파를 발견하라!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천체물리센터가 연구를 주도하고 스탠퍼드대와 스탠퍼드 선형가속기센터(SLAC),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와 칼텍(캘리포니아공대), 미네소타대 등이 참여했다.혹시 이번에 발견한 B-모드의 원인이 중력파가 아니거나 급팽창이 아닌 다른 곳에서 온 것은 아닐까. 우주배경복사가 B-모드가 되려면 굉장히 ... ...
태양보다 100억 배 거대한 블랙홀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최근
NASA
(미국항공우주국) 과학자들이 태양보다 100억 배나 큰 블랙홀을 발견했어요. 이 블랙홀은 지금까지 발견된 것 가운데 가장 거대한 것이랍니다.블랙홀은 주변에 있는 별과 행성은 물론, 먼지와 빛까지 빨아들여요. 블랙홀로 빨려 들어가는 물질들은 X선을 내뱉지요. 과학자들은 이런 물질들이 ... ...
[생활] 아르키메데스가 지수 표기법을 알았더라면?
수학동아
l
2014년 04호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아르키메데스는 전 우주를 모래알로 가득 채우려면 얼마나 많은 모래알이 필요한지 현대의 지수 개념을 이용해 계산했다. 하지만 당시에는 같은 수를 여러 번 곱할 때 편리하게 쓰이는 지수 표기법이 없어 계산은 매우 복잡했다. 오늘날 쓰이는 편리한 지수 표기법은 누가 최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