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뉴스
"
결과
"(으)로 총 25,487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작은 분노들이 모여 세상을 바꾼다
2025.01.11
있다. 분개 또는 분노하는 것(indignation) 역시 일반적인 화와 달리 '도덕적' 판단의
결과
인 경우가 많다. 하지만 적개심과는 다르게 개인적으로 잘못된 일을 당하는 것 뿐 아니라 타인이 잘못된 일을 당했을 때에도 나타나는 경향을 보인다. 사회적으로 중요하게 여기는 도덕 규범이 무너졌을 때에도 ... ...
[동물do감] 하루 최대 27마리와 짝짓기하는 수컷 송사리
동아사이언스
l
2025.01.10
정자가 고갈된 수컷과 짝짓기하면 난자가 낭비될 수 있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연구
결과
는 수컷 송사리의 하루 짝짓기 능력과 연속적인 짝짓기에서 암수 행동 등을 정량적으로 보여주는 첫 연구"라며 "짝짓기가 빈번한 종의 번식 전략에서 생식세포 생산 비용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 ...
"수돗물 속 불소, IQ 떨어뜨린다"…불소 논쟁 재가열
동아사이언스
l
2025.01.10
있다. 연구팀은 충치를 예방하는 불소가 지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
를 내놨다. 수돗물 불소화 수준이 높은 국가들을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들을 메타 분석해 아이들의 소변 샘플에서 불소가 1ppm(백만분율 단위) 증가할 때마다 IQ 점수는 1.63씩 감소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 ...
영국 바이오뱅크 '역대 최대' 단백질 연구 돌입
동아사이언스
l
2025.01.10
혈액, 소변, 타액 등 인체샘플을 비롯해 임상, 생활습관, 전체유전체시퀀싱(WGS) 분석
결과
등 광범위한 바이오연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있다. 수집된 데이터는 전 세계 과학자들이 활용할 수 있다 ... ...
[의학바이오게시판] 식약처, 미 국립암연구소와 차세대 항암제 평가기술 연구 추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1.10
분당서울대병원 교수와 진행한 전자약 임상시험을 성공적으로 종료하고 현재 임상
결과
분석 마무리 단계에 있다고 10일 밝혔다. 어린이들은 4주간 매일 뉴아인의 임상시험용 의료기기를 이마에 부착해 수면 중 8시간 동안 120Hz의 삼차신경 자극을 유도해 의료기기의 안전성과 유효성 지표를 ... ...
신개념 생체형틀법 '캠바이오' 개발…다양한 생체 나노구조체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10
계속된다면 다양한 응용 분야에 생체 구조가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
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에 지난해 11월 13일 온라인 공개됐다. - doi.org/10.1002/advs.20240649 ... ...
수소 이온 이용해 배터리 양극재 성능·수명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5.01.10
향후 에너지 소재 개발에 새로운 장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
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지난달 5일 온라인 게재됐다. doi.org/10.1038/s41467-024-54999- ... ...
노벨상 '유전자가위' 유방암 진단 정확도 '확'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5.01.10
놓인 유전자 돌연변이를 보유한 피검자들은 추후 암이 발생할 수 있다는 불안한 검사
결과
지를 들고 돌아가야 했다. BRCA 유전자 돌연변이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분류할 수 있게 되면서 환자들은 이전보다 정확하게 암 발생 위험도를 알 수 있게 됐다. ● 아이디어 낸지 5년만에 유전자가위로 ... ...
민물가재 안보이는 이유 있었네
동아사이언스
l
2025.01.10
76%를 멸종시킨 5차 대멸종보다 빠른 속도로 담수 생태계의 생물다양성이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
를 발표하기도 했다. 기센대 연구팀은 2120년경 민물 생물종의 3분의 1이 사라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 doi.org/10.1038/s41586-024-08375 ... ...
다이어트에 좋은 섬유질, 유전자 기능도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09
대장암 세포와 쥐의 장 안에서 유전자 발현에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지 추적했다. 그
결과
두 가지 짧은사슬지방산은 세포 증식과 분화를 조절하는 유전자에서 후성유전학적 변화를 일으켰다. 이 변화는 암의 근저가 되는 세포 성장을 방해하거나 제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도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