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레이져
레이저광선
광선
광메이저
ipod
ipodmini
ipod 5세대
뉴스
"
레이저
"(으)로 총 1,049건 검색되었습니다.
美 북극권에서 가장 높은 산은?
2016.06.24
장치 등으로 이뤄져 있으며, 항공 관측 영상을 통해 지형을 3차원으로 분석한다. 고가의
레이저
를 사용하는 ‘라이다(Lidar)’와 기능은 비슷하지만 장비 값은 30만 달러(약 3억4500만 원)로 절반 수준이다. 놀런 교수는 비행기에 포다를 싣고 하루 10시간씩 미 북극 지역의 상공을 날면서 주요 산의 ... ...
“우주공간에서 중력파 탐지 가능하다”
2016.06.08
내부에는 금-백금 합금으로 만든, 한 변이 35㎝인 큐브 2개를 띄웠다. 이 큐브들은
레이저
빔을 반사시키는 거울 역할을 한다. 연구진은 두 큐브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등 외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얼마나 안정적으로 큐브가 떠 있을 수 있는지 시험한 끝에 당초 목표했던 수준보다 더 안정적인 ... ...
[Vivid Sydney]‘기술+빛+음악+아이디어=비비드 시드니’
2016.06.08
빌딩들은 저마다 조명의 색을 다르게 바꿉니다. 길가의 몇몇 건물들은 벽면이나 지붕에
레이저
로 그림을 입히는 미디어 파사드로 장식합니다. 최호섭 제공 역시 시드니의 하이라이트는 오페라 하우스지요. 오페라 하우스의 하얀 지붕에도 미디어 파사드를 입힙니다. 해가 떨어지면 알록달록한 ... ...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
과학동아
l
2016.06.02
Laser Ion Source). 표적 원자에 양성자 빔을 충돌시켜 다양한 종류의 동위원소를 발생시킨 뒤
레이저
광을 이용해 특정 원소만 선택적으로 이온화시킨 고순도의 중이온 빔을 인출한다. - 남윤중 제공 ● 깨고, 부수고, 새로 만드는 원자핵 놀이터 중이온가속기는 펨토미터 세계를 들여다 볼 수 있게 해 ... ...
“양자역학은 기초학문이면서도 여기저기 다 쓰이는 실용적인 학문”
2016.05.31
근사하면서도 실용적인’ 학문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양자역학의 대표적 결과물인
레이저
가 사라진다면 CD나 DVD를 읽을 수 없을 뿐 아니라 정밀한 전자회로 기판도 인쇄할 수 없어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가 탄생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김 교수는 양자기술이 산업뿐 아니라 ... ...
서울대 자율주행차, 고속도로 첫 주행 완료
2016.05.27
㎞까지 속도를 높였다. 자율주행차량 기술은 현재 구글이 가장 앞서 있다. 하지만 값비싼
레이저
스캐너 장비 등을 사용하고 있어 기존 차량에 당장 접목시키기는 어렵다. 이 교수팀은 고가의 장비 대신 요즘 차량에서 많이 사용되는 센서를 이용해 자율주행차를 설계했다. 패밀리 세단에 널리 쓰이는 ... ...
[과학동아 6월호] ‘인체 플랫폼’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6.05.27
안약을 개발해 ‘슈퍼 눈’의 꿈에 한발 다가섰다. 안약의 주성분은 ‘클로린 e6’. 최근
레이저
를 이용한 암 치료에서 감광제로 사용되는 물질이다. 이들은 지난해 3월 이 안약의 성능을 시험한 결과 눈에 안약을 넣으면 야간에 숲에서 50m 떨어진 사람을 식별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캐나다 바이오 ... ...
美 정부 “2069년 ‘알파 센타우리’로 우주선 보내라”
2016.05.25
투자하는 억만장자 유리 밀너 역시 “초고속 우주선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태양풍과
레이저
광에 잘 밀려나갈 수 있는 태양광 우주선을 1g 미만의 작은 칩 크기로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한 바 있다. NIAC는 NASA의 심(深)우주 탐사와 관련된 다양한 기술을 개발해왔다. 제이슨 덜레스 NIAC ... ...
건물이 살짝 기울어졌네? 미세한 변화 감지하는 압력센서 개발
2016.05.24
보였다. 기존
레이저
는 0.6nm 정도로 작은 파장 변화를 보이는 데 그쳤다. 연구진은 이
레이저
를 적용한 압력센서를 개발해 0.5% 미만의 미세한 압력 변화도 측정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산성도(pH) 변화에 따라 부피가 변하는 하이드로겔을 장착해 산성도 변화 역시 파악할 수 있도록 ... ...
손가락만 구부려도 200V 전기가 반짝
2016.05.17
있는 압전 필름을 제조하는 데 성공했다. 이건재 교수팀은 이 압전 필름을 ‘무기물
레이저
박리 공정(ILLO)’이란 독자기술을 이용해 유연성 고분자 위로 옮겨 붙여 상용화 수준의 압전소자를 만들었다. 이렇게 만든 압전소자는 손가락에 붙이고 구부리는 동작만으로도 200V의 높은 전압을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